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14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http://www.haiz.org중국 연길에 살고 있는 최요안(ofs)입니다.
지난 일주일동안 중국의 중원지방을 다녀왔습니다.
중원도 넓으니... 정확히 말해서 산서성의 태원시 일원이었습니다.
태원(타이위앤)은 산서성의 성도이고, 일본이 시끄럽게 굴던 20세기초에는
중국의 4대군벌인 염석산이 활동하던 지방이기도 합니다.
이번 태원지방 여행이 더욱 감동적이었던 것은
바로 이 지방이 씨오쑝띠후이(小兄弟會=작은형제회)의 전교지역이었다는 점입니다.
산서성은 현재 8~9개의 교구(부정확합니다.)가 있는데
태원교구만인지는 모르겠지만 하여튼 태원교구 곳곳에
작은형제회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있었고,
그 이전부터 형성되었던 여러곳의 교우촌도 직접 방문할 수 있었습니다.
주로 머물렀던 교우촌은 산서성 타이위앤(太原)시 칭쉬(靑徐)현 류허(六合)촌이었습니다.
인구는 약 7천명인데 6천5백여명이 신자라고 합니다.
그 성당에서 첫 저녁미사를 드리는데 제대 왼쪽에
낯익은 성화가 커다랗게 붙어 있었습니다.
가까이 가보니 오상 방지거(프란치스코)였습니다.
왼쪽에는 아기예수를 안고 있는 파도바의 안토니오성인도 있었습니다.
요즘 휴가와 방학기간이라 평일미사인데도 약 7~8백명의 신자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주일에는 두대의 미사에 거의모든 신자인 6천여명이 참례한다고 합니다.
정말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정말 귀한 풍경을 목격하였는데
올망졸망한 아이들이 '바글바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이들은 모두 약 1천여명이 있다고 합니다.
한집에 아이들이 보통 5-6명이고, 작은 집도 4명, 많은 집은 12명까지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중국의 산아제한정책이 전혀 먹히지 않는 산아제한의 '해방구'였습니다.
태원교구에는 3곳인가 교우촌만은 1가정 1자녀 이외에는
벌금을 물리는 정책이 적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다른 교우촌인 타이위앤시 진위앤구에는 상황은 마찬가지였는데,
그곳의 특이한 점은 성녀 아숨다(마리아 방지거 전교회=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회)가
활동하다가 숨진 곳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성녀의 무덤이 마을 뒷산 교회묘지에 그대로 있다고 합니다 .
또 뒷산 중턱에는 옛날 작은 형제회의 수도원이 아직 겉모습이 성한채로 서있었습니다.
현재는 교우 몇집이 주고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어 점점 망가지고 있어 안타까웠습니다.
수도원뒤로 14처를 따라 올라가니 산 정상에 웅장한 성모성당이 서 있었습니다.
마을 성당에는 썽위앤후이(聖言會=거룩한 말씀의 회) 남녀수도회가 들어와 있었는데
들어오는 과정에 문제가 있어 교구와 관계가 좋지 않은상태라고 합니다.
타이위앤시의 주교부(주교좌? 교구청)에 갔더니 성당 왼쪽에
성프란치스코의 아름다운 성상이 서 있었습니다.
주교좌 성당의 주보성인이 프란치스코라고 합니다.
또 타이위앤 교구의 신학교에 가보았는데 옛날 건물이 그대로 있었는데
그 모습이 너무 짜임새있고, 아름다웠습니다.
이곳이 산서지방의 전교본부로 작은형제회 수도원이었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수도원에서 신학을 가르쳐 사제를 양성해
지금도 신학교에는 수도원이라는 간판이 붙어 있고,
신학생들을 수사라고 부르는 전통이 남아 있었습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너무 소중한 여행이었습니다.
마을 호구(주민등록)가 그대로 교적인 마을,
신자라는 것이 자랑인 마을,
장래의 희망인 아이들이 징그럽도록(?) '바글바글'하는 마을,
처음 가본 중원의 상황은 너무 놀랍고 새로웠습니다.

<사진은 작은형제회의 옛수도원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최요안 2012.04.17 15:28:35
    더 많은 사진을 올리지 못해 아쉽습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3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게 하고 지각과 인식을 방해하는 자기중심성과 이기심, 자기... 이마르첼리노M 2013.03.02 8234
672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1. 멈춤 통제와 조종 의존하게 만들던 거짓 사랑, 자신을 의롭게 하려고 스스로 부과한 희생   2. 대면 ... 이마르첼리노M 2020.04.03 425
671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우리는 죄를 지으면 당연히 벌을 받아야 한다는 징벌하는 정의라는 논리 속에서 살고 있다. 죄인은 이 세상에서 아니면 내세... 이마르첼리노M 2020.06.08 468
670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내가 아버지의 사랑 안에 머물러 있듯이 너희도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 이마르첼리노M 2021.07.18 377
669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16
668 사람이냐, 시장이냐? 시장이냐? 사람이냐?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느냐?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있느냐?) 언젠가, 어떤 곳에서 소련은 ‘하느님의 나라’의 적이니, 소련의 붕괴를 위해... 김상욱 2007.04.21 4051
667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믿지 못할 세상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 하나 믿을 수 있는 단 한 사람 그분이 말구유... 이마르첼리노M 2019.12.06 572
666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창세 1,26   나는 나에게 있는 하느님과 닮은 속성을 존중한다. 이것이 다른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0.03.07 586
665 사람은 사랑의 대상 사람은 사랑의 대상   태초에 하느님은 이렇게 창조 하셨다. 사람은 사랑하고 물건은 사용하라고 재물이 사랑받고 사람이 사용되는 사회 사람을 물건처럼... 이마르첼리노M 2017.02.08 1028
664 사람 좀 찾습니다.^&^; 김 성인 미카엘 형제 성대서약하고 어디 머물고 계시나? 연락 좀 주시게...! 대전 누이 1 개미 2006.02.14 5878
663 사도바오로의 해를 맞이하여- 터키주교회의 권고서한 크리스챤 정체성을 지닌 증거자요 사도인 바오로 사도 형제자매 여러분 바오로 사도가 로마 교회의 신자들에게 했던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1 터키한인공동체 2008.01.14 20233
662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나는 모난 돌이었으나 부딪고 깨어지고 깎이다 보니 반짝이는 조약돌처럼 되어 가고 있다.   나는 내가 살고 싶어 하는... 이마르첼리노M 2022.01.25 445
661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 실수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습니다.. 얼마전에 올라온 게시물 중에, 삭제된 게시물이 있습니다. beatta님께서 올려주신 게시물인데요.. 관리자의 관리 미숙으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음에 사과드립니다. ... 1 관리형제 2006.02.27 6282
660 빗방울 하늘에서 비가 내리고 그 비가 생명이되어 세상과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게 된다. 빗방울이 하늘 위에서 머물러만 있으면 세상과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지 못하지만... 일어나는불꽃 2018.02.20 1100
659 빈손 빈손   촉촉하게 젖어있는 눈가에 전에 없던 수증기가 서려오는 밤이다   내 인생의 종반을 알리는 신호를 여기저기서 포착한다. 몸의 변화와 기억... 1 이마르첼리노M 2017.09.02 976
Board Pagination ‹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