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4.03.02 11:44

지지대 작업 2

조회 수 3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그리스도의 평화


 


 


 


 


 


두번째 잘 잘라야 한다는 것은


 


미련없이 과감하게 포기하는 단순함과


 


결단력 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처음의 잘 보게 된 것을 선택하였지만


 


그것을 포기하고 버리고,


 


소유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미련이 남을 수가 있다.


 


막상 포기하려고 하니 못내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이겨내고 과감하게 단번에


 


잘라버리는 단순함과 용기가 필요하다.


 


예수님께서는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당시


 


영과 육의 갈림길에서 선택을 하셨어야 했고,


 


예수님 또한 인간이셨기에 영적이셨지만


 


동시에 육적인 이끌림도 없지 않아 있으셨던 것이다.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때에도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의 칼로 (에페소 6장?)


 


단번에 미련없이 자르셨다.


 


바로 예수님은 잘 잘랐던 분이셨다.


 


프란치스코의 경우에도 알수가 있듯이


 


그도 역시 과감하게 잘 잘랐던 사람이었다.


 


형제들을 하나같이 주인으로 섬겼지만


 


옳고 그름에 있어서는 칼 같은 사람이었고, 과감했다.


 


한마디로 뒤끝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참 잘 잘랐던 사람이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잘 자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 아닌가?


 


올바른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때때로


 


그것을 실천으로 옮기지를 못한다.


 


머뭇거리고, 나중의 일로 미루고, 게으르다.


 


이것은  바로 우리가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직도 욕망에 이끌리고 있다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우리는 잘 잘라야 한다.


 


잘 자르지 않으면 안된다.


 


잘 자른다는 것 이것이 바로


 


내 영혼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의 두번째 작업이라고 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잘 박아야 한다는 것은


 


항구함과 인내와 끈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처음에 잘 보고, 잘 잘랐지만


 


그  잘 자른것을 가지고 항구하게 끝가지 가야 한다.


 


아무리 잘 잘랐어도 인간이라고 하는 존재는


 


나약한 존재이기에 그 자른것을


 


항구하게 안고 가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는가?


 


우리는 그것을 "작심삼일"이라고 하지 않는가?


 


작심삼일이 된다면 아무리 잘 보고,


 


자르고 해도 소용이 없다.


 


마지막으로 잘 박아서 꼭껴서 박아 넣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습관이 되게 해야 한다.


 


예수님께서도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실 당시


 


 "하느님의 말씀"으로 잘 보고 잘 잘랐지만


 


그 후에도 하느님의 말씀안에서


 


늘 한결같이 항구하게


 


그 말씀안에 머물러 계셨던 분이셨다.


 


프란치스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지만


 


복음이라고 하는 진주를 발견하여 복음의 기준으로


 


세속적인것과 천상적인 것을 잘 보고


 


자신의 욕망을 잘 자르고 했지만


 


자신이 죽는 그 순간까지도 절대 그 복음에서


 


놓지 않고 끝까지 안고 항구하게 나아갔다.


 


늘 한결 같았던 것이다.


 



지지대를 박을 때도 마찬가지다.


 


벽에다 대고 맞춘다음 한곳만을 계속 쳐야만 한다.


 


그래야 들어간다.


 


 그런데 이리 쳤다가 저리 쳤다가 하면 안들어간다.


 


오히려 틀어질 뿐이다. 우리의 영혼도 마찬가지다.


 


그 좋은것을 몇번하다가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항구하게 나아가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영혼을 바로 세울수가 있다.


 


이것이 바로 허물어져 가는 벽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을 통해서 바라본


 


내 영혼을 바로 세우는


 


지지대 작업의 단계이고 순서이다.


 


이러한 3가지의 단계를 통해서


 


우리의 신앙생활과


 


수도생활에도 적용을 시켜서 살아간다면


 


육신의 나약함으로 허물어져가는


 


우리의 영혼을 받쳐주게 될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 교회 교회   하느님은 돌이나 시멘트로 지은 건물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 안에, 따뜻한 인간 공동체 안에 머물고 싶어 하신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계획을 실천... 이마르첼리노M 2017.09.20 971
282 교황 프란치스코 께서 남긴 흔적 교황 프란치스코께서 남긴 흔적   예수 그리스도의 눈길로 성프란치스코의 눈길로   위로에서 버려진 이들 다 쓰고 버린 물건처럼 버려진 이들에게 ... 이마르첼리노M 2014.08.18 2032
281 교정복지론을 접하며 + 평화와 선 모든 형제자매님들께 평화를 빕니다. 덥다덥다.. 하던 더위는 이제 추억속으로 사라지고, 선선하다 못해 쌀쌀함이 느껴지는 가을이 왔어요. 오전에 ... 정마리아 2006.09.07 5024
280 광화문 광장의 함성 - 광화문 광장의 함성 -       1 광화문으로 향하는 의로운 발걸음 아름답구나 빛의 광장으로 향하는 올곧은 마음 숭고하구나 뜨거운 가슴에... 고파울로 2016.12.02 892
279 관점 바꾸기 관점 바꾸기   초록도 고비를 넘겼다 이글거리는 태양이 지지건만 저항도 없이 내어맡겼다 더는 내 디딜 수 없는 가파른 한계점 초록빛깔은 더 이상 초... 이마르첼리노M 2015.08.31 1189
278 관구창설 80주년 감회 - 이요한(종한)   제목이 어떤 이들에게는 좀 생경스럽지만 이것이 작은형제회라 불리길 몹시 바라는 프란치스코 수도회 한국 관구 홈페이지이니, 프란치스칸 영성과 삶에 사랑과... 2 이종한요한 2017.10.25 1558
277 관계적 진실은 실존과 정체성의 비밀을 푸는 열쇠 관계적 진실은 실존과 정체성의 비밀을 푸는 열쇠   성체성사는 관계성 안에서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 사랑의 표상이 되었다. 사랑하기 위하... 이마르첼리노M 2022.08.21 280
276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삶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삶   우리의 믿음은 하느님을 사랑하려는 의지보다 하느님으로부터 그때그때 사랑받고 있음에 대한 확신과 그에 합당한 응답... 이마르첼리노M 2021.08.21 373
275 관계의 혁명을 불러오는 자유   관계의 혁명을 불러오는 자유   “여러분은 인간에게 자유를 주는 법에 따라 심판받을 사람들이니 그런 사람답게 말하기도 하고 행하기도 하십시오. 무자비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7 392
274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너와 나 하느님과 나 관계의 질을 높이는 건 하느님의 존재 방식과 행위방식을 공유하는 것   하느님의 존재 방식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743
273 관계의 문을 여는 열쇠 관계의 문을 여는 열쇠   창조주께서는 창조하는 나를 창조하셨다. 진실에 닿아본 사람은 진실을 알아본다. 관계의 진실 속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하느님의... 이마르첼리노M 2019.09.10 490
272 관계성 안에서 태어나는 성탄의 신비 관계성 안에서 태어나는 성탄의 신비   용서 없는 삶은 하느님의 신비에 접근하기 어렵다. 신비에 접근하지 못하는 삶은 하느님을 잃고 방황하게 된다. 자... 이마르첼리노M 2019.12.03 608
271 관계 안에 불을 놓으시는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아름다움이신 성령 관계 안에 불을 놓으시는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아름다움이신 성령   마르틴 부버는 ‘모든 관계는 너와 나와의 관계이며 너와 나와의 관계가 아닌 관계는 나와 그... 이마르첼리노M 2023.08.14 364
270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은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열정을 가지고 따르... 이마르첼리노M 2023.01.13 395
269 관 상 관상 십자가는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주는 거울 거기서 친구를 위해 목숨을 내어 놓는 하느님을 본다. 모든 창조물은 하느님의 좋으심을 보여주는 거울 거기서 진... 1 이마르첼리노 2010.11.30 5087
Board Pagination ‹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