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0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두 번째 출입구: 너 자신을 사랑하라.

만약 우리가 정말로 잘 싸우고자 한다면, 우리는 이른 시점부터 다른 이에게 자비롭다는 것이 자기를 무시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사실 진정한 우정의 긴 여정은 자신과의 좋은 관계를 맺는 것에 달려 있다. 교황 요한 23세가 말했는데, “충만한 사랑의 마음을 가진 이들은 항상 나눌 무언가가 있다.” 이 지혜는 다른 문화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나이지리아 이브 부족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주는 것이 마음이고손가락은 움켜잡는 것이 아니라 그냥 가게 하는 것이다.”

당신이 주위의 다른 이를 사랑하지 않으며 하느님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류인 것처럼, 너 자신을 무시하거나 돌보지 않고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더구나 당신이 받은 선물과 그 선물을 만끽하는 것은, 당신이 하느님께 드리는 가장 아름다운 선물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의 서두에서 소개한 성탄 선물을 받은 작은 소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감사함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은 어떤 모습이겠는가? 그 소녀의 경우, 그 선물에 기뻐하고 그것을 기꺼이 다른 이와 나누는 모습일 것이다. 우리 삶도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직업적인 조력자와 치료자가 자신의 사도직을 계속 수행하도록 자기 자신을 알고 사랑하고 돌보도록 같은 정보를 공유할 때, 두 번째 출입구는 어렵고 진이 빠지는 상황에서도 어떻게 생동감과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단순하고 효과적인 길잡이를 제공할 것이다. 다음을 기억하라. 관건이 되는 것은 세상이나 우리 일이나 우리 가족이나 심지어 내 자신 안에 있는 어둠의 총계가 아니다. 차이를 만드는 것은 우리가 이 어둠 안에서 어떻게 서 있느냐?’이다.

이것과 어떻게 생동감과 생명력을 유지하는지 아는 것은 우리가 예수님의 가서 그렇게 하라라는 부르심을 크게 다른 방식으로 보도록 할 것이다. 우리 자신을 성공과 실패, 죄책감과 의무에 매이지 않게 하며, 우리가 다른 이를 돕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자기를 더 낫게 변화시키는 개인적 충실성 안에서 나아가도록 한다.

 

첨언) 프란치스코는 중세의 사람이기에 중세 문화의 영향으로 자신을 부정적으로 대함으로 성덕으로 나아가려 하는 움직임을 하였습니다. 그런 문화의 영향으로 프란치스코는 극기와 단식을 종종 하였고 자기 육신의 욕구를 잘 들어주려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는 자신의 욕구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욕구에 기초하여 이웃과 형제들, 특히 약한 이들을 섬기곤 하였습니다.

하루는 한 형제가 단식을 너무 해서 잠을 자다가 나뒹굴기 시작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그가 배가 고파 아픈 것을 알아차리고, 그에게만 먹을 것을 주지 않고, 다른 모든 형제를 깨워 함께 먹도록 하였습니다. 그 형제가 혼자 먹는 것을 부담스럽게 여길 수 있었고, 또한 다른 형제들이 혼자 단식을 그만두는 그를 비웃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였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자기의 약함과 그 가운데에 자기가 바라는 것을 바탕삼아 다른 이의 필요에 깨어있었고 그 필요를 채우면서 하느님의 사랑이 육화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는 자주 움직이는 형제들이 여행을 하다가 아픈 형제가 생기면 그 형제를 우선적으로 돌보도록 하였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수도규칙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형제들 가운데 누가 병이 나면 다른 형제들은 남이 자기 자신을 돌보아 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그에게 봉사해야 합니다.”

그리고 프란치스코는 권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웃 안에 있는 연약함을 보고, 비슷한 경우에 처해 있을 때 그 이웃으로부터 부축받기를 원하는 것처럼 그 이웃을 부축해 주는 사람은 복됩니다.” 이어 온갖 좋은 것을 주 하느님께 돌려드리는 종은 복됩니다.” 프란치스코에게 돌려드림은 하느님께로 향하는 중요한 단어이었습니다. 그는 주로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모든 것을 통해 하느님께 모든 것을 돌려드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연장선 속에서 생각해본다면, 이웃의 연약함 속에서 이웃을 경멸하지 않고, 자기가 그 상황에 있을 때 돌봄을 받기를 원하는 식으로 그에게 해주는 것, 이것이 하느님께 모든 것을 돌려드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마 이 가운데에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 자기 사랑이 사랑이신 하느님 안에서 하나로 엮어지며 하느님이 일어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부활은 역설의 행복 부활은 역설의 행복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내어주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넘치게 된다. 혼자만 먹으면 맛이 없다. 혼자만 가지려 하면 기쁨이 줄어든다. 혼자... 이마르첼리노M 2023.04.17 207
61 하느님의 자기 계시 하느님의 자기 계시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6,48) 나는 세상의 빛이다. (요한 8,12) 나는 양이 드나드는 문이다. (요한 10,7) 나는 착한 목자다, (요한 10... 이마르첼리노M 2023.04.29 206
60 17. 충실함은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17. 충실함을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때때로 우리는 세상의 모든 고통을 볼 때 화가 난다. 또 다른 때에는, 우리를 화나게 하는 ... 김상욱요셉 2023.11.22 200
59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 됩니다.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됩니다.   가난을 내려가는 일과 내려놓는 일로, 겸손을 허용하는 일과 놓아주는 일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내가 객... 이마르첼리노M 2023.11.07 200
58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우상에 빠진 인간 (틀을 만드는 사람은 틀로 망한다.)   하느님은 인간이 만든 틀 속에 계시지 않는다. 틀에 묶여있는 사람과 틀을 벗어난 사람의 차이는 자유의... 이마르첼리노M 2024.06.03 198
57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198
56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 저는 당신을 이렇게 불렀습니다. 창조되지 않고 모양도 없는 존재의 신비로 존재하시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07 195
55 인식의 재 인식 인식의 재인식   산다미아노 성당의 십자가 앞에서 드린 성프란치스코의 기도는 우리 믿음의 기초를 든든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올바른 신앙, 확고한 희... 이마르첼리노M 2023.06.20 195
54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4.04.20 193
53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는 육화의 신비는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의 신비입니다. 예수는 인... 이마르첼리노M 2023.12.18 190
52 수도원 카페 이야기_1,"엄마의 오늘의 단상" 글을 쓰면서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의 깊이를 더하려는 이가 있습니다. 제가 그분 대신 그분의 글을 공유하려 합니다. 우리는 글을 쓰면서 자기를 이해하고 자기를... 김상욱요셉 2023.11.24 189
51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184
50 여기가 어딘가요? 여기가 어딘가요?   꿈들이 만나 봉오리를 내밀었지 저녁 바닷길을 걸으며 단순한 기쁨 한 송이 꿈에 동참하는 또 한 송이 꿈의 연대가 만드는 우리의 운명 미래... 이마르첼리노M 2023.09.16 182
49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에게서 나오는 자비와 선은 자신을 내어주는 존재 방식입니다. 나는 내... 이마르첼리노M 2023.09.29 181
48 찬미받으소서 회칙과 요한복음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우리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종교적 관점이든 아니든, 카톨릭의 관점이든 불교의 관점이든 우리... 김명겸요한 2023.05.26 181
Board Pagination ‹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