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하나를 알면 다른 게 보입니다. (사랑의 신비 안에서 발견되는 사랑의 속성)

 

삼위일체 사랑은 내어주는 신비입니다. 내 것이 하나도 없는 순수한 가난이며 그렇게 내어주어도 자신으로 남아 있고 자신으로 남아 있어도 둘이 아니라 하나라고 말하는 놀라운 기쁨을 경험합니다. 우리는 주고 또 주어도 매양 줄 것이 남아 있는 사랑의 신비 안에서 내어주는 기쁨이 얼마나 큰 행복인가를 경험합니다. 하느님에게는 자기 소유의 흔적이 단 한 점도 없습니다. 하느님의 권능은 내어주기 위하여 자기를 포기하는 권능입니다. 순수성이란 모든 이기주의와 소유를 내어버린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는 가난 없는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나고 맙니다.

 

사랑은 분리와 결합을 동시에 원합니다. 자기 자신으로 남아 있으면서 타인에게 결합 될 뿐만 아니라, 그와 더불어 하나 되고 싶다는 이 깊은 희망이 사랑에 따라오는 고통을 극복하게 만듭니다. 주님의 영과 그 영의 거룩한 활동을 마음 안에 간직하고 사는 사람은 잉태된 말씀을 관계 안에 출산합니다. 관계 안에 선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충만한 기쁨으로 내면의 선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랑의 교환이 있는 관계에 확장되는 하느님 나라의 현재가 있습니다.

 

부활은 죽음에 대한 삶의 승리를 의미합니다. 가난과 겸손이라는 내적인 자기 죽음을 통해 관계적 선이라는 기쁨을 선물로 받기 때문입니다. 삶은 즐거운 것이며 영적으로만 즐거울 뿐 아니라 몸도 즐거운 것입니다. 인간은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기 때문입니다. 절제만 가르치는 종교는 기쁨이 없습니다. 기쁨이 없는 사순절만 계속되는 사람은 하느님 나라의 기쁨을 선포하신 예수님의 행복 선언에서 멀리 있는 사람입니다. 일상의 관계는 죽음과 부활의 신비를 삶으로 표현하는 관계의 신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는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몸과 함께 부활하셨습니다. 그분의 몸은 새로운 품위를 지닌 몸이 되었습니다. 선의 열매가 관계에 빛을 밝히고 샘물처럼 목마름을 채우기 때문입니다.

 

탐욕에 눈이 어두워 미움이 증대되고 갈등과 단절로 점철된 관계에서 기도로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은 기도문을 암송하는 숫자에만 관심을 보입니다. 숙제처럼 해치우는 기도에 하느님의 보상을 기대하지만 결국 하느님의 침묵만 경험할 뿐입니다. 하느님의 부재와 침묵은 자만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쳐야 한다는 의무와 강박이 불안하고, 우울하고, 몸과 마음을 지치게 하고 내면을 황폐하게 할 뿐입니다. 자신이 만든 감옥에서 끝없이 반복되는 기도의 양과 희생과 제물의 양으로 하느님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고 믿는 자만심은 하느님과 너와 자연 세계의 피조물을 이용 대상으로 전락시킬 뿐입니다. 이용 가치가 있을 때만 관심을 보이다가 이용 가치가 없으면 결국 폐기 처분하고 맙니다. 교회 안에 냉담자들이 그렇게 많은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믿음은 사랑과 함께 성장합니다. 여기에서 희망이 솟아납니다. 그러므로 믿음은 하느님이 계신다는 사실을 믿는 게 아니라 사랑이신 하느님을 믿는 것입니다. 자신을 내어주시는 하느님을 경험한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 압니다. 사랑의 속성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선에서 흘러나오는 샘물입니다. 이 물을 맛본 사람은 너의 필요성이 발견되면 어떻게 해서든지 자신을 내어주려고 방법을 찾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방법을 찾지만 사랑이 없는 사람은 변명하기에 급급합니다. 탓하고 합리화하고 포장합니다.

 

예수께서는 율법과 의무와 도덕 중심의 종교를 하느님의 은총과 잔치 중심의 종교로 바꾸셨습니다. 친밀하시고 인격적인 하느님과 연결이 무상성과 보편성으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관계 안에 흐르는 선은 거저 주시는 무상의 시혜와 차별이 없는 보편적 사랑에서 나오기 때문에 우리는 그 거울에 우리의 모습을 비춰봄으로써 우리의 관계를 성찰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도가 변화를 위한 출발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상을 위한 거래로 변질된 기도에 빠진 사람은 자신이 만든 감옥에서 해방될 수 없습니다.

 

진리는 정직하게 원하는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치유하는 진리로 경험합니다. 진리와 아름다움과 선함의 조화가 관계 안에 꽃피는 하느님 나라이며 아름다운 영혼은 이것을 즉각적으로 알아듣습니다. 기쁨을 발생시키는 관계의 현장에서는 어떻게 해서든지 이를 반영하려고 온갖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아름다움은 항상 구체적으로 육화되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선함과 진실함과 아름다움이 우리를 변화시킵니다. 그것이 하느님 사랑의 속성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를 알면 다른 게 보입니다. 사랑의 속성에 머무는 사람은 앎이 무엇인지를 그렇게 배웁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2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quot;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여라.&quot; (마태 18,22) 일만 달란트나 되는 돈을 빚진 사람이 왕 앞에 끌려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3.03.15 246
1361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사도 바오로는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쓰레기로 버렸다.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은 나는 이스라엘 민족으로 벤야민 지파 출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03 461
1360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우리는 선을 행할 때마다 측은한 마음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자기 비움의 고통에 참여한다. 너를 ... 이마르첼리노M 2023.02.22 577
1359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내 믿음의 토대는 인류 구원에 대한 속죄 이론이 예수 그리스도의 형벌적 대속론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참여... 이마르첼리노M 2023.02.14 291
1358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갈등과 넘어짐을 반복하면서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3.02.10 488
1357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세상은 온통 작은 기쁨들로 가득 차 있다. 다만 이 기쁨을 알아보는 능력이 없을 뿐이다.   하느님께서 새날로 주신 아침에 형제들... 이마르첼리노M 2023.01.30 440
1356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1355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나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 믿음의 근본을 이루는 힘의 원천을 성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시작된 신적인 ... 이마르첼리노M 2023.01.26 245
1354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내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과 하느님께서 나에게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을 허용할 수 ... 이마르첼리노M 2023.01.25 244
1353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불확실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은총과 사랑과 자비와 용서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 삼위일체 안에... 이마르첼리노M 2023.01.21 347
1352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은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열정을 가지고 따르... 이마르첼리노M 2023.01.13 395
1351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자신의 힘을 자신만의 상승을 위해 사용하고 공동선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를 모... 이마르첼리노M 2023.01.12 455
1350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가 지난날의 내 믿음을 성찰하는 가운데 발견한 것은 하느님을 권력을 지닌 힘으로, 지배하는 전능으로 이... 이마르첼리노M 2023.01.11 311
1349 성탄과 공현의 신비 ( 관계 안에서 안전과 온화함의 기운을 느끼게 하는 사람들 ) 성탄과 공현의 신비 ( 관계 안에서 안전과 온화함의 기운을 느끼게 하는 사람들 )   가브리엘 천사로부터 말씀의 잉태 소식을 들은 마리아는 자신의 자유를 하... 1 이마르첼리노M 2023.01.05 390
1348 새해의 기도 새해의 기도   새해 새날의 첫 시간 주님이 주신 생명으로 살아 있음에 감사를 드립니다.   나를 사로잡았던 일들로부터 나를 빼내 주시고 성령 안에서 저를 다... 이마르첼리노M 2023.01.01 261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