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1.10.28 15:14

어느 모녀의 죽음

조회 수 26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가 강물처럼...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라
세상살이 욕심을 내려 놓으라는 교훈이겠다.

각양각색의 삶처럼
죽음의 모습도 참으로 다양하다는 생각이 든다.

엊그제 어느 모녀가 차 사고로 동시에 임종했다.
치매 증세가 약한 90세 노모와 그 어머니를 봉양하던
4남매중 막내 딸이- 위로 언니 오빠들은 모두 해외에서 지내고-
차가 돌진하는 바람에 보도 언덕 길을 걷던중
그만 급사하고 만 것이다.
그런데 평소 본당에서건 어디서건 남을 돕는 일에 열정을 다 했고,
어머니에 대한 그 딸의 효심이 얼마나 갸륵했던지
잘 나가던 간호학과 교수직도 포기,
그제도 모친과 함께 걷던중 또 다른 2사람과 함께 4명이 죽은 게다.
운전을 한 30대 젊은 자매의 운명은 또 뭐란 말인가?

'죽음'을 생각할 때,
하느님의 뜻과 인간의 생각이 얼마나 다른지...???

물론 거개의 사람들은 뭇 가까운 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거룩하고 축복받는 임종이기를 바란다.
프란치스코 성인이 그랬다.
글라라 성녀와 동료 형제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하느님께 대한 찬미와 슬픔을 아우른 채
'죽음' 마져도 매우 가까운 자매와 포옹하듯이
'자매' 죽음이라 하면서 거룩하신 품에 안겨으니까 말이다.

반면에 아무리 거룩하고 열정적인 삶을 살았어도
처참한 죽음일 수 밖에 없었던 성인들도 적지 않으니,
순교 성인들의 생애가 대부분 그러했으니까...

세례자 요한은 사후조차도 존경은커녕
현재는 팔레스틴 진영에 속한고로 어느 누구도 얼씬거릴 수 없는
순례조차 불가한 현실이잖는가.
또 성 토마스 베케트(12세기 초 영국 캔터베리의 주교)라는 분은,
왕의 하수인 기사 자객들에 의한 무고로 성당 안에서 피를 흘리는
순교를 당했는가 하면, 그 시신조차도 영영 찾을 수 없게 버려졌다.
성인의 사후 직후엔,
친구였던 왕의 엄명으로 캔터베리가 한때는 오랜 세월
유럽의 유명한 순례지로 꼽혔었다는 역사의 아이러니!

우리는 어느 누구도
'이것이 거룩하고 저것이 추하다'라고
죽음의 잣대를 섣불리 들이 댈 수가 없다.

분명한 것은 죽음의 형태가 어떠했던,
얼마만큼 생전에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베품'의 삶을
잘 살았느냐 하는 것일 게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1. 아버지같은 형제님들

  2. 공존의 법칙

  3. 인생

  4. 강화도 글라라회 수녀님들

  5. 환절기 면역력 높여주는 한방차 5가지

  6. 타래난초

  7. 1만원짜리 가방의 행복

  8. 기쁜 까마귀 소리

  9. 어느 모녀의 죽음

  10. 행복의 조건...?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