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10.11 22:46

커피나무를 바라봄 1

조회 수 181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이글은(커피나무를 바라봄1~4) 

 

제가 유기서원기때 성 보나벤뚜라의

 

"신비의 포도나무"라는 묵상집을 읽고

 

저도 힌트를 얻어 그리스도에

 

대해서 한번 쓰게 되었던 글이었습니다.

 

이글을 묵혀둔지가 몇년이 되어서 한번 올려 봅니다.

 

 

 

 

 

 

+그리스도의 평화

 

 

 

 

난 커피를 즐겨 마신다.

 

하루에 2잔 정도를 마시는데

 

좋아하는 커피를 마시면서

 

커피를 커피로서

 

그냥 마시는 것이 아니라

 

커피를 마시는 것도 묵상하고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는 것이 되기에

 

어찌보면 커피나무의 자라나는 과정을

 

통해서 나에게 진리를

 

가르쳐 주고 있는 것이다.

 

성 보나벤뚜라도 자신의 저서

 

'신비의 포도나무'라고 하는 책에서도

 

포도나무가 자라나는 과정을 통해서

 

그리스도에 대해서 설명하였듯이 말이다.

 

그리스도께서도 나무를 통하여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가르쳐 주셨다.

 

복음에서 보면 굳이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 말이다.

 

이렇게 자연속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나무는 자연의 창조주이신

 

하느님을 참 많이도 닮고

 

있기에 마치 거울과도 같다.

 

하느님의 모습을 비추어 주는 거울 말이다.

 

커피나무를 비롯하여 모든 나무들이

 

다 마찬가지이지만 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줄기와 가지가 뻗어 나가고

 

거기에서 열매를 맺을려면

 

가장 기본이 되는 뿌리가

 

땅속깊이 박혀야 하는 것이다.

 

뿌리가 땅속깊이 박히지 아니하면

 

그 나무는 오래가지 못한다.

 

왜냐하면 땅은 생명이기 때문이다.

 

땅은 생명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땅에 나무가 깊이 뿌리 내리지

 

 않는다는 것은 그 나무에게도

 

생명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무뿌리가 생명의 근원인 땅에 깊이

 

뿌리 내린다는 것은 우리가

 

생명의 근원인 하느님께 깊은 믿음으로

 

뿌리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믿음이 있는 자와 없는 자의 차이는

 

평소때에는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역경이 닥칠 때에는

 

금방 알수가 있다.

 

믿음이 있는 자는 어떠한

 

역경속에서도 흔들리지 아니하지만,

 

믿음이 없는 자는 곧

 

흔들리고 마는 법이다.

 

왜냐하면 생명의 근원인 하느님께

 

깊이 뿌리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나무도 마찬가지이다.

 

나무가 땅에 깊이 뿌리 내리지 아니하면

 

태풍이 몰아칠때 곧 쓰러져 버린다.

 

그러나 깊이 뿌린 나무는 태풍이

 

몰아쳐도 쓰러지지 아니한다.

 

그렇게 해서 살아남은 나무는

 

언젠가 많은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이다.

 

커피나무도 마찬가지다.

 

커피나무가 많은 열매를 맺었다고

 

하는 것은 그만큼 뿌리가 깊이

 

땅속깊이 내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처음에 자라날 때에는

 

금방 알아 볼 수가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곧 열매를 맺음으로써

 

드러나게 될 것이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수도생활이든 평신자의 삶이든

 

처음에는 곧 드러나지 않지만

 

깊은 믿음과 신앙을 가지고 살면

 

언젠가 드러나게 된다.

 

언젠가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이다.

 

난 지금도 부족한것이 많지만

 

지나온 삶에서

 

어려운일들이 많이 있었지만

 

내가 할 수 있었던 것은

 

하느님께 매달리는 것 뿐이었다.

 

하느님을 믿고, 의지하며

 

그분을 신뢰하며

 

묵묵히 매달리는 것 뿐이었다.

 

그러니 나도 모르게 채워지는 것이 있고,

 

예전에 내가 몰랐던

 

부분들을 깨닫는것이 있고,

 

배워 나가는 부분들이 있게 되더라.

 

지금 생각해 보면 하느님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서 나를 이끌어

 

주셨다는 확신이 들 수 밖에 없다.

 

그렇게 해서 지금까지

 

오게 된 것은 전부다 믿음이었다.

 

하느님께 대한 믿음 깊음으로

 

살아오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열매를 맺은 커피나무는

 

나에게 가르쳐 준다.

 

생명의 근원인 땅에 깊이 뿌리를 내리라고..

 

그래야 살수가 있다고 말이다.

 

사도 베드로도 물위를 걸을 때에

 

아무런 역경이 없을 때에는

 

물위를 잘 걸어 갔지만

 

바람이 불자 그만 겁이

 

나서 물에 빠졌던 것이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믿음이

 

약한자라고 말씀하셨다.

 

사도 베드로는 생명의 근원인 땅에

 

깊이 뿌리내리지 않았던 나무였던 것이다.

 

우리도 평상시 때에는 잘 알수가 없다.

 

믿음이 약한데에도 우리는 믿음이

 

깊은줄을 착각하고 살지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에게 닥쳐오는

 

역경들이 하느님의 선물로 받아들여야

 

하는것이 그것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 믿음의 정도와 수준을 평가하는

 

시간이 될수가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8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 실수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습니다.. 얼마전에 올라온 게시물 중에, 삭제된 게시물이 있습니다. beatta님께서 올려주신 게시물인데요.. 관리자의 관리 미숙으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음에 사과드립니다. ... 1 관리형제 2006.02.27 6282
837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나는 모난 돌이었으나 부딪고 깨어지고 깎이다 보니 반짝이는 조약돌처럼 되어 가고 있다.   나는 내가 살고 싶어 하는... 이마르첼리노M 2022.01.25 445
836 사도바오로의 해를 맞이하여- 터키주교회의 권고서한 크리스챤 정체성을 지닌 증거자요 사도인 바오로 사도 형제자매 여러분 바오로 사도가 로마 교회의 신자들에게 했던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1 터키한인공동체 2008.01.14 20233
835 사람 좀 찾습니다.^&^; 김 성인 미카엘 형제 성대서약하고 어디 머물고 계시나? 연락 좀 주시게...! 대전 누이 1 개미 2006.02.14 5878
834 사람은 사랑의 대상 사람은 사랑의 대상   태초에 하느님은 이렇게 창조 하셨다. 사람은 사랑하고 물건은 사용하라고 재물이 사랑받고 사람이 사용되는 사회 사람을 물건처럼... 이마르첼리노M 2017.02.08 1028
833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창세 1,26   나는 나에게 있는 하느님과 닮은 속성을 존중한다. 이것이 다른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0.03.07 586
832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믿지 못할 세상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 하나 믿을 수 있는 단 한 사람 그분이 말구유... 이마르첼리노M 2019.12.06 572
831 사람이냐, 시장이냐? 시장이냐? 사람이냐?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느냐?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있느냐?) 언젠가, 어떤 곳에서 소련은 ‘하느님의 나라’의 적이니, 소련의 붕괴를 위해... 김상욱 2007.04.21 4051
830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16
829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내가 아버지의 사랑 안에 머물러 있듯이 너희도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 이마르첼리노M 2021.07.18 377
828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우리는 죄를 지으면 당연히 벌을 받아야 한다는 징벌하는 정의라는 논리 속에서 살고 있다. 죄인은 이 세상에서 아니면 내세... 이마르첼리노M 2020.06.08 468
827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1. 멈춤 통제와 조종 의존하게 만들던 거짓 사랑, 자신을 의롭게 하려고 스스로 부과한 희생   2. 대면 ... 이마르첼리노M 2020.04.03 425
826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게 하고 지각과 인식을 방해하는 자기중심성과 이기심, 자기... 이마르첼리노M 2013.03.02 8234
825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매력은 좋은 본보기로 우리를 끌어당긴다. 하느님을 전달하는 가장 구체적이고 섬세한 사랑의  매력이야말... 1 이마르첼리노M 2022.06.02 389
824 사랑은 보는 것을 갈망한다. 사랑은 보는 것을 갈망한다. 사랑이 깊을수록 보고 싶은 마음도 깊다. 바라보고 들어보고 만져보고 맡아보고 맛보고 느껴보고 싶어진다. 성프란치스코도 사랑... 이마르첼리노M 2013.10.06 5325
Board Pagination ‹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