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5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DSC_3533_1.jpg

송년에 쓰는 회상의 편지

 

폭풍이 몰아치는 언덕에서

한 해의 끝자락에서 조용히 나를 바라보며

지난 시간들과 마주 앉아 있습니다.

 

춥고 어두운 존재의 숙소는

어처구니가 없이 폭풍에 날리고 찢겨져

존재의 명분을 어느 가치관에서 잴 것인가에

목말라 있기를 잘 했습니다.

 

돌풍같이 내달리던 격정의 시절

젊은 날의 포부는 열탕처럼 끓어 넘쳤으나

열의는 뒤끓어도 현황은 황량하였으며

비탄의 밀물이 휩쓸고

좌절감과 침몰감, 과민의 파도가 밀려와

준비된 순서처럼

당혹의 상이 곧잘 차려지곤 했습니다.

 

무지의 깊이를 보면

온갖 어리석음이 모든 설익은 간망과 함께

여름 햇볕에 그을리는 식물들처럼

몹시도 지쳐있었습니다.

 

때로는 나무에 기대어

높은 하늘과 멀리 주황이 흐르는 노을과

남아있는 낙조에 물들이면서

속이 빈 노인처럼 허탈해져

총총한 별밤을 홀린 듯이 바라보곤 했으며

이름 모를 그리움이

쓸쓸하면서도 따스한 안정과 함께 다가왔습니다.

 

밤의 강물에 실려 보낸 하고 많은 사념들

삶의 폭풍은 어디서나 불어왔습니다.

쓰디쓰게 깨무는 비애를 어쩔 도리가 없었지만

형용할 수도 없는 뜨겁고 서러운 충동이 북받쳐 올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한없이 바라보았습니다.

사랑과 진실은 진주를 만드는 상처처럼 아팠지만

쉼 없는 감동이 그 속에서 꽃피었습니다.

 

내 허약한 사념의 실오리를 뽑아 고치를 만들 때

피로의 그을음이 버섯처럼 돋아 있었지만

내 영혼의 정원에는 희망을 가꾸시는 분이

심야에 내리는 눈처럼 조용히 다가 오셔서

나와 함께 하셨음을 뒤늦게 알아차리곤 했습니다.

 

사랑과 신뢰는 극도로 희박해졌습니다.

여기엔 모두가 공범자 들이라 생각합니다.

공로와 업적이 제아무리 빛나더라도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하심을 드러내는

육화의 도구가 되지 못한다면

외형의 호화를 다 갖춘 장례 이상의 것이 아닐 듯싶습니다.

 

명주실을 뽑아내기 직전의 누에의 온몸처럼

영의 빛을 받아 투명한 존재로 다가가지 않으면

아무 것도 전달 될 수 없음을 자각 하면서

나는 소리의 산울림 같이

존재의 산울림으로 남아있고 싶습니다.

 

구세주의 성탄을 지내는 시기에

하늘에서 내리쏟는 질펀한 향유

눈길 머무는 곳 모두가 빛의 큰 바다입니다.

 

내 감정의 만조,

음악의 해일,

무거워서 들어 올릴 수 없는 귀중품 같은 이 도취

가난한 자각으로 아무 것도 남김없이

이를 돌려 드리려 합니다.

 

친구여!

영혼의 오랜 친숙으로

맨 먼저 이름을 짚어내는 이여

 

내 사념의 강물이 흐르는 유역에서

가까이 살고 있는 이여

 

거룩한 송년의 시간에

내 삶의 회상을 곁들여

감사와 더불어 이를 보내드립니다.

 

 

<embed width="200" height="30" src="http://mr.catholic.or.kr/ofmconv/Alex/cofession.mp3"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style="width: 200px; height: 30px;" allownetworking="internal" allowscriptaccess="never" />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 감탄의 신비로 경험하는 하느님 감탄의 신비로 경험하는 하느님   적의 땅 어떤 길에서 강도를 만나 가진 것을 빼앗기고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푼 사람이 너의 이웃... 이마르첼리노M 2019.12.09 595
571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누구나 슬픔과 고난의 짐을 홀로 질 수 없기에 내 몫의 작은 십자가를 지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떻... 이마르첼리노M 2021.03.14 594
570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하느님을 아는 사람은 언제나 겸손하다. 하느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예외 없이 자신으로 가득 차 있다. 질그릇 속의 보물은 ... 이마르첼리노M 2019.07.11 591
569 의식을 성찰하기 의식을 성찰하기   벌이 두려워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상을 받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착한 일을 하면 상을 받고 악한 일을 하면 벌을 받는다.... 이마르첼리노M 2020.07.01 590
568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내가 가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분은 나의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8.08 588
567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창세 1,26   나는 나에게 있는 하느님과 닮은 속성을 존중한다. 이것이 다른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0.03.07 587
566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후리지아 입술에 핀 미소   얼어붙은 땅 얼어붙은 마음   부풀어 오르는 꽃봉오리 얼굴과 입 눈가에 핀 내면의 꽃   받은 생명 지닌 생... file 이마르첼리노M 2021.01.08 584
565 향수 향수   영원한 고향은 어디에 있을까? 있기나 한 것인가?   처음부터 계셨던 분 세상에 태어날 때부터 동행하셨던 분 나의 삶에 중심에서 일하셨던 ... 이마르첼리노M 2019.08.29 584
564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특정한 장소나 때에만 계시는 분이 아닙니다. 우리의 노력으로 하느님을 모실 수 있는 게 ... 이마르첼리노M 2024.02.16 582
563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변화가 이루어진다. 하느님의 이미지가 깨달음 안에서 변화하면 나도 바뀌어야 한다. 그 변화의 과정이 진실할 때 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6 581
562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우리는 선을 행할 때마다 측은한 마음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자기 비움의 고통에 참여한다. 너를 ... 이마르첼리노M 2023.02.22 577
561 성금요일의 묵상 성금요일의 묵상   십자가의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사랑   용서하는 사랑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4.02 577
560 옷을 벗는 자유 (이미지 관리) 옷을 벗는 자유   지배할 필요도 굽신거릴 필요도 없이 자유롭게 살려면 자신이 만들었거나 외부의 평가가 만들었거나 그 이미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이마르첼리노M 2019.11.28 575
559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믿지 못할 세상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 하나 믿을 수 있는 단 한 사람 그분이 말구유... 이마르첼리노M 2019.12.06 572
558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하느님의 주요 관심사는 사랑이다. 믿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고 바치느냐? 가 아니고 사랑하느냐? 이며 지키느... 이마르첼리노M 2020.03.01 571
Board Pagination ‹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