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

 

 

인간의 강함은 자만심에서 나옵니다. 인간의 자만심은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으려는 자율적인 마음과 독립적이고 통제를 좋아하며, 자기만족을 위해 움켜잡고 휘두르기를 좋아합니다. 그러므로 자신을 낮추고 내어주시는 하느님으로부터 배우려고 하지 않습니다. 눈앞의 이익을 가장 우선시하고 안전하고 즐겁고 편하기 위해 하느님을 이용하고 사람들을 이용의 대상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느님의 힘이 사람의 눈에는 약하게 보이지만 사람의 힘보다 강합니다.” (1고린 1,25) 겁나고 엄청난 이 한마디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신비로 들어가는 열쇠를 우리에게 줍니다. 하느님의 약함이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선 안에서 서로 나누는 친밀함으로 하나 됨을 만들고, 자신을 내어주면서 창조하고 자신을 열어 놓음으로써 받아들일 공간을 마련합니다. 내어주는 사랑에는 힘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힘으로 하는 일이 아닙니다. 연약하고 부드럽고 따듯한 여백으로 서로의 필요성을 채웁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그리스도 예수와 한 몸이 되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하느님께서 주신 우리의 지혜이십니다. 그분 덕택으로 우리는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었고, 해방을 받았습니다. (1고린 1,30)

 

자기 힘으로 사는 사람은 울타리를 세우고 그것을 지키기 위하여 노심초사합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아버지와 아들, 성령 사이에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동시에 내어주십니다.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시지만 아버지는 아버지로 남아 계시며, 아들은 아들로 남아 계시면서 상호 간에 사랑 안에서 성령을 발견하게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 덕택으로 그리스도 예수와 한 몸이 되게 하셨다는 사도 바오로의 가르침은 예수님 안에서 내어주시는 하느님을 배우라고 촉구하는 것 같습니다. 예수님을 따르기 위하여 하느님의 약함을 배워야 하고, 하느님의 겸손한 마음을 우리의 몸에 지니고 살아가라고 하십니다. 내어주는 사랑이 너를 받아들일 공간을 만들 듯이 자신을 낮춰야 너를 받아들일 여백이 생깁니다. 내어주어서 생긴 공백이 자연스럽게 너로 채워집니다. 우리의 실존은 관계적 실존이며 관계를 떠나서는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경험할 수 없습니다.

 

관계의 장벽에 가로막힌 삶은 자신이 힘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만든 벽입니다. 누군가를 위하여 경계를 허무는 사람은 누군가로부터 돌려받습니다. 상실에서 건져 올린 소중한 너로 부족한 나를 채웁니다. 저마다 자기가 다른 누구한테 받아들여짐을 받아들이고 다른 누구에게 넘겨줍니다. 사랑은 그렇게 순환하면서 생명의 에너지로 일하시는 영의 활동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냅니다. 이것이 우리가 가야 할 영적인 여정입니다. 우리는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입니다. 하느님께 받아들여졌음을 받아들이고 그 결실로 너를 받아들입니다. 이렇게 받아들이기까지는 한평생이 걸립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까닭은 너무나 심한 자기 비하와 자기 보호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은 죄인이며 무가치하기에 그리스도의 몸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될 수 없는 존재라고 확신합니다. 결핍과 자기방어에 익숙한 나머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보는 눈이 멀었습니다. 기쁨을 잃어버린 하루하루가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더욱 괴롭습니다. 외적으로 강하다는 인상을 심어주려는 사람은 내면의 공허를 감추려고 그렇게 합니다. 복음은 우리에게 풍요로운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말하지만, 실존적 공허를 지닌 사람은 자기 현실이 아니라고 부정적으로 말합니다. 인간의 자만심이 만든 탐욕과 힘자랑의 전쟁이 개인과 개인, 공동체와 공동체,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죽이는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단절과 소외, 심각한 외로움이 자꾸만 철옹성의 울타리를 강화합니다.

 

경계를 허무는 힘없음이 벽을 허뭅니다. 하느님의 힘없음이 우리를 살립니다. 우리에게 좋은 소식은 우리의 삶이 언제나 하느님께 쓸모가 있다는 것과 우리에게 필요한 건 능력이 아니라 투명함과 상처 입기 쉬운 나약함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철저하게 그리스도의 몸이며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관계 안으로 흐르게 하는 도구들일 뿐입니다.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로 그리스도의 몸이 된 우리는 이러한 하나 됨이 한 번에 완전히 해결되었다는 것이 우리에게는 상상을 초월한 기쁜 소식입니다. 우리의 노력이나 수고로 하느님과 합일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주님의 거룩한 영의 활동입니다. 성령에 의하여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사실 하느님의 성령께서 여러분 안에 계신다면 여러분은 육체를 따라 사는 사람이 아니라 성령을 따라 사는 사람입니다.” (로마, 8,9) 우리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근본에 닿았고, 너와 나와, 피조물과 나와의 관계 안에서 발견되었고 자유의 집으로 돌아온 것을 깨닫게 되면 넉넉함과 풍요로움으로 가득 찬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선이 우리의 관계 안에서도 지금 여기서 누릴 수 있는 하느님 나라로 발견될 것입니다.

 

사랑은 약함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하느님 사랑의 극치 극치의 하느님 사랑   성목요일 내어주는 몸 쏟는 피 발을 씻어주는 섬김의 현장 극치의... 이마르첼리노M 2024.03.27 338
26 성체성사 - 내어 주는 몸과 쏟는 피 성체성사 - 내어 주는 몸과 쏟는 피   하느님께서 우리가 행한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주신 것이라면 그것은 대가로 받은 것이지 은총이 아닙니다. 은총이... 이마르첼리노M 2023.11.15 140
25 성탄과 공현의 신비 ( 관계 안에서 안전과 온화함의 기운을 느끼게 하는 사람들 ) 성탄과 공현의 신비 ( 관계 안에서 안전과 온화함의 기운을 느끼게 하는 사람들 )   가브리엘 천사로부터 말씀의 잉태 소식을 들은 마리아는 자신의 자유를 하... 1 이마르첼리노M 2023.01.05 390
24 수난의 사랑이 무엇인가요? 수난의 사랑이 무엇인가요?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기로 선택했을 때 견딤과 피 흘림을 동시에 경험합니다. 다만 사랑으로 하는 일에는 멍에가 가볍고 짐이 좀... 이마르첼리노M 2023.07.25 300
23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앎은 변화의 기초 (어떻게를 배워라)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예수그리스도를 앎에 이르기까지 정직한 자기 앎으로부터 지각과 인식의 새 지평이 열립니다. 앎... 이마르첼리노M 2024.02.05 90
22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의 자기소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 11,28)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4.04.30 46
21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온유하고 겸손하신 하느님의 여성성   너무나 많은 이들이 교회를 다니는 이유가 하느님의 사랑을 배우고 진리를 따라 살기보다는 사교클럽 삼아 다니거나 인간 ... 이마르첼리노M 2024.03.21 277
20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갈등과 넘어짐을 반복하면서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3.02.10 488
19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하느님이 보이지 않는 삶은 유혹에 빠진 삶이다. 인간을 소중히 생각하지 않으면서 하느님을 믿는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자신이...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2 404
18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사도 바오로는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쓰레기로 버렸다.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은 나는 이스라엘 민족으로 벤야민 지파 출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03 461
17 자유를 위한 몸값으로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자유를 위한 몸값으로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남이 자신을 사랑하기 쉽도록 허용하고 또 남을 사랑하기로 마음먹은 사람은 하느님께 자신의 자유를 내... 1 이마르첼리노M 2022.03.19 408
16 저항의 빛 (촛불 집회) 저항의 빛 (촛불 집회)   숨고 싶어 헤매던 세월 그 아픈 세월을 딛고 일어설 수 있도록 민중을 일으켜 세우시는 하늘의 손길.   죽이는 문화를 확장하려는 음... 이마르첼리노M 2024.01.08 122
15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왕이 되려는 갈망을 넘어 스스로 왕이 되어 왕권을 넘보는 이들을 가차 없이 죽이는 문화,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왕들이 되어 왕들의 전... 이마르첼리노M 2022.12.24 420
14 죽음과 부활 (관계성의 신비) 죽음과 부활 (관계성의 신비)   내어주는 죽음이 내어주는 기쁨으로 받아들이는 죽음이 받아들이는 기쁨으로   내려가는 죽음이 내려가는 기쁨으로 내려놓는 죽... 이마르첼리노M 2023.04.09 307
13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0
Board Pagination ‹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