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2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http://www.nanum.com

푸르고 여린 새싹들이 언 땅을 뚫고 일어서는 새봄
[평화나눔 아카데미]가 더욱 새로워진 모습으로 여러분 앞에 다가갑니다.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내 안의 밝은 지혜와 푸른 감성을 일깨우며,
눈물 흐르는 지구의 골목길에 평화의 나무를 심습니다
깊은 통찰력과 예리한 문제의식으로 성찰과 대안을 모색중인
각 분야 전문지성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제6기 강좌 소개 (3월30일 – 6월1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30분)
 
3/30 박노해 시인
“봄은 누구에게나 봄이어야 한다” -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에서
80년대 [노동의 새벽]과 90년대[사람만이 희망이다]로 한국사회에 충격적 감동을 던졌던 박노해. 2003년 전쟁의 바그다드에 몸을 던졌던 그와 함께 흰 설원의 '쿠르디스탄'으로 떠납니다. 시인의 시적 통찰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쿠르드인들의 비극적 삶과 뜨거운 독립의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인류에 대한 오~Peace코리아의 책임의식에 새롭게 눈뜹니다.
 
4/6 정진영 영화배우 ㅣ 스크린쿼터지키기 영화인대책위 집행위원장
한국영화와 문화전쟁, 그것이 알고 싶다
<왕의 남자>의 1000만 흥행 속에서 자부심과 행복감을 느꼈던 우리는 한미FTA협상을 계기로 한국영화의 현실을 제대로 보게 되었습니다. 거리로 나선 영화인들을 대표해 정진영 씨를 초대하여 신자유주의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우리 영화를 지켜내고 발전시킬 방법이 무엇인지 힘과 지혜를 모아 보겠습니다. 왜냐면, 한국영화를 보는 재미와 행복은 계속되어야 하니까요.
 
4/13 전성은 전 거창고 교장 ㅣ 전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장
거창고의 전인교육철학 이야기
전교생 200여명의 얼굴과 이름을 다 알고, 눈이 오면 학생들을 데리고 토끼잡이를 나가는 전성은 교장 선생님은 학교공부는 평생공부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합니다. 올해 초 교장직을 퇴임한 전성은 선생님은 현장교사 출신으로 교육부총리에 거명되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는 우리 교육에 대해, 그 근본철학에서부터 다시 묻습니다.
 
4/20 곽재성 경희대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중남미에 부는 바람, '또다른 세계'는 가능한가
브라질 룰라, 베네수엘라 차베스, 볼리비아 모랄레스... 2000년대 중남미에는 소위 좌파돌풍이 일고 있습니다. 독재정권을 물리치고 민주화와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중남미 국가들은 하나의 라틴아메리카를 표방하면서 미국 주도의 자본주의와는 '또다른 세계'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남미의 개혁실험, 그 가능성과 한계를 조명해 봅니다.
 
4/27 권인숙 명지대 여성학 교수
여성 없는 진보와 한국사회의 군대문화
얼마 전 <대한민국은 군대다>라는 책을 통해 80년대 민주화운동세력 내의 남성적 군대문화를 비판했던 여성학자 권인숙 교수는 ‘여성’이 배제된 우리의 민주화를 돌아보게 해주었습니다. 그와 함께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군대문화와 국가주의를 성찰하고, 징병제의 문제점 등을 짚어 봅니다.
 
5/4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전통에서 찾는 생태적 삶의 지혜
이른바 ‘생태주의’라고 하면 서구에서 들어온 근본주의적인 환경보호 운동을 떠올리게 됩니다. 환경보호도 중요하지만,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오늘의 삶도 중요합니다. 이도원 교수는 서구선진국에서 생태학을 공부하고 돌아왔지만, 한국의 전통, 예를 들어 강뚝, 숲띠, 논 웅덩이 등에서 생태적 삶의 지혜를 밝혀냅니다. 그와 함께 도시적 삶의 틀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생이 어떻게 가능한지 알아봅니다.
 
5/11 심상정 국회의원, 민주노동당 원내 수석부대표
나의 의정활동 이야기 ? 양극화 시대의 진보와 대안
2004년 총선은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진보정당이 원내에 진출한 해로 기억됩니다. 빈틈없는 의정수행으로 이름 난 심상정 의원은 노동자서민의 편에 선 정책으로 양극화 문제 해법을 제시합니다. 80년대, 하이힐을 신은 운동권 여대생에서, 공장 노동자로 투신했던 그는 양극화 시대 젊은이들이 추구해야 할 진보는 ‘꿈을 실현할 일자리를 찾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5/18 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뇌의 세계, 그 마음의 열림과 접힘
현대 과학은 인간의 마음, 의식과 무의식, 감정과 사고 등이 뇌에서 벌어지는 전기화학 작용이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일생 동안 한 순간도 나를 떠나지 않는 느낌과 생각들, 때로는 명징하게, 때로는 흐릿하게 우리는 세계의 윤곽들을 뇌라는 캔버스 위에 그려나갑니다. 과학자들은 물론 인문 사회학자들에게까지 뇌 강의를 하는 뇌 전문가 박문호 선생의 안내로 수억년에 걸친 생명진화의 총화, 인간 뇌의 신비를 벗겨봅니다.
 
5/25 김환석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ㅣ 국가생명윤리심의위 위원
‘황우석 사태’와 과학의 시민권
2005년 한국인들은 생명과학계의 한 스타로 인해 큰 자부심에 이어 가장 큰 실망을 경험했습니다. ‘황우석 사태’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맹목적인 애국주의를 보여주었습니다. 시민과학센터 소장이기도 한 김환석 교수는 전문성의 그늘에 가려진 과학기술 영역을 민주화하고 이에 대한 시민권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6/1 최창모 건국대 히브리중동학과 교수 ㅣ 한국중동학회 회장
하마스의 등장과 팔레스타인의 미래
올해 초 팔레스타인 총선에서는 소위 ‘무장테러단체’라고 하는 하마스가 압도적인 지지로 의석을 장악했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도 설마 했던 이 결과에 대해 최창모 교수는 ‘당연한 결과’라고 말합니다. 팔레스타인의 수도 라말라를 방문하고 돌아온 최창모 교수는 하마스가 이스라엘과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무기를 버릴 수 없는 이유를 팔레스타인 민중의 입장에서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팔 문제에 대한 제3자의 관심과 역할을 강조합니다.
 
 ※ 위 일정은 강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평화나눔 아카데미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Pm7:00 나눔국수와 따끈한 국밥
평화나눔도 배가 불러야… 맛있는 잔치국수에서 스파게티까지,
세계 각국의 면류와 소박한 정성이 가득 담긴 뜨끈한 뚝배기 국밥으로
머리보다 앞서 눈과 입, 코가 즐겁습니다.
pm7:20 숨고르기
시와 영상, 나눔문화가 엄선한 세계의 명곡을 통해 바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깊은 숨을 고르며 내 안의 평화를 일깨웁니다.
강연보다 더 인기 있는 시간입니다.
pm7:30 강연ㅣ주제 발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 생을 걸고 성취한 연구성과와 문제의식을 수강생들과 나누고 질의 응답, 토론으로 내용을 심화시켜 나갑니다.
날카로운 질문자에게는 선물도^^
뒤풀이 ‘잘 노는 곳에 평화 있다’
'평화를 나누는 사람들'이 십시일반 준비한 뒤풀이. 멋진 분위기의 나눔마당에서 다양한 이력의 사람들이 술잔을 나누며 함께 어우러지는 우정의 시간.
평화답사와 평화실천행동
평화 감성과 문화적 안목을 키울 만한 현장을 답사하고,
전쟁반대 일인시위와 평화마음모으기 등 다양한 실천을 함께 합니다.
수료식, 평화의 선물을 한아름 안고
한 학기 동안 공부한 것을 돌아보고 서로의 변화발전을 축하해 줍니다.
‘내 인생의 사진’이 될 멋진 사진이 담긴 수료증과, 평화의 상상력 넘치는 졸업선물이 열심히 공부하고 잘 나누신 수강생 모두에게 돌아갑니다.

■ 수강신청 안내
신청문의ㅣ 나눔문화 김상엽, 이현지 02_734_1977  peace@nanum.com
수강료 15만원, 입금계좌 <우리은행 959-001951-13-001 나눔문화>
대학생, 시민단체 활동가, 나눔문화 후원회원과 기존 수강생들은 할인해 드립니다.
각 강좌 청강도 가능합니다. 청강을 원할 경우, 미리 예약해 주세요.

>>인터넷으로 수강신청 하기_ 클릭

평화나눔아카데미 홈페이지 가기_ 클릭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2가 1-103 진학빌딩 3층 나눔문화
02_734_1977  peace@nanum.com www.nanum.com
* 나눔문화 오시는 길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2 화분 그리스도론을 아시나요? +그리스도의 평화 이글은 황종렬 박사님께서&lt;공동선&gt; 2009년 5,6월호에 기재하신 글입니다. “화분 그리스도론”을 아시나요? 그... 김기환베드로M. 2013.03.16 7782
1411 홍천수도원의 늦가을 정취 수녀원과 수도원 공사로 시끄럽던 여름은 지나고 이제는 이 골짜기에 고요가 감돕니다. 고요함이 수도원을 감싸는 늦가을에 숨죽이고 있는 생명력이 있습니다. ... 1 file 김상욱 2006.11.19 10378
1410 홈페이지 관련 도움말입니다. + 평화와 선 죄송합니다. 이제야 개발팀 차장님께 여쭈어 보았습니다. 자바스크립트 형태로 document.write('오브젝트관련 html코드') 이런식으로 바꾸면 오브젝... 2 정마리아 2006.04.26 11694
1409 홀로 행복하기 연습 홀로 행복하기 연습   친구와 수도회의 동료들, 오랜 관계 속에 머물던 이들이 내 곁을 떠날 때, 나를 대하는 태도가 전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를 예비하기... 이마르첼리노M 2019.09.09 662
1408 홀로 사시는 분 돌보기의 필요성 + 평화와 선 모든 님들의 평화를 빕니다. 2년 연속 같은 달, 젊은 형제들 두명이 하느님 곁으로 갔습니다. 비보를 전해들을 때마다, '인생무상'을 느끼곤 합니다.... 정마리아 2006.08.18 6331
1407 호흡기 장애인을 위한 서명운동 협조 요청 저희 작은형제회 한국관구에서 예전에 호흡기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활동을 하였습니다. 당시에 생활했던 분들이 질병은 치료가 되었지만 정상적으로 살아가기가 ... 1 관리형제 2008.06.21 11128
1406 호스피스교육 수강생 모집 찬미예수님! 재속프란치스코회 서울루케치오형제회에서는 죽음의 공포에 떨고있는 환자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봉사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호스피스교육을 마련하였... file 박창규요한레오나르디 2010.05.31 10526
1405 형제님들의 현존 70주년을 축하드립니다!! +평화와 선 &quot;작은 자가 되십시오&quot; 그는 이 말을 듣자 불현듯 &quot;나는 이 수도회가 작은 형제회로 불리기를 원합니다&quot;라고 말하였습니다. 사실 그들은 모든 이에게 ... 양평 성글라라 수도원 2007.09.17 8301
1404 현재의 온도는? 현재의 온도는?   소풍 전날의 마음 소풍 다음날의 심경   변화에 예민하고 슬픔을 잘 타는 기류에 예민한 온도계 같은 취약한 사람의 감정   ... 이마르첼리노M 2017.08.19 1025
1403 헤르만 헷세의 성 프란치스코 1147년에 건립된 독일 시토회의 마울브론(Maulbronn) 수도원은 알프스 북부 지역에서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중세 수도원인데, 건축적인 가치로 인해 유네스코 문... 이종한요한 2014.03.30 5177
1402 헤르만 헤세의 <성 프란치스코의 생애> &lt;수레바퀴 밑에서&gt;, &lt;데미안&gt;, &lt;시타르타&gt;, &lt;지와 사랑&gt;과 같은 불후의 작품들을 남기고 &lt;유리알 유희&gt;(1943년)로 194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르만 헤세(18... 고파울로 2014.01.12 5170
1401 향수 향수   영원한 고향은 어디에 있을까? 있기나 한 것인가?   처음부터 계셨던 분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동행하셨던 분 나의 삶에 중심에서 일하셨던 ... 이마르첼리노M 2019.08.29 584
1400 행복 긍정적인 에너지 1) 바쁜 직장인들의 기호식품 중 하나인 커피 이 커피의 효능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견이 분분하지만 하루에 커피 3잔 이상은 신경을 날카롭게 ... file 소천 2009.06.04 7827
1399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행동하는 자비가 육화되는 땅   하느님께서 우리를 이렇게 사랑하셨으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1요한 4, 11)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 이마르첼리노M 2021.01.06 497
1398 합리화의 성찰 합리화의 성찰   고통을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는 웃는 것이다. 나는 슬프게 살고 싶지 않다. 명랑하기를 원하고 삶을 즐기고 싶다.   ... 이마르첼리노M 2020.05.04 49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