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10.28 23:05

커피나무를 바라봄 3

조회 수 18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커피의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그냥 커피 생두로가지고는 안되고

 

생두를 뜨거운 불에 달구어 익혀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커피의 고소하고 감칠맛나는

 

커피 원두로써의 향기와 맛이 나게 되는 것이다.

 

불에 달구어 지지 않는 커피 생두는

 

커피로써의 맛과 향기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커피로써의 가치가 없다.

 

이렇게 우리에게 있어서 뜨거운불과

 

커피 생두와의 관계는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가르침을 하나 남겨 놓게 된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세상에 불을 지르러 왔다.

 

그불이 이미 타올랐으면 얼마나 좋으랴?"

 

 -루카 12,49-

 

우리 교회에서는 그 불을 성령의 불로 해석한다.

 

성령께서는 불이시다.

 

사도들이 처음 성령을 받을 때에도

 

혀같은 불이 내려 앉았다고 하고 있다. (사도 2,3)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써의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또한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맛을 내고

 

보여주기 위해서는 성령의 불에 달구어 져야 한다.

 

그 불에 달구어지고 익혀져야

 

우리는 그리스도의 맛과 향기를

 

사람들에게 드러낼 수가 있을 것이다.

 

껍질에서 갖 벗겨낸 커피 생두가

 

불에 달구어지고 익혀져서 갈색이나

 

검은색이 되지 않으면 맛과 향기를

 

낼 수 없는 것처럼 우리도 마찬가지다.

 

우리도 불에 달구어 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령의불 이외에 또 다른 불도 있다.

 

그것은 시련과 고통의 불이 될수도 있는데

 

커피 생두가 불에 달구어 지기 위해서는

 

온전히 머물러 있어야 되는 것이다.

 

뜨거운 불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자꾸 다른데에 튀고 한다면

 

불에 달구어 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잘 익혀지지가 않는 것은

 

사람들이 가려내어서 버려 버린다.

 

예수님께서도 말씀하셨듯이

 

불리운 사람은 많지만

 

뽑힌 사람은 적다고 말씀하신 것처럼

 

세례를 받았다고 해서 다 성령을 받고

 

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세례를 받은 신자들 중에서는 악한 사람들도 있고

 

선한 사람들도 있고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들이 성령으로

 

성화되기를 바라시지만

 

그것은 우리의 자유의지에 맡겨진 것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수난 앞에

 

하느님께 의지하여 온전히 머물러 있었던 것처럼

 

우리도 머물러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하느님의 손 안에서

 

성령의 불로 달구어 지도록 내어 맡겨야 한다.

 

마치 커피 생두가 커피를 볶는 사람의 손에

 

내어맡겨져 볶여져야 커피의 맛과향기를 내는 것처럼

 

우리도 하느님의 손안에 성령의 불로

 

달구어 져야 그리스도의 향기와 맛을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여줄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3 고난의 꽃으로 고난의 꽃으로   “죽음의 그늘 밑 어둠 속에 사는 우리에게 빛을 비추어 주시고 우리의 발걸음을 평화의 길로 이끌어 주시리라” 루가1.79   길이... 이마르첼리노M 2017.08.11 859
842 그리움과 그리움이 만나면 그리움과 그리움이 만나면   수치심과 죄의식으로 신자들을 통제하던 종교의 시대는 지났다   아버지와 아들 성령께서는 하느님 나라의 축제를 열고... 이마르첼리노M 2017.08.10 827
841 생명의 찬가 생명의 찬가   덜 배운 감사 서투른 애덕 인색한 허용 마침내 어질고 느긋한 겸손에 이르기까지 살아있음은 불의 제련을 거처 순수를 탐낸다.   ... 이마르첼리노M 2017.08.09 855
840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날 없다”는 말이 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취임 후 그분의 파격적 행보를 보며온 세상 선의의 사... file 이종한요한 2017.08.08 1018
839 위대한 전환 위대한 전환   상 받기 위해 사는가? 벌 받지 않기 위해 사는가?   젊은 날 내 삶의 동기는 내 바깥에 있었다. 착하지 않으면 지옥에 갈 것이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17.08.07 760
838 우리는 연인 우리는 연인   진선미의 하느님을 쩨쩨하고 분노하시며 고문하시는 분으로 생각하는 건 너의 생각이다 너의 현실을 하느님으로 바꾸지 말라   그... 이마르첼리노M 2017.08.06 792
837 두 세계 사이에서 두 세계 사이에서   혼자서 추구하는 행복   채우려는 욕구와 채울 수 있다는 환상 소유와 지배를 위한 이기심 분배되지 않는 재화 우월감과 자아... 이마르첼리노M 2017.08.05 757
836 새벽 묵상 새벽 묵상   “ 너는 내가 택한 아들   내가 사랑하는 아들이다”   기도를 통해 그분으로부터 사랑받는 자의 위치에 있다는 확신이 나로 하여금 나... 이마르첼리노M 2017.08.04 735
835 베풂과 받아들임의 축제 베풂과 받아들임의 축제 1. 나는 네 안에서 너는 내 안에서 존재의 기초를 놓는다.   너를 위하여 행하는 것이 베풂이요 너에 의하여 사는 것이 받아들... 이마르첼리노M 2017.08.02 786
834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사랑이라는 미명 아래     “내가 원하는 것은 희생이 아니라 자비다”   열심 하지만 교만한 사람은 하느님과 협력하여 선을 이루기보다 사람과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834
833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너와 나 하느님과 나 관계의 질을 높이는 건 하느님의 존재 방식과 행위방식을 공유하는 것   하느님의 존재 방식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746
832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10일차(7/30)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10일차 ★ * 행진 구간 : 악양 ~ 하동 궁항마을 회관 * 참여인원 : 29명 * 귀가자 : 0명 * 도착지 인원 : 28명 * 방문자 : 0 명 * 신... 2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30 1056
831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9일차(7/29) +평화를 빕니다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일차 ★ * 행진 구간 : 기장성공회교회 ~ 악양 * 참여인원 : 24명 * 귀가자 : 1명 (이광현 형제) * 도착지 인원 :  명...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30 936
830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8일차(7/28) +평화를 빕니다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8일차 ★ * 행진 구간 : 월성원자력발전소  ~ 기장성공회교회 * 참여인원 : 22명 * 귀가자 : 1명 (신인철스테파노 형...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30 989
829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7일차(7/27) +평화를 빕니다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7일차 ★ * 행진 구간 : 영덕 영해면 노인복지 회관 ~ 경주시 양낭연 하늘바다 펜션 * 참여인원 : 16명 * 귀...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29 891
Board Pagination ‹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