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1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5%의 사랑을 부모님께!

지난 3월, 뜻하지 않게 맹장염에 걸려 1주일 입원을 해야만 했다.
주님께서 나를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맹장염 수술도 남들처럼 수월하게 넘어가지 않았다.

수술 부위에 물이 고여 1주일은 통원 치료를 받아야만 했다.
집과 병원은 극과 극, 택시 타기도 그렇고, 교대 근무하는 동생 신세도 미안하고, 해서 생각해 낸 것이 평소에 이용하는 장애인 차량 봉사대에 도움을 청했다.

감사하게도 연결이 되어, 오신 봉사지님의 차안에는 유치원생인 손자 2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 엄마와 나는 너무 고마워서 치료 받은 후, 병원 앞에서 파는 귤과 뻥튀기 과자를 사서 주었더니, 귤만 받고, 과자는 안먹겠단다.

집에 오는 길, “얘들은 고급 과자 아니면 안먹유.. 우리때는 없어서 못먹었는데, 당췌~ 세상이 어떻게 될라는지, 나한테는 일원 한장 없으면서도 지 애들이라면 껌뻑 넘어간다니까유”

입담이 좋으신 봉사자님, 충남 공주가 고향이시라는데, 난생 처음 충청도 사투리를 사용하시는 분, 아주 소박하며, 서민의 삶을 살아오신 듯한 일로 늙은 두툼한 손, 10여년전부터 사용하셨다는 차…

허름한 여인숙을 혼자 운영하신다고 하시며, 집에 오는 내내 삶의 푸념을 늘어 놓으셨다. 같은 시대를 사신 엄마만이 그분의 삶을 이해하시겠지..

우리집도 네살박이 조카가 있다 남동생 부부의 아들
맞벌이 한다고 생후 8개월부터 맡아 키우시는 엄마

옛말에 ‘애본 공 새본 공’ 없다’ 란 말이 있는데, 나는 피부로 느끼고 있다. 자식을 키워주는 감사보다는 오히려 훈계와 짜증,서운함을 내비치는 것을 볼 때가 참 많다. 지들도 부모가 되었는데, 어찌 부모의 사랑과 은혜를 저렇게도 모를까..

칠순이 넘으신 엄마는 지금도 조카를 업고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고, 오고
조카는 매일 혼내는 할머니 보다는 가끔 와서 보는 부모를 더 따른다.
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다.
정성껏 키워, 이젠 말귀를 알아듣는 나이가 되니 얼마나 이쁠까..
그래서 애가 사달라는 것 다 사주고, 차를 태워 여기저기 구경이나 시켜주고 하니.. 아이 입장에서는 얼마나 좋겠는가.

한달에 고작 몇푼 주면서, 할 도리 다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비단, 이런 일들은 우리집만 일어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부모에 대한 사랑과 은혜 감사를 모르면서도 자기 자식만큼은 목숨을 내놓을 정도..

그러니, 그런 분위기에서 자란 아이들의 정서에는 孝 사상이 있을리 없고, 극도의 이기주의, 인내심 결여, 인간미 결여 등으로 사회적 문제로 까지 번지는 것이 아닐는지..

자식에게 줄 5%만아라도 사랑을 부모님께 전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지금은 젊지만, 결국 늙어갈 것이고, 결국 지금의 부모 모습이 자신의 모습이 될터인데..

집에서나 주변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보며, 나는 하느님 아버지를 떠올린다.

나도 물론 내 부모에게 孝를 다하는 사람은 결코 아니고, 동생 부부나 다른 사람들을 판단할 수 없다. 다만 하느님 아버지께는 얼마나 마음이 아프실까?

항상 사랑을 주시는 하느님 아버지!

문득문득 그분을 떠올리면서 나 자신을 반성하게 된다.

5%의 사랑만이라도 부모님께!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2 15.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기 15.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기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의 가능성은 우리와 함께 한다. 어느날 죽음이 우리에게 갑자기 다가... 김상욱요셉 2023.11.07 153
1421 회개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회개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스스로 회개할 수 있다고 여기는 이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하느님에 대한 이미지를 사람의 생각에 가두는 모습입니다. 기도의 ... 이마르첼리노M 2023.11.04 210
1420 회개 - 준비하고 깨어있는 자들이 누리는 현재의 행복 회개 - 준비하고 깨어있는 자들이 누리는 현재의 행복   11월에 자주 듣는 말씀은 종말론적인 이야기입니다. 미래에 있을 종말을 염두에 두고 사는 이들에게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1.02 240
1419 14. 당신 스스로 "작은 규칙"을 세우기 14. 당신 스스로 “작은 규칙”을 세우기 잭 콘필드는 한 영적 스승에 대해 글을 썼다. 그 스승은 자신이 발산하는 아름다운 믿음과 따뜻함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 김상욱요셉 2023.10.29 218
1418 영의 인도를 받지 않으면 영의 인도를 받지 않으면     깨닫기 전에 성서를 읽으면 성서를 통해 나를 보지만 깨달은 후에 성서를 읽으면 성서를 통해 너를 본다.   회개한 이들이 성서를 ... 이마르첼리노M 2023.10.29 468
1417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181
1416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페넬로페 롤란드스가 편집한 작품 ‘Paris Was Ours’에서, 기고자들은 외국에서 온 작가들이 프랑스에 살 때 만나는 ... 김상욱요셉 2023.10.23 222
1415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기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기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지 않으면 해석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구약성서에 나... 이마르첼리노M 2023.10.23 275
1414 12. 당신의 경신 의식을 확장하기 12. 당신의 경신 의식(rituals)을 확장하기 이 내적 작업에서 우리가 자신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질문이 있다. 그것은 우리 삶에 대한 인식을 ... 김상욱요셉 2023.10.14 206
1413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기 한 영적 스승이 제자에게 말했다. “너는 지금의 너로서 거의 완전하다. … 그리고 너는 약간의 성장... 김상욱요셉 2023.10.06 350
1412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을 배우는 학교 (성프란치스코의 축일에)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을 배우는 학교 (성프란치스코의 축일에)   내어 주는 만큼 기쁘고, 내려가고 내려놓을수록 풍요로워지고, 허용하고 놓아줄수록 자유로운 신... 이마르첼리노M 2023.10.04 274
1411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에게서 나오는 자비와 선은 자신을 내어주는 존재 방식입니다. 나는 내... 이마르첼리노M 2023.09.29 178
1410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우리는 사실과 가상을 섞어 인식한다. 개인의 양성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진실이 아닌 것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부드... 김상욱요셉 2023.09.28 303
1409 내어주는 사랑으로 연결 되지 않는 기도는 심판하는 저울이 됩니다. 내어주는 사랑으로 연결되지 않는 기도는 심판하는 저울이 됩니다.   영의 현존 안에 머물러 있는 사람은 내면의 자유를 누립니다. 성프란치스코와 성녀 글라라는... 이마르첼리노M 2023.09.23 306
1408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 이마르첼리노M 2023.09.19 22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