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세 번째 출입구: “너는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저명한 영성 작가 헨리 나우엔은 트라피스트 수도승이고 원장이고 심리 치료사인 존 에우데스 뱀베르거(John Eudes Bamberger)로부터 영적 지도를 받는 행운을 가졌다. 헨리는 이 수도원에 9개월간 머무르며(이 경험이 제네시의 일기 출판을 가능하게 함) 영적 지도를 받았는데, 이 세션 중 하나에서 헨리는 자신이 느끼기에 너무나 기본적이고 소박한 다음 질문을 나누었다. “내가 기도할 때, 나는 누구에게 기도하는가?” “내가 주님을 부를 때, 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헨리는 존 에우데스가 예상했던 것과는 매우 다르게 응답을 했을 때 놀랐다. 존 에우데스가 말했는데, “이것은 실제적인 질문이다. 이 질문은 당신이 물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 적어도 이것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을 일으키게 하는 질문이다.당신은 이 질문이 당신의 모든 부분들과 연결된 것임을 발견할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기도하는 주님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은 주님께 기도하기를 원하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직접적으로 이끈다. 그리고 당신은 곧 왜 정의의 주님이 또한 자비의 주님일 수 있는가?’라는 의문에 잠길 것이다. 이것이 당신을 묵상의 중심으로 이끌 것이다.”

그러고 나서 존 에우데스는 당신이 누구에게 기도하는가?’에 대한 원래 질문을 대면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데 이 질문을 묵상의 중심으로 만드는 어떤 결정을 요구한다. 만약 당신이 그렇게 한다면, 당신은 긴 여정을, 아주 긴 여정을 출발하는 것임을 알 것이다.”

이 여정을 걷고자 한다면, 우리 각자는 자기 기도 규칙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이에게 손 뻗침과 관련된 가서 그렇게 하여라는 부르심은 세상살이에서 우리에게 버겁게 다가오는 모든 것에 더해 불가능한 무언가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응답이 건강한 자기 사랑과 깊이 있는 하느님 사랑에 기반할 때, 이것은 세 개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하는 부르심이고, 세 출입구는 우리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것을 경험하게 하는 곳으로 이끈다. 이것이 이 책이 추구하는 바이다.

 

첨언) “하느님 당신은 누구이시고, 벌레만도 못한 저는 누구입니까?” 이 질문은 프란치스코가 종종 던지곤 했던 질문입니다. 이 질문을 놓고, 현대인들은 프란치스코가 자기와 사람들을 너무 천하게 보지 않는지?’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의 삶을 되돌아보면 이 질문은 자기와 사람을 부정적으로 본 것이 아니라, 허상에 매이지 않고 진실로 자기와 하느님을 바라보려는 움직임이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집안에서 많은 기대를 받았고 사랑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그는 집안의 가업인 옷감 장수를 이어받던지, 아니면 이보다 높은 지위인 기사가 되고자 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프란치스코는 이 모든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기사가 되고자 전쟁에 참여하고 실패하면서 프란치스코는 세상과 자기가 추구하는 삶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보다 더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 질문이 하느님 당신은 누구이시고, 벌레만도 못한 저는 누구입니까?”

이 질문을 하면서 프란치스코는 더 깊이있게 자비의 하느님을 맛보게 되고, 하느님의 자비심을 육화시키며 그리스도와 하나되는 삶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이후 프란치스코가 살아있는 성인으로 사람들이 칭송을 할 때에도, 그는 이 질문을 자기에게 던지곤 하였습니다. 이 질문을 던지며, 그는 자기에게 베풀어지는 하느님의 은총에 더 깊이 젖어들었고 하느님께 모든 것을 돌려드리며 더 깊이있게 하느님께 나아갈 수 이었습니다.

그는 권고에서 말합니다. “사람들로부터 천하고 무식하며 멸시받을 자로 취급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칭찬과 높임을 받을 때도 자기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 종은 복됩니다. 사실, 인간은 하느님 앞에 있는 그대로이지 그 이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기 의지로 높은 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이들의 발 아래 있기를 늘 열망하는 그런 종은 복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바람결에 흔들리는 나무들같이 바람결에 흔들리는 나무들같이   어느 날 한 자락의 바람이 불어와 나무들의 볼을 비빌 때 나는 내 존재의 깊은 심연에서 다른 사람이 나를 보듯이 바깥에 서서 ... 이마르첼리노M 2023.07.01 225
63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4.04.20 223
62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내어줌을 배우는 영성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내어줌을 배우는 영성   꽃은 꽃으로써 만족하고 향기를 내어줍니다. 나무는 나무로써 만족하고 잎과 열매와 몸 전체를 아낌없이 내어... 이마르첼리노M 2023.07.17 220
61 수도원 카페 이야기_1,"엄마의 오늘의 단상" 글을 쓰면서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의 깊이를 더하려는 이가 있습니다. 제가 그분 대신 그분의 글을 공유하려 합니다. 우리는 글을 쓰면서 자기를 이해하고 자기를... 김상욱요셉 2023.11.24 219
60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219
59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질문과 대답 사이 (“오 하느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저는 무엇입니까? )   성프란치스코에 대한 글에서 그는 어느 날, 밤을 새워가며 이렇게 기도하였다고... 이마르첼리노M 2024.05.11 218
58 찬미받으소서 회칙과 요한복음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우리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종교적 관점이든 아니든, 카톨릭의 관점이든 불교의 관점이든 우리... 김명겸요한 2023.05.26 215
57 아테네 사람들에게 선포한 바오로 사도의 복음과 우리 신앙의 성찰 창조의 사랑을 알아야 도구적 존재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아레오파고 법정에서 아테네 시민들에게 한 바오로 사도의 설교 내용을 보면 지금 우리가 자주 잊어... 이마르첼리노M 2024.05.09 214
56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 됩니다.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됩니다.   가난을 내려가는 일과 내려놓는 일로, 겸손을 허용하는 일과 놓아주는 일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내가 객... 이마르첼리노M 2023.11.07 214
55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213
54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아버지를 잃어버린 사람들, 우리의 믿음에서 하느님이 아버지로서의 하느님보다 위협적이고 벌을 주시는 하느... 이마르첼리노M 2023.04.30 211
53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는 육화의 신비는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의 신비입니다. 예수는 인... 이마르첼리노M 2023.12.18 209
52 17. 충실함은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17. 충실함을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때때로 우리는 세상의 모든 고통을 볼 때 화가 난다. 또 다른 때에는, 우리를 화나게 하는 ... 김상욱요셉 2023.11.22 208
51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205
50 인식의 재 인식 인식의 재인식   산다미아노 성당의 십자가 앞에서 드린 성프란치스코의 기도는 우리 믿음의 기초를 든든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올바른 신앙, 확고한 희... 이마르첼리노M 2023.06.20 202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