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25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통해서 또 한 가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일치적인 관계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한 그루만을 보았을 때에는 하나의 모습이다. 그러나 서로 서로 성분이 다른 바람과 나무와 땅이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그렇게 서로가 다르지만 서로에게 되어줌을 통해서 하나의 모습으로 보여 질 수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지를 못한다면 따로따로가 된다면 하나의 모습으로 나오지 못할 것이다. 흔들리지 않거나 아니면 나무가 쓰러지거나 혹은 가지가 부러지거나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든다면 하느님께서도 한분이시지만, 성부와 성자와 성령 세 위격이 계시고,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역할을 함으로써 일치를 이루고 하나가 되어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이 되는 것과 같고, 그래서 하느님은 한분이신 것과 같다.

 

   그래서 우리의 교회도 마찬가지다. 사람은 누구나 다 다르다. 똑같은 사람이 없다. 성격도, 얼굴도, 뭐든지 다르다. 비슷한 사람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같은 사람은 없다. 그러나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의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면만을 강조한다면 그 공동체는 깨어지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각자 맡은 역할을 다 함으로써 교회라고 하는 공동체는 하나를 이루어 나갈 것이다. 이는 마치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과 같은 것이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와도 같은 것이다. 그리고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는 것, 역할을 다한다는 것은, 서로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도 말씀하셨다.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말씀을 제가 이들에게 주고, 이들은 또 그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이들은 제가 아버지에게서 나왔다는 것을 참으로 알고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셨다는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 저는 이들을 위해서 빕니다. 세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이들을 위하여 빕니다. 이들은 아버지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것은 다 아버지의 것이고 아버지의 것은 제 것입니다. 이 사람들을 통하여 제가 영광스럽게 되었습니다. ...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이름으로 이들을 지키시어, 이들도 우리처럼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요한 17,7-11)이처럼 예수님께서도 하느님 아버지와 당신 자신과 제자들과의 관계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받아들임을 통해서 하나 됨을 말씀하고 계시는 것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도 이와 마찬가지로 각각 서로서로가 다르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받아들여줌으로 인해서 하나가 될 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꼭 교회 안에서 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자연의 만물이 그러하다. 나는 초등학교 때 만물이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는 관계 도움이 되어주는 관계 서로의 부족한 것을 채워주는 것을 "공생관계"라고 배웠다. 물론 이것은 곤충이나 동물들하고의 관계에서만 공생관계가 되는 것이 아니라 굳이 넓게 본다면 모든 자연의 만물 중에 안 그런 것이 어디 있겠나? 공기, , , 바다, , 미생물부터 시작해서 식물, 동물, 사람에 이르기까지 그래서 우리는 생명을 생명이라고만 하지 않고 "생명체"라고 한다. 비록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미생물일지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생명체이다. 각기 다른 생명들이 모여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줌으로 인해서 주고 받아들여지고 그렇게 해서 서로가 서로를 살리고 산다. 그래서 생명체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가정도, 사회도, 교회도, 수도회도, 세상도, 공동체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주고받고 하는 공동체이다. 그러나 그것이 깨진다면 서로 지탱할 수가 없을 것이다. 난 살아오면서 가끔씩 꿋꿋이 서 있지 못하고 쓰러져 있는 나무를 가끔 보기도 한다. 뿌리를 내렸지만 땅이 척박해서 기름지지 못해서 말라죽은 나무, 그리고 꿋꿋이 서 있지만 태풍이 불어와 너무 강한 바람 탓에 부러져 죽은 나무, 그리고 땅도 기름지고, 바람도 서늘한 바람이지만 나무 그자체가 약해 말라죽은 나무, 우리는 사소한 것에서 배워야 할 필요도 있다. 물론 학교에서나 신학교에서 명성이 있는 교수님에게서 책을 통해 강의를 통해 배우고 해외 유학 가서 석사 박사 학위를 따서 배우는 것도 당연히 필요로 하지만 말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사소함에서도 많이 배울 수 있다.

   

  그런데 어떠한 방식으로 배우든지 그 배운 것을 행위로서 실천해야 그 빛을 발한다는 것은 시대가 변해도 달라지는 것은 없다. 난 과연 실천하고 있는가? 아니면 글만 쓰고 있는가? 흐릿한 날씨의 오늘 반성하기에 참 좋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Tae-Jeong Pius KimTae-Jeong Pius Kim 2013.05.20 13:27:30
    수사님 가끔 성북동으로 성소모임 함께했었습니다. 이렇게 글을 올리시니 새롭습니다. 이미 한참 됐지만 성대서약을 경축드립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7 방법이 길이다.   방법이 길이다.   추상적 사랑은 가슴 없는 머리 개념은 있으나 만남이 없다.   사랑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이다 구체적 순간에 주님과 사랑에 빠진... 이마르첼리노M 2019.07.24 529
596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주제넘은 앎은 지식으로 시작한다. 하느님은 지식의 대상이 아닐뿐더러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하신다.   우리가... 이마르첼리노M 2019.07.26 490
595 악마의 편 가르기 악마의 편 가르기   도덕적 우위에 올라서서 천사의 탈을 쓴 악마들이 편싸움을 시작했다.   통제의 목적과 수단을 감추고 죄책감이 제거된 신성시된 폭... 이마르첼리노M 2019.07.28 534
594 중간고사 중간고사   대립과 모순의 극복은 최대의 과제다 악에 대한 문제를 풀기 위해 나는 내 인생에서 중간고사를 본다.   고난 겪으시며 겸손하신 사랑의 하느... 1 이마르첼리노M 2019.07.30 543
593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지금부터 시작하는 미래   악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의 순간마다 선을 선택하는 일이며 힘을 사용하려는 유혹에 힘을 포기하는 선택이다. 예수께서 마지... 이마르첼리노M 2019.07.31 479
592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무엇에 죽어야 하는가?   십자가에 달려 죽어야만 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 좋은 사람이라고 여기는 거짓된 나이다.   그것 없이는 도저히 살 수 ... 이마르첼리노M 2019.08.01 497
591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사람에 대한 존중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있지 않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데 있다. 자신이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08.03 655
590 십자가의 시나리오 십자가의 시나리오   나 살고 너 죽고 – 폭력으로 구원 – 승패 이판사판 너 죽고 나 죽자 – 폭력에 대해 폭력으로 응답 – 패 패 너도 살고 나도 산다. - 선... 1 이마르첼리노M 2019.08.04 514
589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내가 가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분은 나의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8.08 586
588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만남이다. 너와 나 사이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 그 하느님은 만남의 구체적 현실이다. 그...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0 504
587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변화의 선물은 자격이 있는 자들이 받는 것이 아니다. 다만 씨가 떨어지는 세 종류의 땅에서 자신을 발견한 사람 곧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08.11 514
586 만찬의 신비 속에서 만찬의 신비 속에서   예수님이 사랑하는 연인들에게 남긴 정표 “이 예를 행할 때마다 나를 기억해라”   먹고 마시는 것은 언제나 생명과 연결되어 있다. ... 이마르첼리노M 2019.08.13 518
585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언제나 과거 속에 머문다. 지배문화의 상벌체계 속에 안주하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의 수고를 통해...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8 489
584 반달이 보름달이 되기까지 반달이 보름달이 되기까지   머리 없는 가슴 가슴 없는 머리   영적인 것은 언제나 인간적이다. 영적인 삶은 결코, 분리된 적이 없다. 평범한 사람들은 ... 이마르첼리노M 2019.08.20 531
583 답을 찾는 세상에서 찾은 답을 지우기 답을 찾는 세상에서 찾은 답을 지우기   하느님의 초대는 우리의 선택에 자유를 부여하신다. 삼위일체의 하느님의 위격적 사랑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셨지 명... 1 이마르첼리노M 2019.08.21 500
Board Pagination ‹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