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5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DSC_3533_1.jpg

송년에 쓰는 회상의 편지

 

폭풍이 몰아치는 언덕에서

한 해의 끝자락에서 조용히 나를 바라보며

지난 시간들과 마주 앉아 있습니다.

 

춥고 어두운 존재의 숙소는

어처구니가 없이 폭풍에 날리고 찢겨져

존재의 명분을 어느 가치관에서 잴 것인가에

목말라 있기를 잘 했습니다.

 

돌풍같이 내달리던 격정의 시절

젊은 날의 포부는 열탕처럼 끓어 넘쳤으나

열의는 뒤끓어도 현황은 황량하였으며

비탄의 밀물이 휩쓸고

좌절감과 침몰감, 과민의 파도가 밀려와

준비된 순서처럼

당혹의 상이 곧잘 차려지곤 했습니다.

 

무지의 깊이를 보면

온갖 어리석음이 모든 설익은 간망과 함께

여름 햇볕에 그을리는 식물들처럼

몹시도 지쳐있었습니다.

 

때로는 나무에 기대어

높은 하늘과 멀리 주황이 흐르는 노을과

남아있는 낙조에 물들이면서

속이 빈 노인처럼 허탈해져

총총한 별밤을 홀린 듯이 바라보곤 했으며

이름 모를 그리움이

쓸쓸하면서도 따스한 안정과 함께 다가왔습니다.

 

밤의 강물에 실려 보낸 하고 많은 사념들

삶의 폭풍은 어디서나 불어왔습니다.

쓰디쓰게 깨무는 비애를 어쩔 도리가 없었지만

형용할 수도 없는 뜨겁고 서러운 충동이 북받쳐 올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한없이 바라보았습니다.

사랑과 진실은 진주를 만드는 상처처럼 아팠지만

쉼 없는 감동이 그 속에서 꽃피었습니다.

 

내 허약한 사념의 실오리를 뽑아 고치를 만들 때

피로의 그을음이 버섯처럼 돋아 있었지만

내 영혼의 정원에는 희망을 가꾸시는 분이

심야에 내리는 눈처럼 조용히 다가 오셔서

나와 함께 하셨음을 뒤늦게 알아차리곤 했습니다.

 

사랑과 신뢰는 극도로 희박해졌습니다.

여기엔 모두가 공범자 들이라 생각합니다.

공로와 업적이 제아무리 빛나더라도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하심을 드러내는

육화의 도구가 되지 못한다면

외형의 호화를 다 갖춘 장례 이상의 것이 아닐 듯싶습니다.

 

명주실을 뽑아내기 직전의 누에의 온몸처럼

영의 빛을 받아 투명한 존재로 다가가지 않으면

아무 것도 전달 될 수 없음을 자각 하면서

나는 소리의 산울림 같이

존재의 산울림으로 남아있고 싶습니다.

 

구세주의 성탄을 지내는 시기에

하늘에서 내리쏟는 질펀한 향유

눈길 머무는 곳 모두가 빛의 큰 바다입니다.

 

내 감정의 만조,

음악의 해일,

무거워서 들어 올릴 수 없는 귀중품 같은 이 도취

가난한 자각으로 아무 것도 남김없이

이를 돌려 드리려 합니다.

 

친구여!

영혼의 오랜 친숙으로

맨 먼저 이름을 짚어내는 이여

 

내 사념의 강물이 흐르는 유역에서

가까이 살고 있는 이여

 

거룩한 송년의 시간에

내 삶의 회상을 곁들여

감사와 더불어 이를 보내드립니다.

 

 

<embed width="200" height="30" src="http://mr.catholic.or.kr/ofmconv/Alex/cofession.mp3"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style="width: 200px; height: 30px;" allownetworking="internal" allowscriptaccess="never" />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2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4 +그리스도의 평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통해서 또 한 가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일치적인 관계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한 그루만을 보... 2 김기환베드로M. 2013.05.20 5255
961 모성 모성 가슴 속에서 명주실처럼 허약한 사념의 실오리를 뽑아내어 서투른 글을 쓴다.  삶의 애환 사랑과 진실의 아픔 무언가를 잉태하고 싶고 품어 키우고 싶은 충... 이마르첼리노M 2013.05.26 5564
960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5 +그리스도의 평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는 우리에게 &quot;중용&quot;을 가르쳐 준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 그래서 적당하게 살아가는 법   을 ... 김기환베드로M. 2013.05.29 5858
959 그리움의 강가에서 그리움의 강가에서 오월이다. 저심으로부터 생명이 움텄다. 기름을 바르고 연한 속살을 드러낸 나무 연초록 잎새 사이로 햇살이 눈부시다. 오월이다. 생기 ... 이마르첼리노M 2013.05.30 6038
958 맨 끝에 만나는 사람 맨 끝에 만나는 사람     하루 동안 만나는 사람들 가운데 맨 끝에서 마지막으로 만나는 사람이 있다. 바로 나 자신이다. 나와 내 영혼이 마주 앉아... 이마르첼리노M 2013.06.02 4943
957 아침 묵상 아침 묵상   자신의 나약과 타락으로 노예가 되어 얼룩지고 병들어 버린 생활 방식에서 떠나라       이마르첼리노M 2013.06.03 5203
956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6 +그리스도의 평화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어찌보면 약한 모습이다. 나무가 전봇대 처럼 돌처럼 미동도 하지 않은체 서있다면 과연... 김기환베드로M. 2013.06.05 6146
955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7 +그리스도의 평화         종신서원하기전 유기서원소에 있을 때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보며 묵상한 것과 마음으로 다가왔던 가슴 벅찼던 많은   ... 김기환베드로M. 2013.06.14 5816
954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에 대한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논증 지난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제15차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마지막날 &quot;스코투스 사상 안에서의 사랑과 자유&quot;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질... 고파울로 2013.06.15 5742
953 프란치스칸 종교간위원회-콘솔라따 강디에고신부님 임마꿀랏따 강연희입니다.(인천.연수.선학동) 대화위원회세미나 2013-06-13 감사합니다. summers 2013.06.15 6790
952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8 +그리스도의 평화         내가 앉고자 하였으나   일어서게 되어서 보면   내가 일어서야 할 때였었고   내가 일어서고자 하였으나   ... 김기환베드로M. 2013.06.20 4558
951 쌍차 노동자를 위한 미사에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평화 김정훈 시몬 형제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쌍용 자동차 노동자들이 대한문 앞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노숙하며 투쟁하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은 지난 ... 2 김시몬 2013.06.20 5142
950 제1회 에코 북 컨서트 '우주 속으로 걷다.' file 김시몬 2013.06.26 5980
949 마므레 참 나무 곁에서(창세기 18,1-8) +그리스도의 평화         주님의 세천사는 마므레의 참나무 곁에(창세기 18,1) 있다가   아브라함이 그것을 보고서는 마치   종이 주인을 섬기듯한 ... 김기환베드로M. 2013.06.28 5411
948 6월의기억** 우산을 씌어 주셨던 김수환 추기경님 1980년대중반   그무렵 명동성당에서는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신부님들과  김수환 추기경님의 시국미사가 자주 봉헌되었다. 그 미사에 참예 하려고 수많은... knitting 2013.06.28 5327
Board Pagination ‹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