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3.05.16 10:39

나의 진정한 행복은?

조회 수 521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스코투스는 미, 아름다움을 통해 덕을 향하는 삶을 제시한다. 스코투스는 우리에게는 두가지 성향이 있다고 말한다. 나의 행복을 향하는 끌림과 올바름을 향하는 끌림. 올바름을 향하는 끌림은 우리 안에 내재하는 사랑을 소중하게 여기고 실천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나의 행복을 향하는 끌림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 나에게 기쁨을 주는 것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스코투스는 이 둘 중 하나를 무시하지 않고 이 둘 가운데에 조화를 이룰 때, 우리는 아름다운 삶, 행복한 삶, 의미있는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나의 행복 추구와 올바름 추구 사이에 조화의 길은 있는가? 이 둘은 표면적으로 반대적인 것을 말하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경우, 나는 나에게 요구되어지는 것을 무시하거나 외면한다. 그 예로, 내가 좋아하는 게임을 할 경우 나는 공부를 하지 않거나 부모님을 돕지 않는다. 반대로, 내가 요구되어지는 바를 할 때, 나는 나의 욕구를 포기하거나 억누른다. 우리가 자동차를 몰 때, 우리는 내가 달리고 싶은 대로 달리지 않고 정해진 속도를 지키고 신호를 지킨다. 표면적으로, 나의 행복 추구와 올바름 추구는 반대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둘은 깊은 차원에서 결코 반대적이지 않다. 우리가 아름다운 삶을 살았다라고 생각하는 이들에게는 이 둘이 조화를 이룬다. 이 조화가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한지를 프란치스코의 삶을 통해 알아보자.


  프란치스코는 회개 전에도 자선을 베푸는 것을 좋아했었다. 가난한 이들이 아버지의 가게를 찾아왔을 때, 그는 그들을 돕는 것에 주저하지 않았다. 하루는, 그가 바빠 하느님의 사랑으로 애긍을 청하는 이를 그냥 돌려보냈을 때, 곧 그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그를 찾아가 그를 돕고, 다시는 그렇게 하지 않으리라 결심하였다.(익명 4; 세동료 30) 프란치스코가 회개 중에 있을 때, 그는 자선을 베푸는 것에서 더 큰 기쁨을 얻는다.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포기하고 아시시로 돌아왔들 때, 그는 "가난한 이들을 보거나 가난한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그의 마음은 애긍을 베풀 태세로 부풀어 있었다." (세동료 9) 프란치스코가 로마 순례를 했을 때에는, 거지와 옷을 바꾸어 있고 성 베드로 성당의 계단에서 구걸도 하기도 하였다.(세동료 10; 2첼라노 8) 이러한 일련의 삶이 계기가 되어 그와 나병환자와의 만남이 이루어 진다.


  프란치스코는 나병환자를 보는 것을 매우 싫어했었다. 그런데, 그런 그가 나병환자를 만났을 때 그는 자선을 베풀고 손에 친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는 유언에서 이렇게 말한다. "주님 친히 나를 그들에게 데리고 가셨고 나는 그들 가운데서 자비를 베풀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그들한테서 떠나올 때에는 역겨웠던 바로 그것이 내게 있어 몸과 마음의 단맛으로 변했습니다." (유언 2-3) 프란치스코는 하기 싫은 일, 올바름을 추구하면서, 그 안에서 감미로움, 행복을 맛보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얻던 행복보다 더 깊은 행복을 다른 이를 사랑하면서 얻은 것이다. 이 행복이 프란치스코가 계속 덕들을 추구하도록 한다.


  프란치스코는 이후 홀로 은수자로서의 삶을 살면서 나환자들이 사는 곳에 가서 나환자들을 돕곤 하였다. 그리고 베르나르도 형제가 그를 찾아왔을 때, 베르나르도 형제가 가진 것을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며, 이 삶의 역설을 맛보고 살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후, 작은 형제로 삶을 살고자 하는 형제들에게도 같은 길을 제시한다.


"  네가 완전한 사람이 되려거든 가서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어라. 그러면 하늘에서 보화를 얻게 될 것이다. 그러니 내가 시키는 대로 하고 나서 나를 따라오너라."(1221년 회칙 2)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8 "프란치스코, 가서 나의 집을 고쳐라!" 평화와 선! 이탈리아 성지순례를 다녀온 신자가 기념품으로 사다 준 상본이다. 내가 아씨시의 성... 2 신대건안드레아 2013.09.22 8022
567 가을 아침에 쓰는 편지 가을 아침에 쓰는 편지 그대는 이제 나에게 있어 가까운 벗들을 함께 부르는 대명사가 된듯합니다. 지금은 내 인생의 가을 쯤 인가요? 아직도 못 다한 말들이 내 ... 이마르첼리노M 2013.09.22 5837
566 강도당한 사람의 이웃이 되어주기 평화와 선! 거두절미하고 올립니다. 강도당한 사람 곁을 그냥 지나쳤던 레위인 사제가 예수님의 길과는 다르지요? 사마리아 사람만이 그 사람의 이웃이 되... 유프란치스코 2013.09.08 4657
565 안식일의 주인은? 콜버그라는 심리학자는 사람들을 관찰하면서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하였습니다. 그는 단순히 사람들이 얼마만큼 규칙과 법을 잘 지키... 김상욱요셉 2013.09.07 4903
564 존재의 마지막 친구에게 존재의 마지막 친구에게 초가을 밤 가을 편지를 씁니다. 존재의 마지막 친구여! 공감이 물여울을 타고 흐르고 서로 전도되는 감관을 가진 그대와 맥과 호흡을 함... 이마르첼리노M 2013.09.04 5006
563 메아리가 없는 메아리 2 +그리스도의 평화       우리는 산을 바라보고   좋은 경치를 보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그것보다도 우리가 등... 일어나는불꽃 2013.09.03 4541
562 명칭 유감   가평 꽃동네에서 년피정을 한 후, 인근에 있는 성공회 프란치스칸 공동체를 다녀왔다 그 공동체의 창설 20주년이었고 공교롭게 즈음해서 성공회 프란치스칸... 이종한요한 2013.08.25 5538
561 메아리가 없는 메아리 1 +그리스도의 평화     산이라고 하는 곳에는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준다.   예나 지금이나 구약이나 신약에서도 마찬가지다.   산은 우리가 배워야 ... 일어나는불꽃 2013.08.11 5741
560 고통의 찬미가 +그리스도의 평화       인간에게 있어서 고통이라고 하는것은   피할래야 피할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이 인간의 고통에 대해서... 일어나는불꽃 2013.07.23 5036
559 감사드립니다. 오늘로써 저의 어머니 장례 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장례 일정은 모두 끝냈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은 남았지요.   그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첫째... 김레오나르도 2013.07.18 5042
558 가난과일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평화    가난과 일은 어떻게 본다면   전혀 다른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깊이 있게 생각해 본다면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2 김기환베드로M. 2013.07.12 4890
557 김 요셉(상욱) 형제의 글에 대한 소견 (이요한 종한) 김 요셉(상욱) 형제가 빅터 프랭클 박사의 의미요법과 프란치스코가 말하는 순종의 세 형태를 비긴데 대한 소견이다. 빅터 프랭클 박사(1905- 1984)는 유대... 이종한요한 2013.07.11 5736
556 빅터 프랭크의 의미로 프란치스코의 순종을 읽어봄   빅터 프랭클이라는 심리학자가 있다. 그는 유대인으로 죽음의 수용소를 경험하고 삶의 의미, 삶의 가치를 찾고 추구하였다. 그는 우리가 만나는 삶의 가치, 삶... 김상욱요셉 2013.07.08 5513
555 6월의기억** 우산을 씌어 주셨던 김수환 추기경님 1980년대중반   그무렵 명동성당에서는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신부님들과  김수환 추기경님의 시국미사가 자주 봉헌되었다. 그 미사에 참예 하려고 수많은... knitting 2013.06.28 5327
554 마므레 참 나무 곁에서(창세기 18,1-8) +그리스도의 평화         주님의 세천사는 마므레의 참나무 곁에(창세기 18,1) 있다가   아브라함이 그것을 보고서는 마치   종이 주인을 섬기듯한 ... 김기환베드로M. 2013.06.28 5407
Board Pagination ‹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