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2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사진전 안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마더 데레사] 기획 초대 사진전
2006.4.4~ 16 (2주간) 프레스센타 서울 갤러리 전관
주관: 천주교 서울대교구, 서울신문사
사진집 : 기억합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분도출판사
낯선 천국 (캄보디아의 마더 데레사) , 분도출판사

“나는 행복합니다. 그대들도 행복하시길…”


<사진07>
군중들에게 마지막 모습을 보이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2005년 2월 20일 정오 ‘신자들과 함께 드리는 삼종기도’에서 신자들에게 훈화하시고 강복하시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성하. 이 모습이 교황께서 생전에 일반 신자들에게 공개적으로 모습을 보이신 마지막 모습이다. 2005년 4월 2일 “나는 행복합니다. 그대들도 행복하시오.”라는 마지막 말씀을 남기신 교황께서는 숨을 거두시는 순간까지 창문 밖에서 신자들의 묵주기도 소리가 들리는 창문을 향하여 오른팔을 들어 올리며 강복하시고, ‘아멘’하는 입술 모양을 보이셨다고 한다. “나를 따르라” 하신 예수님의 삶을 끝까지 따라 사셨던 교황 성하의 아름다운 죽음을 묵상한다. - 김경상 -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선종 1주기를 맞아 2006년 4월 4일부터 2주간(4.4~16) 프레스센터 서울 갤러리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선종 1주기 기념 사진전을 개최한다.


지난 해 선종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95년 발표한 회칙 『생명의 복음』에서 《생명을, 모든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하고 사랑하며, 그것을 위하여 봉사하십시오! 오직 이 방향에서만 여러분은 정의, 개발, 참된 자유, 평화와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전하며 생명의 존엄성에 관해 거듭 강조해왔다.


생명존중의 빛을 밝히고, 난치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치유를 위한 소명을 다하고자 발족한 생명위원회는 생명존중을 특별히 강조하셨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덕을 기리고 우리 사회에 생명존중 문화를 만들어가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이 사진전을 기획하였다. 이 전시회를 통해 생명의 신성한 가치를 깊이 깨닫고 묵상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사진17>
고향 "바도비체" 마을내 학교 운동장 모습. 교황님의 생가 뒷편 100m 거리에 위치한다.
1920년 5월 18일, 폴란드의 작은 마을 바도비체에서 태어난 카롤 요세프 보이티야 소년은 스무 살이 되기도 전에 모든 가족을 잃었다. 모든 대학과 신학교가 폐쇄된 나치 치하에서 보이티야는 생계와 학업을 위해 하루 8시간씩 채석장에서 일했다. 영하의 날씨에도 돌을 깨는 고된 노동, 교황에 오른 후 가난한 이들에 대해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보인 것은 이러한 체험 때문이다. - 김경상 -


사진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추모하는 폴란드 고향 주민들의 깊은 신앙심을 담은 사진이 전시되며, 세계 최초로 마더 데레사 수녀님의 위대한 유산인 캘커타의 대규모 마더 하우스 안의 생활 모습 등이 공개된다.


바티칸 시복식(2002.10.1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생가가 있는 고향 바도비체, 고향 인근 국경마을 스트라우치나, 휴양지 자코파네, 체스토호바, 크라코우, 코시나 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관련 있는 곳의 모습을 비롯해 폴란드의 여러 성당에서 거행된 교황 선종 100일 특별미사 등 교황을 추모하는 폴란드 국민들의 모습 등이 사진에 담겨있다. 또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고향 바도비체를 중심으로 인근 국경마을 주민들의 깊은 신앙생활을 잘 담아낸 사진들은 마리시메온 수녀의 묵상글과 함께 책으로도 발간해 전시회에서 함께 전시 판매한다.


사람들에게 가서 안아주고, 아기들을 껴안고, 스키를 타다 모자가 벗겨지기도 하는 건강하고 유쾌한 교황. 자신을 저격한 사람을 용서하는 참사랑을 보여준 교황. 앉아서 바티칸의 서류에 묻히기보다 세계를 돌며 복음을 전하고, 연극을 좋아하고, 운동을 즐겼고, 시인이었으며 삶을 사랑하고 여유를 즐길 줄 알았던 교황. 우리는 사진전을 통해 우리들 기억 속에 각인된 이러한 교황의 이미지를 다시 한번 떠올리며 그 분의 뜻을 깊이 묵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25>
고향 인근 국경 마을 "스트라우치나", 숲속 야외 미사 중 한 소년의 고해성사.


한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동시대를 살며 생명존중의 삶을 몸소 실천했던 마더 데레사 수녀의 영성을 느낄 수 있는 사진전도 함께 열린다. ‘사랑의 선교회’ 캄보디아 공동체 등 2003년 10월 복자 품위에 오른 마더 데레사의 영성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끝없는 사랑과 봉사의 현장이 가슴 뭉클하게 한다. 프놈펜 메리놀 HIV 임종의 집, 간치아파라 한센병 환자 재활농장 등 외부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곳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마더 데레사의 사랑의 선교회 빈민구휼모습과 마더 데레사의 ‘사랑의 선교회’에서 특별히 허가를 받아 캘커타 반경 300km 이내의 대규모 마더 하우스를 국내에 소개한 사진집『캘커타의 마더 데레사(2005.3 출판)』도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선종 1주기 기념 사진전은 프리랜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경상씨의 작품으로 이루어졌다. 김경상씨는 26년간 세계 각국의 소외시설을 다니며 다큐멘터리 사진 작업을 하며 일반사진작가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세계의 이미지를 담아왔다.


<사진36>
티타가르 평화의 마을 (한센병 환자 재활 공동체) 나마스떼! (안녕하세요?) 평화의 인사를 보내는 한센병 환자 부녀.
고통이 우리 삶을 덮칠 때 우리는 그것을 미소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하느님이 우리에게 주시고 또 요구하시는 것을 모두 미소로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를 갖는 것, 이는 하느님이 주시는 엄청난 선물입니다. - 마더 데레사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생명존중의 뜻을 기리는 이번 전시회의 입장료와 도서 판매 수익금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의 ‘생명의 신비 기금’으로 기부된다.


문의.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전화 727-2035, 팩스727-2355)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9 하느님의 선택 + 평화와 선 그렇게 괴롭히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시원한 바람이 솔솔~ 불어와 행복을 주고 있습니다. 모든 님들께 주님과 사부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 빕니다.... 정마리아 2006.08.20 5103
1368 하느님의 방식 하느님의 방식   진심으로 보고 들으려면 타인의 상황에 몰입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주는 것의 순수한 기쁨은 받는 사람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0.03.18 515
1367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quot;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여라.&quot; (마태 18,22) 일만 달란트나 되는 돈을 빚진 사람이 왕 앞에 끌려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3.03.15 283
1366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는 분명 남성이었지만 그리스도는 남성과 여성성을 초월하시는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은 부성과 모성을 지니... 이마르첼리노M 2021.01.14 458
1365 하느님의 가난 하느님의 가난   삼위일체 신비 안에서 사랑을 배운다. 하느님의 사랑 안에는 소유의 흔적이 없다 “상호 이타적이면서 완전한 자기 증여.”   사랑은... 이마르첼리노M 2017.12.09 1280
1364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219
1363 하느님은 나에게 아버지신가? 하느님은 나에게 아버지신가?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가? 저지르고 생각할 것인가?   생각하는 대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살게 될 것인가? 사는 대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9.30 522
1362 하느님나라 벌써, 계절은 봄을 향해 치달리고 있습니다.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울며 짝짓기를 하고, 다람쥐도 일어나 도토리 껍질을 까며 허기진 배를 채웁니다. 그리... 김상욱 2007.02.27 5975
1361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분노와 흥분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사랑을 방해하므로 남의 죄 때문에 화내거나 흥분하지 않도록 ... 1 이마르첼리노M 2022.02.02 362
1360 하느님께 자유를 드려라 하느님께 자유를 드려라   세례를 통하여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라고 배우지만 대부분은 실제로 그것을 믿지 않는 것 같다. 여전히 공적을 쌓아서 하느님의... 이마르첼리노M 2019.10.03 521
1359 하느님께 받아들여 졌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하느님께 받아들여 졌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포도나무와 연결되지 못한 가지들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나를 내가 받아들이지 못한다.….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8.22 555
1358 하느님과의 퍼즐 게임 그리스도인들의 삶은 어쩌면  하느님과 놀이를 하는것과같다. 하느님께서는 맞춰져 있는 그림을 다 흩뜨려 놓으신 다음 그것을 우리에게 주시면서 맞춰보라고 하... 일어나는불꽃 2016.12.30 1011
1357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예수께서는 믿음을 조작하는 아들에 맞서 행동하셨다 해방을... 이마르첼리노M 2017.09.26 1189
1356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와 기쁨은 계시의 완성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와 기쁨은 계시의 완성   하느님을 찬미하는 건 사람만이 아니다. 우주 만물이 본래의 창조 목적에 따라 찬미의 노래를 부른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6.30 449
1355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재의 수요일을 며칠 앞두고 가톨릭교회의 전례 시기를 생각해 보았다.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시기, 부활 시... 이마르첼리노M 2020.02.22 461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