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5.05.25 13:40

두 동창 녀석들

조회 수 14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와 선

 

  지난 주간에 희비가 엇갈리는 두 소식을 접했다.

 

  그 하나는 흑석동에서 3년간 덕수상고를 함께 다닌 동창 친구 녀석이 일찍 하늘나라로 갔다는

비보(悲報)였고, 다른 하나는 초교 동창으로서 2년 전인가 암말기의 진단을 받아 죽음의 문턱에서 수술을 거부하고 강원도 오색과 양양에서 자연식을 하며 요양, 투병을 하던 녀석이 멀리 스페인의 산티야고 순례 길을 25일째 걷고 있다는 기쁜 소식을 카톡으로 여러 장면의 사진과 함께 보내 온 것이다.

 

  그런데 그 둘은 평소 삶을 대하는 방식이 너무나 달랐다고나 할까.

  둘이 다 좋은 학교를 나와, 죽은 녀석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나와 오랜 세월 직장과 가정에 의무를 다하며 살았지만, 어쩌다 만나면 늘 부정적이고 힘든 인간관계를 털어 놓는 편이었다.  말년엔 척추 수술을 받아 다리가 불편, 보통 활동하기에도 어려움을 호소, 몇 년간은 거의 골방 노인처럼 지내왔었다.  그래도 그토록 빨리 생을 마감하다니...!

  3년간 학교를 같이 다녔고 어쩌다 만나면 이런저런 회포를 곧잘 풀었던 녀석이 먼저 영원한 안식에 들어 만날 수가 없게 되었다니, 삶과 죽음이 정말 생겼다 어디론가 스러지는 뜬구름만 같게 여겨지는 게다.

 

  후자 녀석 역시 서울고교를 거쳐 유명 대학을 졸업- 한 때 몇 년간은 뉴질랜드에서의 이민 생활을 하다가 장남으로서 부모님 공양에 소홀한 것 같다면 딸들만 뉴질랜드에서 정착해서 살도록 하였고,한국으로 귀국해, '자유 여행 수필가'라는 직업과 사업상 중동이나 아프리카...등지로 자주 여행을 하며 지내온 녀석이다.  그의 수필을 대하면, 어쩌면 그리도 국내외 오지를 찾아서 잘 다녔고 필치도 풍부한지 손색없는 문인으로서의 끼를 십분 잘 발휘하며 지내왔음을 부정할 수가 없다.  

  2년 전 암 말기로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의사들의 권유가 있었을 당시, 강릉에서의 회의 참석차 죽음의 문턱을 오가는 그를 위안하려 오색으로 방문하여 이런저런 담담한 이야기들을 나누었고, 빈들 카페에도 그런 내용의 글을 올린 적이 있다.  결국 수술을 거부하고 공기 좋은 산 속에서 자연 치유의 일환으로 열에 약한 암균과 투병- 매일 체온을 높이려 등산을 빠짐없이 하노라 설명을 하던 그였다.

  그랬던 그가 완전 쾌유되어 산티야고 순례 여정 25일 째라니...!  아마도 지금쯤 한 달 이상이 되어 다 마쳤을지도 모르겠다.  장하도다, 베드로!  덤으로 생명을 주신 하느님께 순례 길을 완주하고는 얼마나 감사, 감회가 깊었을꼬!       

 

  그렇다.  평소 가까이 해 온 두 동창 녀석들의 죽음과 생을 바라보면서, 그런 모든 것들이 나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역시 내게도 직결되어 있다는 것을 깊히 느낌에랴!

  그렇다면 결코 길지않을 여생을 어찌 지내야 할까?  '내일 죽는다 하여도 오늘 사과 한 그루를 심는' 긍정적인 도전의 자세가 필요하리라.  '거저 주신 생명 언제 거두어도' 후회가 없을 오늘, 지금을 늘 감사에 넘쳐 살아야 하지 않겠는가.

 

  내일이면 연피정의 일환으로, 팽목항을 시작으로 강정 마을을 끝으로 하는 7일간의 짧은 여정을 걷기로 하였다.  신록이 짙어가는 이 푸르름에, 함께하는 자그마한 아픔도 어쩌면 호사를 누리는 것 같아 생을 굽어보시는 하느님께 마냥 죄스러움에랴!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달마사의 불자들 가끔 가는 현충원엔 '지장사'란 오래된 절이 있고, 그 넘어 흑석 3동의 산 꼭대기에 '달마사'가 있다. 지장사는 초교 1년생들이 으례히 가는 소풍 장소로서, 당시... 김맛세오 2019.06.21 1383
426 마(魔)에 시달리는 어느 자매 이야기 T 온 누리에 평화가...   한 생을 지내면서 어느 경우엔 참으로 신비로운 만남도 다 있으니, 오늘 올리고자 하는 경험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역시 2012... 김맛세오 2018.01.09 1386
425 연민이란 인간(관계)을 잘 이어주는 다리 T 평화와 자비   지난 해, 교황님이 강조하신 '자비'의 의미가 무엇인지 곰곰 생각해 봅니다.   어느 유명한 절 앞,커다란 바위에다 새겨놓은 '자비무적(慈悲... 김맛세오 2017.01.17 1388
424 흠영(欽英)의 성지순례 길 T 평화와 선   참으로 무던히도 많이 다녀 본 국내 성지순례 길이었다.   그렇게 2016년 나의 '안식년'과 더불어, 1년이란 짧고도 긴 시간들이 지나 어느덧 ... 김맛세오 2016.12.02 1392
423 어김없이 봄이 오고있음을... T 온 누리에 평화가 오기를...   가끔 가슴이 먹먹해지면,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란 싯귀절이 떠오른다.   지금 한창 열기가 더해가는 평창 올... 김맛세오 2018.02.12 1395
422 강 따라 걸으면서...(2) T 평화와 자비 비가 오는 창 밖을 물끄럼히 내다보노라니 떨어지는 낙숫물처럼 상큼하게 떠오르는 가까운 추억들...  며칠 전 저희 5명의 형제들이 걸었던 ... 김맛세오 2016.05.03 1416
421 소풍같은 성지순례길 T 평화와 자비   금년 말까지 주어진 '안식년'을 기해 참으로 많은 국내 성지순례를 다녔다. 지금까지는 주로 멀지않은 경기도 일대를 순례하여지만, 얼마 전... 김맛세오 2016.10.06 1417
420 어느 가구점 주인의 친절 T 온 누리에 평화   요즘처럼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이었나 봅니다.   마침 한 할머니가 우산이 없어 한 가구점 앞에서 비를 피해 서 있었습니다.   곧 가... 김맛세오 2017.07.10 1420
419 이왕이면 좋은 습관을 들여야...^^ T 평화와 자비   2월의 첫 날!  시끌벅절하던 연말 연시가 지나 2016년 금년도 벌써 한 달이 지났네요.   찬바람을 이기려 외출시엔 두터운 잠바에다 벙어리 ... 김맛세오 2016.02.01 1422
418 기특한 동창 녀석들 T 축, 부활!   지난 연말 즈음이었다.  송년회겸 연말 회포도 풀겸 흑석동 동창 모임에 꼭 나와달라는 채근이 있어 모처럼 참석을 했었다.  평소 나의 생활에 ... 김맛세오 2018.04.03 1428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