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5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우리는 산을 바라보고

 

좋은 경치를 보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그것보다도 우리가 등산할 때에도

 

우리는 산과 함께 할수도 있다.

 

우리는 등산을 통해서도

 

산으로부터 배울수가 있고,

 

지혜를 배울 수가 있어서

 

산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수 많은 사람들은 산을 얘기 할때

 

많이 하는 얘기가 인생은

 

등산과도 같다고 얘기한다.

 

그 뜻이 등산이라고 하는 것이

 

오를 때가 있으면 내려갈 때가

 

있는 것이라고

 

그래서 우리의 인생도 오를 때가 있으면

 

내려갈 때가 있는 것이라고 말이다.

 

한편으로는 이렇게도 생각하는 것이

 

"등산이라고 하는 것은

 

지상으로 부터 시작해서

 

지상으로 마치는 것"이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

 

지상으로부터 시작한 등산이 오를때있어

 

힘들지만 또한 내려갈 때 있어 쉬기도 하고

 

편안하고 좋을 때도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정상에 도달 할 때 있지만

 

우리의 목표는 결국에는 정상이 목표가 아니라

 

다시 지상으로 내려가는 것이 목표이다.

 

처음에 출발했던 그 지상으로 말이다.

 

등산중에 오르는 길이 있어 힘들도 지칠때면

 

지상으로 다시 내려갈 것을 생각하여

 

앞일을 내다 보며 힘을 낼 것이며,

 

또한 등산중에 평탄한 길이나

 

내리막 길이 있어 좋을 때에도

 

나도 남과 다를바 없이 똑같이

 

지상으로 부터 올라와서

 

다시 내려갈 것을 생각해서

 

그 편안함과 산의 좋은 경치에

 

너무 머무르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구약성경 욥기에서도

 

그와 비슷한 말씀으로 우리에게 전해준다

 

"알몸으로 어머니 배에서 나온 이몸 '

 

알몸으로 다시 그리아가기라(욥1,21).

 

불교에서도 비슷한 말이 있다.

 

"공수레 공수거"

 

즉, 빈손으로와 빈손으로 간다는 얘기다.

 

비록 짧고 간단한 말들이지만

 

이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알몸으로 태어나고

 

빈손으로 왔다는 것을 많이들 잊고 살아간다.

 

우리가 많은 것을 가지고 소유하고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부족할 것이 없는 삶을 살때에도

 

우리가 알몸과 빈손으로 왔음을 기억한다면

 

많이 소유하더라도

 

소유하지 않는 사람이 될 수가 있고,

 

비록 우리가 가진것이 없고,

 

그 어떤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알몸과 빈손으로 왔음을 깨닫는다면

 

우리는 가지지 않아도 아주 많은 것을

 

소유한 사람이 되어 기쁘게 살수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욥처럼 이렇게 고백할 것이다.

 

"주님께서 주신것 주님께서 도로 가지가시니

 

주님의 이름은 찬미받으소서"(욥 1,21).

 

"우리가 하느님에게서

 

좋은 것을 받는다면

 

나쁜것도 받아야 하지 않겠소?"(욥 2,10)

 

우리는 재물의 소유와는 상관없이

 

기쁜 삶을 살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의 삶은 등산하는 것과도 같다.

 

등산이란 지상으로부터

 

시작해서 다시 지상으로 내려가는 삶이다.

 

등산중에 아무리 힘들고, 지치고,

 

아프고, 또한 아무리 편안하고

 

어려움이 없어도

 

거기에 머물지 말고

 

항상 지상으로부터 다시 지상으로

 

내려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것이다.

 

메아리가 아닌 메아리가 있다.

 

그 메아리는 이렇게 말한다.

 

"인생이라는 등산중에 힘들든,

 

편안하든 정상에 도달하여

 

좋은 경치를 보아도

 

지상으로부터 시작해서

 

다시 지상으로 내려간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그 어떤것도

 

그 어떤 좋은것도

 

붙잡거나 집착하지

 

마십시오"라고 말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9 감사드립니다. 오늘로써 저의 어머니 장례 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장례 일정은 모두 끝냈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은 남았지요.   그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첫째... 김레오나르도 2013.07.18 5045
558 가난과일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평화    가난과 일은 어떻게 본다면   전혀 다른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깊이 있게 생각해 본다면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2 김기환베드로M. 2013.07.12 4898
557 김 요셉(상욱) 형제의 글에 대한 소견 (이요한 종한) 김 요셉(상욱) 형제가 빅터 프랭클 박사의 의미요법과 프란치스코가 말하는 순종의 세 형태를 비긴데 대한 소견이다. 빅터 프랭클 박사(1905- 1984)는 유대... 이종한요한 2013.07.11 5741
556 빅터 프랭크의 의미로 프란치스코의 순종을 읽어봄   빅터 프랭클이라는 심리학자가 있다. 그는 유대인으로 죽음의 수용소를 경험하고 삶의 의미, 삶의 가치를 찾고 추구하였다. 그는 우리가 만나는 삶의 가치, 삶... 김상욱요셉 2013.07.08 5513
555 6월의기억** 우산을 씌어 주셨던 김수환 추기경님 1980년대중반   그무렵 명동성당에서는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신부님들과  김수환 추기경님의 시국미사가 자주 봉헌되었다. 그 미사에 참예 하려고 수많은... knitting 2013.06.28 5340
554 마므레 참 나무 곁에서(창세기 18,1-8) +그리스도의 평화         주님의 세천사는 마므레의 참나무 곁에(창세기 18,1) 있다가   아브라함이 그것을 보고서는 마치   종이 주인을 섬기듯한 ... 김기환베드로M. 2013.06.28 5411
553 제1회 에코 북 컨서트 '우주 속으로 걷다.' file 김시몬 2013.06.26 5981
552 쌍차 노동자를 위한 미사에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평화 김정훈 시몬 형제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쌍용 자동차 노동자들이 대한문 앞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노숙하며 투쟁하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은 지난 ... 2 김시몬 2013.06.20 5142
551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8 +그리스도의 평화         내가 앉고자 하였으나   일어서게 되어서 보면   내가 일어서야 할 때였었고   내가 일어서고자 하였으나   ... 김기환베드로M. 2013.06.20 4558
550 프란치스칸 종교간위원회-콘솔라따 강디에고신부님 임마꿀랏따 강연희입니다.(인천.연수.선학동) 대화위원회세미나 2013-06-13 감사합니다. summers 2013.06.15 6805
549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에 대한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논증 지난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제15차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마지막날 &quot;스코투스 사상 안에서의 사랑과 자유&quot;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질... 고파울로 2013.06.15 5743
548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7 +그리스도의 평화         종신서원하기전 유기서원소에 있을 때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보며 묵상한 것과 마음으로 다가왔던 가슴 벅찼던 많은   ... 김기환베드로M. 2013.06.14 5816
547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6 +그리스도의 평화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어찌보면 약한 모습이다. 나무가 전봇대 처럼 돌처럼 미동도 하지 않은체 서있다면 과연... 김기환베드로M. 2013.06.05 6146
546 아침 묵상 아침 묵상   자신의 나약과 타락으로 노예가 되어 얼룩지고 병들어 버린 생활 방식에서 떠나라       이마르첼리노M 2013.06.03 5203
545 맨 끝에 만나는 사람 맨 끝에 만나는 사람     하루 동안 만나는 사람들 가운데 맨 끝에서 마지막으로 만나는 사람이 있다. 바로 나 자신이다. 나와 내 영혼이 마주 앉아... 이마르첼리노M 2013.06.02 4943
Board Pagination ‹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