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06.04.15 05:42

삶,죽음 그리고 부활

조회 수 201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축, 부활!

화사했던 벗꽃이 금방 낙화하는 걸 보면,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 아니라 "화무삼일홍(花無三日紅)"이라!
열흘이 아니라 고작 삼일 만에 뿔뿔히 흣날리는 꽃잎들!!!
마치 우리네 덧없는 인생만 같다.

사순절만 되면,
이렇듯 심히 병치례를 하는 까닭은 무얼까?
몸이 아프고 힘들 때,
가장 가까이 함께 살아가는 이들도
사실 낌새를 느끼지 못할 때가 허다하다.

이럴때
이만큼 세월을 많이 보냈노라 해도
가장 생각나는 분들- 할머니,엄마...앞에선 여전히 아이인걸.
시공이 다른 천국에 계신 분들이라 나와는 무관한 분들일까...?

작은 텃밭에
무,배추,상치...씨앗을 뿌리면서,
두 분의 음성이 들려온다.
삶,죽음 그리고 부활이 하나라는 걸...

"얘야,
네가 아픈만큼 죽음이 멀지 않다는 것을,
그리고 부활하여 우리와 다시 하나 된다는 것을...
이 할매는 늘 너를 쓸어주며 기도한단다.
이 엄마는 네가 아프면 여전히 슬프단다.
성모님께서 그러셨지-
아드님이 십자가에 끌려가시고 달리셨을 적에
얼마나 아프셨을꼬!!!
그래도 한 마디 말도 못하셨쟎니?
너무 깊은 사랑은 그런 거란다."

부활은
삶과 죽음의 통합이라,
아픈 것은 일시적이요,
아픈만큼 새 생명의 싹이 트이는 게 정한 이치가 아니겠는가?

그래도 아프면,
제일 먼저 할머니,엄마의 손길이 그립다.
  • 마리아 2006.04.18 00:56
    언제나 맛 수사님의 글 묵상 잘하고 있습니다.
    호수의 잔잔한 물결처럼 잔잔한 감동을 받습니다.
    수사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라고 기도합니다.
  • 사랑해 2006.04.18 00:56
    아프실때면, '엄마와 할머니'의 손길이 그립다고 하시는 '맛'님의 글에 왜 이리도 눈물이 나는지요.. 이 한 줄로 '맛'님께서 주님만의 연인으로서, 수도자로서 지내오신 삶을, 세상속의 제가 부족하나마 묵상해 봅니다.. 울컥 울컥 목이 메여 왔습니다..
    세상 보통 사람으로 치면, 아내의 타박 섞인(함께 늙어가니 그 아내 역시 여기저기 안 아픈 곳이 없을 테니까요(-ㅣ-);;) 보살핌을 받으며, 엄마 할머니를 향한 그리움 보다는 그 아내의 타박과 보살핌에 머무를 수 있을 겁니다.. 혼자서 묵묵히 주님안에서 받아들이고 느끼며, 오히려 그 고통을 열렬히 사랑해야만 하는 삶이라니...
    수도자의 삶!! 전, 그 '수도자'라는 말에 가슴 한가득 (이상하게요) 눈물부터 고여옵니다..그래서일까요, '맛'님 저는 수도자들을 위한 기도에 씌여 있는 기도문처럼, 저희 평신도들이 "살아서는 수도자들의 기쁨"이 되게 해 주시라는 기도문을 정말 뜨겁게 바치게 됩니다.. 아이같이 순수한 영혼을 지니신 '맛'님!! 우리모두 성체를 받아 모심으로 한 몸 이라 배웠습니다.. 부족하지만 저의 작은 기도가 '맛'님에게로, 그리고 '맛'님의 순결한 삶의 향기는 제 영혼에게로 나누어지는 거라고 믿습니다..
    자꾸만 넘 심각?해 지네요^^;; 어쨌든 저는 교회의 가르침대로 열심히 해 볼랍니다..
    '맛'님~ 힘!! 내셔요..
    '맛'님을 위해 초를 밝히며 밤새 뜨겁게 기도 하셨을 할머니 엄마쎄서는 세상에 계시지 않지만, '맛'님께는 자꾸 바라고 달라는 저희같이 부족한 형제자매들이 있으니, 건강하셔서 많이 사랑 주셔야 해요^^;; 대신 저두 기도 많이 쏠께요~~
    홧팅~~!!
    우스갰 소린데요, 저희 시어머님께선 아침에 눈뜨시면서 주무실때까지, 주무시는 중에 자세 바꾸실때조차도 "에구 죽것다~ 에구에구~" 가 하루 대사중 거의 전부세요..
    그런데도, 허리 잘 아프고 다리 쑤시고 늘 골골하는 사람은 바로 허우대는 멀쩡한 저랍니당~^0^ 그래서 저두 어떤 날은 어머님처럼 에구 죽것다를 감탄사처럼 해보는데요, 와~~효과 있어요 .. 덜 아픈 것 같아요..*^^* 히히~~ '맛'님도 한번 해 보셔요..
    감기 조심하시고 주무실때는 양말 신으시고, 목도 따뜻하게 하고 주무셔요~~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7 해바라기 나팔꽃 T 온 누리에 평화   '해만 온전히 바라보고 핀다'하여 '해바라기'이라 부르는 것이리라. 영어로는 'Sunflower'라고 하니 우리 말로 직역하면 '태양(해)꽃'이라... 1 김맛세오 2014.07.22 2056
496 해거름녘   T 온 누리에 평화   '해거름'하면 으례히 제 인생에서 지울 수 없는 2가지 장관이 선명히 떠오릅니다.   그 하나는 오래 전 인도에서의 ... 김맛세오 2014.01.08 2366
495 할아버지의 손자 사랑 T 온 누리에 평화 고향이 어디냐고 묻는다면, 10여년을 살았던 흑석동보다는 초교 3학년 까지의 어린 시절을 보낸 지금의 '현충원' 자리를 단연 내 고향이라 하겠... 김맛세오 2012.07.03 3851
494 할아버지와 꿀꿀이 죽 T 평화/선 떠오르는 마음의 풍경 한가지- 내 어린 시절 한강에는 다리가 둘 밖에 없었다. 노량진과 용산을 잊는 한강 대교와 철교... 실상 사람과 차가 왕래할 수... 1 2009.02.08 2040
493 할아버지, 그 때, 참 죄송했어요   난 할아버지에 관한 일화도 적쟎게 간직하고 있으니, 그마만큼 손자에 대한 내리사랑이 각별하셨던 게다.   가족들 뉘게든 호랑이같이 무섭게 대하셨던, 그런 ... 김맛세오 2021.02.14 812
492 할미꽃 T 온누리에 평화. 선배님들 무덤가에 할미꽃이 소복히 피고 있다. 꼭 이맘때면 피어나는 할미꽃을 만나면 정말 옛적 내 할머니를 닮은 모습에 언제나 보아도 편안... 5 2007.04.05 2485
491 할머니와의 데이트 T 평화와 선. 참, 대단한 분! 이씨 조선 왕가 마지막 손의 며느님으로서 그 강직함에 손색이 없으신 '쥴리아' 할머니! 84세의 노구에다 한 쪽 손이 마비되고 한 ... 1 2006.06.03 2394
490 할머니와 어린 손자 T 평화와 선. 며칠 전 어린이 날, 천안행 지하철에서였다. 탈 때부터 내 곁에 할머니와 4-5살쯤 되어보이는 손자가 있어, 손을 꼭 잡고 나들이를 가는 그 다정한 ... 2008.05.09 1880
489 할머니와 샘 T 평화가 샘물처럼...   어린 시절, 세상에 대해 처음으로 제 의식에 자리잡은 것은 다름아니 '동재기 능말'(4-5살 무렵)이라는 곳의 할머니와 샘터이지요. ... 김맛세오 2013.04.30 2020
488 할머니 손은 약손 T 평화와 자비   "할머니, 옛날 얘기 해 줘요."   "인석아, 지난 번에 해 줬구먼.  또 해 달라구...?  옛날 얘기 너무 좋아하면 가난해져요...!"   "응, 응,... 김맛세오 2016.06.20 1740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