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조선일보 "콜베" 김경상사진집 기사 보도자료
2007/01/13 00:21



사진전 뉴스 보기

홈 >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니까.
폴란드 출신인 콜베 신부는 1941년 5월 아우슈비츠로 끌려갑니다.
수인번호 ‘16670’으로 불리던 신부는 다른 수감자들과 똑
같이 강제노동과 구타, 굶주림에 허덕입니다.
그러나 콜베 신부는 동료들을 위로하고 고해성사를 줍니다.
두 달쯤 지났을까요.
감방에 있던 수감자 하나가 탈출을 시도합니다.
1명이 탈출할 때마다 10명을 죽이는 게 수용소의 규칙이었습니다.
소장은 ‘아사감방’에 갈 희생자 10명을 고릅니다.
지목을 당한 죄수 하나가 가족이 보고 싶다고 울부짖습니다.
이 때 누군가 대열에서 나와 자기가 대신 가겠다고 하지요. 콜베 신부였습니다.


감방에 갇힌 죄수들은 콜베 신부의 인도 아래 기도와 묵상을 합니다.
하나 둘씩 굶어 죽지만 2주가 지나도록 신부는 다른 수감자 3명과 함께 살아남습니다.
수용소장은 사형을 명령합니다.
그 해 8월14일 위생병이 콜베 신부에게 독약 주사를 놓으러 왔습니다.
신부는 팔을 내밀지요.

아우슈비츠 생존자인 작가 프리모 레비는 대표작
‘이것이 인간인가’(돌베개)에서 수용소를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한시도 쉴 수 없는 곳”이라고 증언합니다.
거리낌없이 시체와 한 침대를 쓰고 옆 사람이 가진 빵 조각을 뺏기 위해
그 사람이 죽기를 기다리던 곳이라고요.
그렇게 해야 몇 날, 몇 달이라도 버틸 수 있었답니다.
콜베 신부는 이런 곳에서 다른 사람들을 걱정하다 죽음을 맞은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번 주 나온 사진가 김경상씨의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진집(세상의 아침)을
넘기다가 콜베 신부를 다시 만났습니다.
수용소에서 증오를 체험한 스테믈러 박사에게 콜베 신부가 이렇게 속삭였답니다.
“증오는 아무 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여러분은 이해가 가십니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2년 콜베 신부를 성인으로 선포했습니다.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가톨릭 신문

콜베 신부 사진전, 17~30일 명동 평화화랑


콜베 신부의 영성 발자취를 찾아서

“증오는 아무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죽음의 수용소’로 불린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한 수감자를 대신해 순교한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1894~1941,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의 일화는 비신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콜베 신부는 나치의 권력 아래에 놓여진 폴란드에서 ‘원죄없으신 성모의 기사’ 잡지를 발행한 이유로 체포됐다. 그는 수용소에서 혹독한 강제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절망에 빠진 수많은 이들을 하느님과 화해시키는 다리가 됐었다. 특히 선교에 대한 그의 열정은 일본과 인도 등 세계 곳곳에 흔적을 남겼다.

콜베 신부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피폐해진 세계에 하느님 정의와 평화를 세우기 위해 1917년, ‘원죄 없으신 성모 기사회’를 창설한다. 1922년 창간된 잡지 ‘성모의 기사’는 지금까지도 세계 곳곳에서 발행되고 있다.

이러한 콜베신부의 선교활동과 영성적 업적을 사진으로 만나보는 자리가 서울 명동 평화화랑에서 마련돼 눈길을 끈다. 한국 성모 기사회 주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경상(마태오)씨의 작품으로 꾸며진다.

카메라의 시선은 첫 성모마을인 폴란드 니에포칼라투프에서부터 일본, 아프리카, 한국의 성모마을, 콜베 신부의 생가와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으로 이어진다.

작품들은 콜베신부의 영성을 따라 사는 수도자들의 ‘봉헌의 삶’을 통해 그의 발자취를 표현하고 있다. 수도자들이 운영하는 시설에서부터 세계 최초로 공개되는 수도회 봉쇄구역의 모습까지 다양한 장면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흑백작품 30점이 전시되며 출품작 외의 작품들은 사진화보집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도서출판 세상의 아침/1만5천원)로 만나볼 수 있다.
※문의 02-727-2336, 031-771-6134(성모기사회)

가톨릭 신문 주정아 기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2 08년도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봄철 프로그램 {FILE:1} file 프란치스코 회관 2008.02.10 6935
1291 과연 우리가 구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신앙인들은 예배가 끝나고 기도를 할 때 항상 주기도문으로 마친다. 항시 기도를 하지만 이 주기도문에는 많은 뜻이 들어 있다. 그중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 정성철 2012.04.08 6905
1290 2009년 가을 영성학교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9년 가을학기 영성학교를 개최합니다. 주님의 말씀 성찬에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성체조배회 2009.10.17 6904
1289 [조심하세요] 인터넷 수도원 아래 송바오로란 분이 올리신 인터넷 수도원은 가톨릭 영성이 아니고 개신교입니다. 그리고 좀 수상해 보이네요. 예비자나 기타 방문자들의 혼란을 방지 하기위해... 1 프란치스꼬 2007.07.17 6896
1288 오늘이라는 선물 http://www.corebang.com 세상이 도대체 나에게 해준것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는데 세상은 매일 아침 나에게 '오늘'을 선물해 주더군요 오늘도 난 24시간의 가능... 이믿음 2006.03.09 6848
1287 사랑은 아픈 것 이마르첼리노M 2013.03.30 6847
1286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1 T. 그리스도의 평화              내가 2009년도 여름.. 우리 유기서원소에서는 1년차 여름 방학 프로그램때 유급체험이라고 밖에 나가서 돈 ... 김기환베드로M. 2013.04.27 6841
1285 고틱건축의 멋과 프란치스칸 영성의 향기에로 초대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들 14일 9월 2011년 추석이 지나고 새 일정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저는 수도원 생활이라 명절은 항상 명절이면 더 마음이 괴롭고 어려운 분들... file 이 종한 (요한 ) 2011.09.14 6833
1284 한밤의 깨달음 한 밤의 깨달음   상대방을 길들여 자네의 종으로 만들지 말게   폭력중의 가장 큰 폭력은 사람에 대한 존중심과 자유를 헤치는 것이라네. ... 이마르첼리노M 2013.05.16 6831
1283 서품식 녹화 방송 작은형제회 사제서품식 프란치스코 성인의 영성을 따르는 작은 형제회 사제와 부제 서품식이, 지난 30일,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성당에서, 교구장 정진석 추기... 정마리아 2006.07.03 6831
1282 이스탄불 상반기 마지막 일치기도 모임 동영상 http://cafe.daum.net/dialogueunity/7SlH/110http://cafe.daum.net/dialogueunity/7SlH/110 대화일치 2009.07.29 6829
1281 Agnus Dei (아뉴스 데이) Agnus Dei (아뉴스 데이)   크리스챤 신앙의 핵심은 부활신앙이며 부활은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전제로 하기에, 크리스챤들은 성주간 전례를 통... file 이종한요한 2017.04.17 6828
1280 봄 밤에 쓰는 편지 봄밤에 쓰는 편지 잃어버린 아침을 애석히 여기는 저녁나절의 허적한 심정처럼 지나온 시간들을 바라보면 허전하고 씁쓸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남아있는... 1 이마르첼리노M 2013.04.15 6823
1279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819
1278 아랫글의 기자가 수정한 기사내용 바티칸 교황청 ‘비공개 구역’ 바오로 채플… 국내언론 처음 미켈란젤로 벽화 취재기사 (기사입력 2011-05-18 03:00:00 기사수정 2011-05-18 16:39:38) ‘교황의 밀... file 이종한 2011.05.22 6816
Board Pagination ‹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