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18. 매일 어떤 침묵을 음미하기

내가 했던 가장 감사했던 여행 중의 하나는 (특히 회복에 대해 말한다면) 남아프리카로 갔던 여행이다. 이 여행 중에 가장 즐거웠던 순간 중 하나는 요하네스버그와 케이프타운 발표 사이에 휴식 기간 동안 크루거 네셔녈 파크(Kruger National Park) 가장자리에 자리한 사비 샌즈(Sabi Sands) 안에서 짧은 사파리 여행을 했을 때였다. 나와 아내는 아침에 다른 이들과 함께 덮개가 없는 레이저 로버 차량을 타고 3시간 동안 야생동물 보호구역 수천 에이커를 여행했다.

그 당시 겨울이었고 꽤 선선해서 우리는 손을 따뜻하게 할 뜨거운 물병과 함께 담요로 몸을 감쌌다. 여행 시작 부분에서 우리는 꽤 빠른 속도로 달렸는데, 나는 몇 그루 나무 위에 있는 기린들의 머리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나를 둘러싼듯한 고요에 나는 경이로움을 느꼈고, 먼 곳에서 뛰어다니는 날렵한 스프링-복스(작은 영양) 무리에 조용히 미소를 지었다. 비록 우리의 여행 목적은 사자, 코끼리, 아프리카 물소, 코뿔소, 하마 등을 보는 것이었는데,(우리는 그렇게 했음) 이 이른 아침 순간은 지구를 반 바퀴 돌만큼 가치가 있었다. 고요함이라고 느껴지는 무엇이 있었고 사람의 숨을 죽이게 하는 고요한 바람에 에워싸인 듯한 느낌이 있었다.

작가이며 문학 비평가인 도리스 그럼바흐는 자신의 책 Fifty Days of Solitude에서 그의 경험에 대해 적었는데, 이것은 내가 고독의 가치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왔다.

침묵과 고독에 대한 하나의 보상은 있다. 다른 목소리의 부재는 내면의 목소리에 더 열중해서 듣도록 했다. 그전에 자주 내면 목소리는 내가 생각하기에 다른 이가 듣기를 원하는 것과 내가 생각하기에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것에 의해 억제되거나 과장되었는데, 이제 내면의 목소리는 기쁘게 더 크게 그리고 중단됨 없이 목소리를 낸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내가 의도했던 것은 거기에 있던 무엇을, 하나의 신선한 통찰이라는 보물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그럼바흐는 많은 이가 꽤 긴 기간 홀로 고요히 있을 때 경험하는 의심과 주저함에 대해서도 사실적이다. 그는 책에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루소는 현대인에 대해 상당히 옳게 보았다. 우리가 참고하는 관점은 항상 우리 이웃들인데, 시골이나 도시에 사는 이들, 학교나 취미나 직장에서 아는 지인들, 우리의 가까운 혹은 먼 친구들, 이들 모두는 우리가 누구인지 수많은 말을 우리에게 한다. 아주 드물게 우리는 자신에 대해 알기 위해 내면 바라보기를 생각한다. 우리는 두려하는가? 어쩌면 우리는 거기에서 아무 것도 발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강요된 고독도 열매를 맺을 수 있는데, 만약 우리가 점진적으로 우리 자신을 고독에 열어젖히고, 그런 상황에서도 고요를 우리가 경험한다면 말이다. 영국에서 감옥살이를 한 이가 사람들을 놀라게 했는데, 그는 석방되었을 때 빼앗긴 20년에 대해 대수롭지 않다는 식의 말을 했다. 그리고 그는 계속 나눔을 이어갔다. 그는 석방될 때 감옥에 대해 어떤 것도 그리워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그는 수감 중에 했던 많은 독서와 묵상을 그리워하였다. 그런 경험들은 그에게 평화를 가져다 주었는데, 그 평화를 그는 지금 살고 있는 시끄럽고 바쁜 세상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없었다.

우리는 영적 양성을 성장시키는 내면 워크샵을 시작할 때, 침묵과 고독은 자기들을 위해 세운 기도 규칙의 일부이다. 우리는 고요히 앉아, 부드럽게 우리 마음을 깨끗이 하고, 이콘이나 영감을 주는 무언가를 바라보고, “예수님이나 부드러움혹은 우리에게 깊은 의미를 가지는 마음을 모으게 하는 단어를 사용하기 위해 하루 중의 어떤 시간을(짧은 시간일지라도) 가지려 한다.

이렇게 하며 우리는 고정된 기간을 정해야 하는데, 그렇게 함으로 일상사가 우리를 중심으로 향하게 하고 하느님과 자기에게도 이끄는 본질적인 주기들을 쓸어버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우리는 홀로 있는 시간(우리가 그룹 안에 있을 때에도 침묵과 자기 안의 시간) 부스러기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스러기 시간은 정오 무렵 짧은 산보일 수 있고, 사무실이나 주방에서 커피나 차를 한 모금 마시는 시간일 수 있고, 집으로 차를 몰고 오는 때일 수 있다. 그 가능성은 무한한데, 우리가 구할 수 있는 장소들은 도서관, 교회들, 작은 도시 공원, 근처의 산림보호 지역, 혹은 조깅 코스 등이다. 우리가 삶에서 어떤 침묵을 음미할 가치 시스템을 지닌다면, 홀로 있는 부스러기 시간은 우리를 성장시킬 수 있다. 다만 우리는 그 시간들을 찾고 누려야 한다.

 

첨언)

하루 중에 해가 뜨기 전과 해가 질 무렵 자연은 우리에게 고요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도심 가운데에서도, 저 너머로 산자락과 나무들 그리고 집들 가운데 내려앉는 고요가 있습니다. 이 고요는 우리에게 하느님 집에 대한 그리움과 좋음을 일으킵니다. 그리고 이 고요는 우리의 일상이 하느님 집으로 향하는 여정, 우리 자신이 하느님을 모시는 집이 되도록 초대하고 이끌고 있습니다. 밀레의 만종은 가난한 농부들이 자연의 리듬에 맞추어 자기들의 마음에 하느님을 모실 때 하느님이 고요가 그들 가운데 내려오심을 말하고 있습니다. 밀레의 만종에는 하느님의 고요와 자연의 고요와 가난한 이의 고요가 하나로 피어나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회개생활을 하면서 하느님 고요에 맛을 배우고 그 맛의 초대에 응답하며 하느님을 고요 가운데에 만나는 여정을 걸었습니다. 그는 고요가 자리하는 곳을 찾아 기도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가 여정 중에 있거나 형제들과 함께 있을 때에도, 고요가 찾아오면 후드를 쓰고 그 고요의 리듬에 자기 리듬을 맞추어 갔습니다. 그러했기에 일상사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들을 무시하지도 않고 또한 그 갈등의 리듬에 자기를 맞추어 요동치지 않았습니다. 프란치스코는 그 갈등 가운데에서도 하느님의 리듬을 찾았고 그 리듬에 호흡을 맞추었고, 그에 따라 하느님의 평화가 그와 주변에 낳음을 받도록 허용하였습니다.

고요와 묵상이 있는 곳에, 걱정도 방황도 없습니다.”(권고 27 악습을 몰아내는 덕 중에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3 초대 초대   나무들이 웃는다 연초록 바다에서 싱싱하고 해맑은 미소로   안에서 밀어 올리는 기쁨 너를 받아들이고 마음을 열게 하는 아버지의 친절한 눈빛과 미소   ... 이마르첼리노M 2023.04.28 166
1452 찬미받으소서 회칙과 요한복음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우리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종교적 관점이든 아니든, 카톨릭의 관점이든 불교의 관점이든 우리... 김명겸요한 2023.05.26 177
1451 성탄과 공현의 신비는 관계의 상호성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선입니다. 성탄과 공현의 신비는 관계의 상호성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선입니다.   인간은 나약함에도 완전히 자기중심적 사고를 지니고 살아갑니다. 이것이 자만심을 부추... 이마르첼리노M 2024.01.04 177
1450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에게서 나오는 자비와 선은 자신을 내어주는 존재 방식입니다. 나는 내... 이마르첼리노M 2023.09.29 178
1449 여기가 어딘가요? 여기가 어딘가요?   꿈들이 만나 봉오리를 내밀었지 저녁 바닷길을 걸으며 단순한 기쁨 한 송이 꿈에 동참하는 또 한 송이 꿈의 연대가 만드는 우리의 운명 미래... 이마르첼리노M 2023.09.16 179
1448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181
1447 수도원 카페 이야기_1,"엄마의 오늘의 단상" 글을 쓰면서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의 깊이를 더하려는 이가 있습니다. 제가 그분 대신 그분의 글을 공유하려 합니다. 우리는 글을 쓰면서 자기를 이해하고 자기를... 김상욱요셉 2023.11.24 188
1446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을 담을 수 없는 몸은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인의 몸과 같습니다.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는 육화의 신비는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의 신비입니다. 예수는 인... 이마르첼리노M 2023.12.18 188
1445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의 샘에서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     삼위일체 하느님! 저는 당신을 이렇게 불렀습니다. 창조되지 않고 모양도 없는 존재의 신비로 존재하시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07 190
1444 인식의 재 인식 인식의 재인식   산다미아노 성당의 십자가 앞에서 드린 성프란치스코의 기도는 우리 믿음의 기초를 든든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그는 “올바른 신앙, 확고한 희... 이마르첼리노M 2023.06.20 191
1443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은 사랑으로 드러난 태도의 변화     믿음의 활력은 사랑입니다. 인간이 개인적인 노력에 따라 구원받는다는 영지주의와 근본주의자들은 이원론으로부터 영... 이마르첼리노M 2024.02.21 192
1442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생명의 빵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하느님의 생명을 인간에게 주시는 무상성과 보편성의 잔치가 성체성사를 통해 양식과 음료로 주... 이마르첼리노M 2024.04.20 192
1441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 됩니다.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됩니다.   가난을 내려가는 일과 내려놓는 일로, 겸손을 허용하는 일과 놓아주는 일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내가 객... 이마르첼리노M 2023.11.07 195
1440 17. 충실함은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17. 충실함을 공부하고.. 그 나머지는 하느님께서 돌보시도록 맡기기 때때로 우리는 세상의 모든 고통을 볼 때 화가 난다. 또 다른 때에는, 우리를 화나게 하는 ... 김상욱요셉 2023.11.22 199
1439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문이며 목자이시며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의 부재,   아버지를 잃어버린 사람들, 우리의 믿음에서 하느님이 아버지로서의 하느님보다 위협적이고 벌을 주시는 하느... 이마르첼리노M 2023.04.30 20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