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5.06.02 20:52

보름달에 대한 통찰

조회 수 9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그리스도의 평화
 

"달이 빛이나는 이유는
 
어두움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문득 달에 대한 통찰을
 
한번 해본다.
 
달속에 감추어진
 
가르침들과
 
진리들을 생각해 보면서
 
달이 빛이 나는 이유는
 
어두움이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너무나도 단순하고
 
어렵지 않고 쉽다.
 
어두움이 없다면 달은
 
빛나지 않을 것이다.
 
빛나지 않은 달은
 
어두운밤을 비추지 못할 것이며
 
밤길을 걷는 나그네들의
 
길잡이가 되어주지 못할 것이다.
 
어두운밤길을 걸을 때,
 
나그네들은 밝은 달빛을 받아 밤의
 
길잡이가 되어주고,
 
달빛의 안내를 받은 나그네는
 
또다시
 
다른사람들을 인도해준다.
 
이렇게 해서
 
하나의 밝은 달은
 
그 밝은 빛이 반사되어
 
많은 이들을 비추어주며
 
세상을 밝혀 준다.
 
그러나 달이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그냥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다.
 
깜깜한 어두움 속에서
 
스스로 빛이 될때까지
 
기다려주는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달은 처음부터
 
보름달이 아니다. 
 
처음에는 가느다란
 
초승달에서 부터 서서히
 
천천히 하루하루 변해
 
가는 것이다.
 
그렇게 하루하루 지나다
 
보면 어느새 모르는 사이에
 
크고 둥근달이 되어 세상을
 
비추고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저 넓고 넓은 우주에
 
자신을 내어 맡기기
 
때문일 것이다.
 
달이 우주에 내어 맡기지
 
않은체 온전히 머무르지
 
않는다면 빛은 없을 것이다.
 
이 둘중 어느 하나라도
 
있지 않다면 달은 빛이
 
될수가 없는 것이다.
 
사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것들은 우리 삶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우리는 알수가 있다. 
 
어떠한 사람일지라도
 
삶의 행복을 알기 까지는
 
삶의 시련과 아픔과
 
어두움을 필요로 한다.
 
그 사람의 삶에 시련의 어두움이
 
없다면 그 사람의 삶안에서는
 
빛 즉 참 삶의 행복을
 
알수가 없을 것이다.
 
한 사람의 아픔과 시련
 
그리고 어두움 뒤의
 
떠오른 빛은 그와 같은
 
아픔을 겪은 이들의 삶의
 
길잡이가 되어주고 어두움과
 
시련의 밤길을 걷는 이들의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그렇게 한사람의 빛이
 
다른이들을 비추고 그 사람은
 
또 다른이들을 비추고 해서
 
그 빛은 반사가 되고 되어서
 
많은 이들을 비출 것이다.
 
그러나 그 빛은 그냥 비추어
 
지는 것이 절대 아닐 것이다.
 
어두움과 시련중에서도
 
받아들이는 인내심을
 
필요로 할 것이다.
 
"경건한 이의 인내는
 
결코 헛되지 않으리라".(집회서 16,13)
 
"희망속에 기뻐하고
 
환난중에 인내하며
 
기도에 전념하십시오"(로마 12,12)
 
달이 한번에 보름달이 될수
 
없기에 시련중에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꿋꿋이
 
견디어 낸다면 언젠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초승달에서
 
보름달이 될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날을 되돌아
 
보며 이렇게 얘기 할것이다.
 
"아,, 그래,,그땐 그랬었지,,"
 
그리고 또 한가지는
 
끝이 없이 넓고 높고 깊은
 
우주와 같은 하느님과 진리안에
(가톨릭만 말하는것이 아니라)
 
온전히 머무르는것.
 
"네 길을 주님께 맡기고
 
그분을 신뢰하여라.
 
그분께서 몸소 해 주시리라".
(시편37,5)
 
"여러분의 모든 걱정을 그분께
 
내어 맡기십시오. 그분께서 여러분을
 
돌보고 계십니다".(1베드로 5,7)
 
그리하여 인내심과 머무름을
 
명심하고 기억할때
 
우리는 삶에서 빛을 알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치원생들도 다 아는 것.
 
그리 어렵지 않은것. 그렇게
 
자연의 소박하고 단순한 이치가
 
어쩔때에는 수 많은 신학 영성
 
서적보다 더 나을 때도 있다.
 
세상사람들의 복잡한 삶과
 
갖가지 어둠들이 단순한 진리로
 
날려버릴수도 있다.
 
오늘밤에도
 
어두움이 깔릴 것이며
 
달은 뜰것이다.
 
그리고 달은 어두움이
 
짙으면 짙을수록 더욱더
 
찬란하게 빛을 비추어
 
어두운 세상을 비출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8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사랑이 머물다간 자리 새벽의 첫 시간 재단 위에 어둠을 밝히는 가장 외로운 촛불 하나 마지막까지 남아있을 빛으로 누구도 빼앗지 못할 진실로 불탑니다. 서로... 1 이마르첼리노M 2015.02.06 1261
687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0
686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사랑의 학교에서 동창생들에게 쓰는 편지   열대야의 맹위가 잠들지 못하게 하는 밤 사랑의 학교에 다니는 동창생들인 너희들을 위하여 이미 새날이 된 ... 이마르첼리노M 2017.07.25 859
685 사랑의 질량 사랑의 질량 농도야 말로 질량의 초점이다. 농도가 큰 善 농도가 큰 진실 함부로 말하기조차 못할 성질의 진하고 진한 농도 불의와 거짓과 왜곡을 견딘 힘의 원... 이마르첼리노M 2014.02.04 4874
684 사랑의 신비 사랑의 신비 나의 무게는 나의 사랑 무게가 늘수록 견디는 힘도 늘어나는 신비 고통과 더불어 찾아오는 허탈한 무기력 공감의 강물이 말라버리고 어디에도 마음... 이마르첼리노 2011.10.28 5592
683 사랑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 사랑의 사도 마리아 막달레나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과 누군가가 나를 좋아한다고 느끼는 것, 내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과 내가 누... 이마르첼리노M 2021.07.22 399
682 사랑의 뿌리에 대한 성찰 사랑의 뿌리에 대한 성찰   나는 언제부터인가 사랑의 뿌리와 원천과 동기에 대한 성찰을 해왔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마르첼리노M 2020.03.03 435
681 사랑의 묘약 (2007년 9월26) 사랑의 묘약     사랑 때문에 기도하고 사랑 때문에 시를 쓰는 마음   사랑은 내 존재의 근원에서 꽃피는 축제요 염원이요 참회라 할 수 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9.30 320
680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하느님께서 나를 통하여 드러내시는 선, 육화의 체험을 조금이라도 맛본 사람은 뒤로 돌아갈 수가 ... 1 이마르첼리노M 2019.08.28 460
679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인간의 강함은 자만심에서 나옵니다. 인간의 자만심은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으려는 자율적인 마음과 독립적이고 통제... 이마르첼리노M 2024.04.16 124
678 사랑은 아픈 것 이마르첼리노M 2013.03.30 6846
677 사랑은 부활의 증인 사랑은 부활의 증인   용서받은 사랑이 남긴 타오르는 사랑의 열정 살아계신 주님을 사랑한 여인 극진한 사랑과 오롯한 헌신으로 예수님과 제자들과 동행... 이마르첼리노M 2020.07.22 520
676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보편적 사랑을 배우다 보면 차별과 독점을 찾던 내가 부끄러워 얼굴을 들을 수가 없다. 하느님의 보편적 사랑에 눈... 이마르첼리노M 2021.11.29 353
675 사랑은 보는 것을 갈망한다. 사랑은 보는 것을 갈망한다. 사랑이 깊을수록 보고 싶은 마음도 깊다. 바라보고 들어보고 만져보고 맡아보고 맛보고 느껴보고 싶어진다. 성프란치스코도 사랑... 이마르첼리노M 2013.10.06 5325
674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매력은 좋은 본보기로 우리를 끌어당긴다. 하느님을 전달하는 가장 구체적이고 섬세한 사랑의  매력이야말... 1 이마르첼리노M 2022.06.02 388
Board Pagination ‹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