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03.02 11:44

지지대 작업 2

조회 수 3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그리스도의 평화


 


 


 


 


 


두번째 잘 잘라야 한다는 것은


 


미련없이 과감하게 포기하는 단순함과


 


결단력 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처음의 잘 보게 된 것을 선택하였지만


 


그것을 포기하고 버리고,


 


소유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미련이 남을 수가 있다.


 


막상 포기하려고 하니 못내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이겨내고 과감하게 단번에


 


잘라버리는 단순함과 용기가 필요하다.


 


예수님께서는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당시


 


영과 육의 갈림길에서 선택을 하셨어야 했고,


 


예수님 또한 인간이셨기에 영적이셨지만


 


동시에 육적인 이끌림도 없지 않아 있으셨던 것이다.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때에도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의 칼로 (에페소 6장?)


 


단번에 미련없이 자르셨다.


 


바로 예수님은 잘 잘랐던 분이셨다.


 


프란치스코의 경우에도 알수가 있듯이


 


그도 역시 과감하게 잘 잘랐던 사람이었다.


 


형제들을 하나같이 주인으로 섬겼지만


 


옳고 그름에 있어서는 칼 같은 사람이었고, 과감했다.


 


한마디로 뒤끝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참 잘 잘랐던 사람이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잘 자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 아닌가?


 


올바른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때때로


 


그것을 실천으로 옮기지를 못한다.


 


머뭇거리고, 나중의 일로 미루고, 게으르다.


 


이것은  바로 우리가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직도 욕망에 이끌리고 있다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우리는 잘 잘라야 한다.


 


잘 자르지 않으면 안된다.


 


잘 자른다는 것 이것이 바로


 


내 영혼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의 두번째 작업이라고 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잘 박아야 한다는 것은


 


항구함과 인내와 끈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처음에 잘 보고, 잘 잘랐지만


 


그  잘 자른것을 가지고 항구하게 끝가지 가야 한다.


 


아무리 잘 잘랐어도 인간이라고 하는 존재는


 


나약한 존재이기에 그 자른것을


 


항구하게 안고 가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우리는 그것을 "작심삼일"이라고 하지 않는가?


 


작심삼일이 된다면 아무리 잘 보고,


 


자르고 해도 소용이 없다.


 


마지막으로 잘 박아서 꼭껴서 박아 넣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습관이 되게 해야 한다.


 


예수님께서도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당시


 


 "하느님의 말씀"으로 잘 보고 잘 잘랐지만


 


그 후에도 하느님의 말씀안에서


 


늘 한결같이 항구하게


 


그 말씀안에 머물러 계셨던 분이셨다.


 


프란치스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지만


 


복음이라고 하는 진주를 발견하여 복음의 기준으로


 


세속적인것과 천상적인 것을 잘 보고


 


자신의 욕망을 잘 자르고 했지만


 


자신이 죽는 그 순간까지도 절대 그 복음에서


 


놓지 않고 끝까지 안고 항구하게 나아갔다.


 


늘 한결 같았던 것이다.


 



지지대를 박을 때도 마찬가지다.


 


벽에다 대고 맞춘다음 한곳만을 계속 쳐야만 한다.


 


그래야 들어간다.


 


 그런데 이리 쳤다가 저리 쳤다가 하면 안들어간다.


 


오히려 틀어질 뿐이다. 우리의 영혼도 마찬가지다.


 


그 좋은것을 몇번하다가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항구하게 나아가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영혼을 바로 세울수가 있다.


 


이것이 바로 허물어져 가는 벽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을 통해서 바라본


 


내 영혼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의 단계이고 순서이다.


 


이러한 3가지의 단계를 통해서


 


우리의 신앙생활과


 


수도생활에도 적용을 시켜서 살아간다면


 


육신의 나약함으로 허물어져가는


 


우리의 영혼을 받쳐주게 될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8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74
1497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38
1496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52
1495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76
1494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무상의 선물을 받아 들고 자신을 내어주는 사람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진실로 포장된 가면을 벗으면 웃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속의 신비로운 화환처럼, ... 이마르첼리노M 2024.05.25 122
1493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신앙의 신비는 두려움의 신비와 매력으로 끌어당기는 신비와의 충돌   프란치스칸 가난은 자기를 열어드리고 내어드려 하느님께서 말씀을 잉태할 모태가 되게 해... 이마르첼리노M 2024.05.24 112
1492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25
1491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은총 앞에서 약해져야 우리 자신이 살아계신 그리스도로 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음 생활은 따르고 사랑하고 용서하는 자비의 길)   세례성사로 시작되는 그... 이마르첼리노M 2024.05.21 100
1490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84
1489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0
1488 아테네 사람들에게 선포한 바오로 사도의 복음과 우리 신앙의 성찰 창조의 사랑을 알아야 도구적 존재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레오파고 법정에서 아테네 시민들에게 한 바오로 사도의 설교 내용을 보면 지금 우리가 자주 잊어... 이마르첼리노M 2024.05.09 210
1487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배운 사람은 너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위로부터 사랑을 받을 때 변화가 가능합니다. 신비체험은 나를 몸소 선택하시는 하느님에 ... 이마르첼리노M 2024.05.04 164
1486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의 자기소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 11,28)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4.04.30 47
1485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빛나게 해드리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일들을 멈춰야 합니다.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25 245
1484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4.04.20 19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