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조선일보 "콜베" 김경상사진집 기사 보도자료
2007/01/13 00:21



사진전 뉴스 보기

홈 > 뉴스 > 문화 > 북스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를 아십니까.
폴란드 출신인 콜베 신부는 1941년 5월 아우슈비츠로 끌려갑니다.
수인번호 ‘16670’으로 불리던 신부는 다른 수감자들과 똑
같이 강제노동과 구타, 굶주림에 허덕입니다.
그러나 콜베 신부는 동료들을 위로하고 고해성사를 줍니다.
두 달쯤 지났을까요.
감방에 있던 수감자 하나가 탈출을 시도합니다.
1명이 탈출할 때마다 10명을 죽이는 게 수용소의 규칙이었습니다.
소장은 ‘아사감방’에 갈 희생자 10명을 고릅니다.
지목을 당한 죄수 하나가 가족이 보고 싶다고 울부짖습니다.
이 때 누군가 대열에서 나와 자기가 대신 가겠다고 하지요. 콜베 신부였습니다.


감방에 갇힌 죄수들은 콜베 신부의 인도 아래 기도와 묵상을 합니다.
하나 둘씩 굶어 죽지만 2주가 지나도록 신부는 다른 수감자 3명과 함께 살아남습니다.
수용소장은 사형을 명령합니다.
그 해 8월14일 위생병이 콜베 신부에게 독약 주사를 놓으러 왔습니다.
신부는 팔을 내밀지요.

아우슈비츠 생존자인 작가 프리모 레비는 대표작
‘이것이 인간인가’(돌베개)에서 수용소를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한시도 쉴 수 없는 곳”이라고 증언합니다.
거리낌없이 시체와 한 침대를 쓰고 옆 사람이 가진 빵 조각을 뺏기 위해
그 사람이 죽기를 기다리던 곳이라고요.
그렇게 해야 몇 날, 몇 달이라도 버틸 수 있었답니다.
콜베 신부는 이런 곳에서 다른 사람들을 걱정하다 죽음을 맞은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번 주 나온 사진가 김경상씨의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진집(세상의 아침)을
넘기다가 콜베 신부를 다시 만났습니다.
수용소에서 증오를 체험한 스테믈러 박사에게 콜베 신부가 이렇게 속삭였답니다.
“증오는 아무 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여러분은 이해가 가십니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2년 콜베 신부를 성인으로 선포했습니다.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기철 출판팀장 kichul@chosun.com


가톨릭 신문

콜베 신부 사진전, 17~30일 명동 평화화랑


콜베 신부의 영성 발자취를 찾아서

“증오는 아무것도 건설하지 못합니다. 구원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죽음의 수용소’로 불린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한 수감자를 대신해 순교한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1894~1941,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의 일화는 비신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콜베 신부는 나치의 권력 아래에 놓여진 폴란드에서 ‘원죄없으신 성모의 기사’ 잡지를 발행한 이유로 체포됐다. 그는 수용소에서 혹독한 강제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절망에 빠진 수많은 이들을 하느님과 화해시키는 다리가 됐었다. 특히 선교에 대한 그의 열정은 일본과 인도 등 세계 곳곳에 흔적을 남겼다.

콜베 신부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피폐해진 세계에 하느님 정의와 평화를 세우기 위해 1917년, ‘원죄 없으신 성모 기사회’를 창설한다. 1922년 창간된 잡지 ‘성모의 기사’는 지금까지도 세계 곳곳에서 발행되고 있다.

이러한 콜베신부의 선교활동과 영성적 업적을 사진으로 만나보는 자리가 서울 명동 평화화랑에서 마련돼 눈길을 끈다. 한국 성모 기사회 주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경상(마태오)씨의 작품으로 꾸며진다.

카메라의 시선은 첫 성모마을인 폴란드 니에포칼라투프에서부터 일본, 아프리카, 한국의 성모마을, 콜베 신부의 생가와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으로 이어진다.

작품들은 콜베신부의 영성을 따라 사는 수도자들의 ‘봉헌의 삶’을 통해 그의 발자취를 표현하고 있다. 수도자들이 운영하는 시설에서부터 세계 최초로 공개되는 수도회 봉쇄구역의 모습까지 다양한 장면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흑백작품 30점이 전시되며 출품작 외의 작품들은 사진화보집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도서출판 세상의 아침/1만5천원)로 만나볼 수 있다.
※문의 02-727-2336, 031-771-6134(성모기사회)

가톨릭 신문 주정아 기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9 꿈이야기 어느 수도자가 밤에 꿈을 꾸었다. 그런데 꿈에서 하느님께서 나타나시어 그 수도자에게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줄 터이니 말해보라고 하였다. 그래서 수도자는 “누가... 일어나는불꽃 2016.07.31 809
738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27 수요일) &lt;2016 포르치운쿨라 이야기 6&gt; 정신이 번쩍 드는 아침이다. 엊저녁 힘든 하루의 반성을 얼마나 야무지게 했는지 준비하는 몸놀림이 사뭇 어제와 다르다. 4시 55분... 김레오나르도 2016.08.01 908
737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28 목요일) &lt;2016 포르치운쿨라 이야기 7&gt; 구간: 예성교~화개장터 인원: 33명 오랫만에 5시를 넘겨 이부자리를 보존하여도 되는 아침. 더 자야하는대, 더 자도되는대 눈이 떠... 김레오나르도 2016.08.01 974
736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29. 금요일) &lt;2016 포르치운쿨라 이야기 8&gt; 구간: 화개중학교~하동학생수련원 인원: 33명 새벽 4시 출발이라더니 모이고 몸 풀고 나니 5시 출발이다. 해없는 아침 1시간이 아... 김레오나르도 2016.08.01 1080
735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30 토요일) 포른치운쿨라 행진 아홉번째 날 기록 주제 : 나눔날  sharing day 연대  기억 : 장애인들 여정 : 하동학생야영수련원에서 하동 궁항리까지의 여정 함께하신 분 : ... 김레오나르도 2016.08.01 1142
734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31 일요일) 포른치운쿨라 행진 열번째 날 기록 사막의 오아시스라는 것이 아마 이런 것일 듯하다. 산청군에서의 폭염재난 방송을  들으며 숲속 콘크리트 길을 지나 오늘의 목... 김레오나르도 2016.08.01 1288
733 한 이름을 불렀다. 한 이름을 불렀다.         말의 여로, 말 속의 오랜 방황을 거치며 마침내 찾아낸 이름, 그 이름으로 님을 불렀다.   한 마디의 주어... 이마르첼리노M 2016.08.07 1367
732 중세기행(4) 중세 프란치스칸들의 혁명적 예언성  베르골리오 추기경이 예수회원으로  처음 교황에 선출되면서 엉뚱하게도 프란치스코 라는 이름을 택하여  생각하는 사람들을 좀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역사... file 이종한요한 2016.08.09 1946
731 성모승천 축일에 성모승천 축일에   창세기에 나타난 하와의 선택이 빚어낸 죽음 그 여인의 갈망에 따른 세상의 악 새로운 아담으로서의 예수 그리고 새로운 하와로서의 성... 이마르첼리노M 2016.08.13 816
730 수도승과소나기 어떤 수도승이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깨닫고자 수행처에서 묵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알지 못했다. 그 수도승은 끝내 깨닫지 못하자 포기... 일어나는불꽃 2016.08.20 943
729 가을 편지 가을편지 해맑은 물 여울을 안고 흐르는 깨끗한 개울의 옥빛 돌처럼 시간도 줄지어 물인 양 흐르는 거기, 한결같이 곁에 있어준 고마운 이름에게 가을 편지를 ... 이마르첼리노M 2016.09.01 1101
728 성음악 선교 미사를 위한 성가대 모집 평화와 선 사랑하는 형제, 자매님들. 한가위 명절을 기쁘고 즐겁게 그리고 풍요롭게 잘 보내셨는지요? 오늘은 성가대원을 모집하기 위해 글을 올립니다. ... 김레오나르도 2016.09.17 1082
727 너와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가장 오묘한 것은 가장 단순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함이 주님의 영으로 조명 받지 못하면 가장 어리석음의 열매만 남아있을 뿐이다. 관계의 성숙... 이마르첼리노M 2016.10.01 997
726 생각속의 삶 길고양이를 불렀는데 오지않아도 서운하거나 화가나지 않는다. 길고양이가 오지않는것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렸을적부터 키웠던 강아지가 주... 일어나는불꽃 2016.10.09 767
725 삶의 자리에 피는 꽃 삶의 자리에 피는 꽃     사랑을 모르는 사람은 미움도 모를 성싶다. 구하지 않는 이는 거절에 당면하지 않을 것이고 애정의 갈망에 울지 않고서는 ... 이마르첼리노M 2016.10.15 849
Board Pagination ‹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