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04.21 17:37

지지대 작업 3

조회 수 28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그리스도의 평화

 

 

 

 

 

어떠한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알코올 중독자였다.

 

그는 술로 인해 가정과 친구들을

 

잃었고, 그의 삶은 점점더

 

허물어져 가는 듯 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그러한 삶에서

 

벗어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도 사람이기에 행복한 삶을

 

살기를 바랬었고, 벗어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중 그는 우연이

 

성경을 접하게 되었고

 

이러한 글귀를 읽게 되었다.

 

"그러나 그가 찔린것은 우리의

 

악행 때문이었고, 그가 으스러진 것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었다

 

우리의 평화를 위하여

 

그가 징벌을 받았고, 그의 상처로

 

우리는 나았다"(이사야 53,5).

 

그는 이러한 글귀를 읽고 나서

 

문득 이러한 생각이 들었다.

 

"아무 죄도 없다고 하는

 

하느님도 이렇게 고통을 겪으셨는데

 

많은 죄를 짓고 술로 중독된 내가

 

이까짓 하나 이겨 내지 못하면 안되지.."

 

그러면서 그는 오기가 생겨

 

그때부터 그는 술을 끊기를 작정하고

 

술을 끊기 위한 온갖 노력을 다했다.

 

물론 실패한적도 없지 않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 없이 일어섰다.

 

술로 인한 유혹에 그는 힘들었지만

 

그럴수록 그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되새기며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칼로

 

자르고 또 잘랐다.

 

그렇게 해서 그는

 

끊임없이

 

항구하게

 

포기하지 않고

 

늘 한결같이

 

한 우물을 파듯이 하였다.

 

그렇게 해서 몇년이 흐른뒤

 

그는 이제 어느덧

 

알코올 중독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되었다.

 

그는 열심한 신자가 되었고,

 

그는 매번 자신의 알코올 중독자

 

로써의 삶에서 새 삶을 살게 된

 

체험을 이야기 할 때마다

 

이사야서의 "주님의 종 넷째 노래"를

 

말하곤 하였다.

 

그는 진정으로 지지대 작업을 훌륭히

 

이루어냈고, 마친사람이었다.

 

허물어져가는 그의 육신과 영혼을

 

바로 잡아 세운 사람이었다.

 

중독자로서

 

첫번째로 잘 보아야 하고(행복한 삶)

 

두번째로 잘 잘라야 하고(하느님의 말씀)

 

세번째로 잘 박아야 하는(항구함과 인내)

 

자신의 인생의 작업

 

지지대 작업을 잘 마무리

 

사람이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1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형제적 동등성이 있는 곳에 공존과 평화가 있습니다.   새로운 아침마다 무상의 선물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화려하고 다양한 색깔로 날마다 새로운 모습... update 이마르첼리노M 2024.06.12 164
1500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여덟째 날: 경탄함과 경외함 당신의 삶에서 경탄함의 문으로 들어갈 때, 당신이 일상사의 빛을 경험하게 하는 단순한 방식들은 무엇인가? 다른 말로 하면, 당신의... 김상욱요셉 2024.06.12 12
1499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우리는 언제나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만 관심을 두어 주변에 있는 실제 사실을 보지 못하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무거운... 이마르첼리노M 2024.06.09 236
1498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195
1497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48
1496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58
1495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78
1494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3
1493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프란치스칸 가난은 자기를 열어드리고 내어드려 하느님께서 말씀을 잉태할 모태가 되게 해... 이마르첼리노M 2024.05.24 112
1492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27
1491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음 생활은 따르고 사랑하고 용서하는 자비의 길)   세례성사로 시작되는 그... 이마르첼리노M 2024.05.21 102
1490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90
1489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5
1488 아테네 사람들에게 선포한 바오로 사도의 복음과 우리 신앙의 성찰 창조의 사랑을 알아야 도구적 존재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레오파고 법정에서 아테네 시민들에게 한 바오로 사도의 설교 내용을 보면 지금 우리가 자주 잊어... 이마르첼리노M 2024.05.09 213
1487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위로부터 사랑을 받을 때 변화가 가능합니다. 신비체험은 나를 몸소 선택하시는 하느님에 ... 이마르첼리노M 2024.05.04 17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