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9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님의 식탁에 차려졌습니다. 자신을 길과 진리와 생명이라고 말씀하신 예수님께서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먹고 마셔야 하는 일상의 음식으로 자신을 내어주십니다.

 

나는 성체를 받아 모실 때마다 그분을 받아 모실 자격에 대해 어릴 때부터 배운 것은, 죄가 없어야 받아 모실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양심 성찰을 통해 고백성사를 보고 죄의 사함을 받은 후에 성체를 받아 모실 수 있었습니다. 죄 중에서 그분을 받아 모시면 안 된다는 강한 압박 때문에 양심을 거스르는 사소한 죄까지도 깨끗하게 준비해야 성체를 받아 모실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우리가 일상의 음식을 먹을 때마다 죄와 대면해야 한다면 음식을 즐겁고 마음 편히 먹을 수 있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성체성사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과 신뢰의 태도라는 생각이 점점 커졌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내어주시면서 자격심사를 하시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죄의 고백과 영성체의 문제는 교회 안에서 그렇게 깨끗한 마음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은 맞지만 믿음의 문제는 죄의 문제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죄없이 살아가는 사람은 없습니다. 죄가 주는 가장 큰 피해는 단절입니다.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생기는 충돌과 마찰은 음식을 먹을 마음이 없게 만듭니다. 갈등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식욕이 없어지게 마련입니다. 자격이 문제라기보다 내면의 평화가 더 중요합니다. 내면의 평화는 관계의 평화가 있을 때 가능합니다. 관계의 평화는 자만심과 탐욕으로 깨지고 맙니다. 내가 운전대를 잡으면 길이 되신 분을 따라갈 수 없습니다. 내 안에 주님의 영과 그 영의 거룩한 활동을 지니지 않으면 믿음이 주는 자유를 잃어버립니다. 자유를 잃어버리면 언제나 내가 중심이 되고 내가 중심이 되면 관계가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관계의 순환 속에서 단절이 주는 죄는 심각합니다.

 

너를 받아들일 공간과 여백이 없는 사람은 내어주시는 사랑을 느낄 수가 없습니다. 다만 복을 받기 위해 하느님과 너를 이용의 대상으로 여길 뿐입니다. 수없이 많은 영성체를 해 왔어도 자신을 내어줄 줄 모르는 신자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들이 예수님의 내어주시는 몸을 아무리 많이 받아 모신들 너를 위해 자신을 내어줄 마음이 없다면 성사의 의미는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아무런 대가도 없이 무상의 식탁에서 거저먹고 마시는 우리는 우리의 관계에서 무상성이 실현되도록 할 때 비로소 성체성사의 의미가 살아날 것입니다.

 

생명의 빵은 그리스도의 몸이며 그리스도의 몸은 우리의 관계 안에서 흐르는 선으로 생명을 줍니다. 빵은 함께 나눌 때 신비롭게 서로를 비춥니다. 공존은 나눌 때 가능합니다. 삼위일체 관계로부터 나오는 선을 공유하는 신비가 생명을 주는 빵이 되신 그리스도의 몸으로 배고픔과 갈증을 멈추게 합니다. 너의 필요를 채우는 빵으로 나를 내어주는 그곳에 생명의 신비가 만발합니다. 성찬례는 신뢰와 사랑으로 서로를 받아들이는 관계의 신비이며 거기서 나오는 기쁨이 잔치를 즐겁게 합니다. 값없이 베푸시는 은총으로 충만해진 내가 너를 받아들여 너와 하나 되는 몸으로 일치를 이루는 거기에 생명의 빵으로 자신을 내어주시는 영의 현존이 있습니다. 성찬례에서 우리가 할 일은 무릎을 꿇고 굳은 믿음 안에 반듯하게 서는 일이 전부입니다. 죄가 문제가 아니라 믿음이 문제입니다. 자격이 문제라기보다 사랑이 문제입니다. 내어줄 마음이 없이 성체를 모시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자신을 낮추어 음식으로까지 내어주시는 사랑 앞에 굽실거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대하실 때 동등함을 넘어 몸을 굽혀 우리의 발아래에서 발을 씻어주시고 양식과 음료로 우리를 대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그렇게 대하시는 데 우리는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아이처럼 그렇게 기뻐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느님이 예수님 같은 분이시라면 우리는 그분 앞에 굽실거리기보다 즐거워해야 할 것입니다.

 

무상으로 내어주시는 사랑의 잔치에 참여한 이들은 슬픈 표정이나 괴로운 표정을 짓지 말아야 합니다. 잔치에서는 경건함보다 즐거움이 큽니다. 잔치에서는 죄보다 하느님의 자비가 더 큽니다. 그리스도의 몸을 받아들여 몸과 마음에 그분을 간직하고 살아가는 관계의 현장에 생명이 흐릅니다.

 

성체성사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입니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생명의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나의 살이다. 세상은 그것으로 생명을 얻을 것이다.” (요한 6,50-51)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8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192
1467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 1,15)     교회 전통 안에서 회개는 기도와 단식과 ... 이마르첼리노M 2024.02.19 336
1466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당신이 삶의 일상적 선물들을 음미하는 작은 방법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신이 이 질문을 숙고할 때, 가족, 친구, 동료들 그리고 삶의 ... 김상욱요셉 2024.02.16 65
1465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기도는 변화로 나아가게 하는 창조의 행위입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특정한 장소나 때에만 계시는 분이 아닙니다. 우리의 노력으로 하느님을 모실 수 있는 게 ... 이마르첼리노M 2024.02.16 578
1464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 하기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pruning) 하기 어떤 환경 하에서 당신의 선물들이 부담이 되어버렸는가요? 다른 사람들의 반대들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 김상욱요셉 2024.02.12 359
1463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는 주일과 대축일에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을 합니다. 신앙고백은 12가지의 믿... 이마르첼리노M 2024.02.11 228
1462 내가 믿는 하느님 상(像)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 상(像)이 나의 삶을 바꿉니다.   요한 사도는 “하느님께서 사랑”이시라고 말합니다. 믿음의 출발이 사랑의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음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4.02.08 306
1461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수많은 이들이 복음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예수님을 따르기보다 신심 위주의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을 쉽... 이마르첼리노M 2024.02.06 72
1460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예수그리스도를 앎에 이르기까지 정직한 자기 앎으로부터 지각과 인식의 새 지평이 열립니다. 앎... 이마르첼리노M 2024.02.05 90
1459 둘째 날: 당신의 선물들을 향상시키고 만끽하고 나누기 둘째 날: 당신의 선물들을 향상시키고 만끽하고 나누기 하느님께서 당신에게 주신 선물들과 달란트들을 어떤 식으로 돌보고 기르고 있는가? 당신이 다른 타입의 ... 김상욱요셉 2024.02.03 89
1458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선은 그 자체로 보상이며 악은 그 자체로 처벌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니 우리도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예수께... 이마르첼리노M 2024.02.01 210
1457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하느님께서 당신을 이 세상에 있게 함으로 이 세상에 주고 있는 모든 선물과 달란트에 대해 나열하시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나열... 김상욱요셉 2024.01.31 49
1456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피정하는 시간은 깊이 바라보는 시간입니다. 나는 가끔 나의 내면에서 벌어지는 드라마를 주관적으로 판... 이마르첼리노M 2024.01.24 221
1455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우리가 보고 들은 그것을 여러분에게 선포하는 목적은 우리가 아버지와 그리고 그분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와 사귀는 친교를 여러분도 ... 이마르첼리노M 2024.01.23 57
1454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이제 당신의 차례이다. 여유를 가지고 제공된 가르침들을 다시 생각하며 그것들이 당신의 고유한 상황에서 자기 방식으로... 김상욱요셉 2024.01.23 7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