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71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통해서 바라볼 수 있는 다른 하나는 바로 성령이신 하느님이시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

 

무를 통해서 성령이신 하느님을 묵상하게 된다. 사실 한 그루의 나무가 바람에 흔들릴 수가 있기 위해서는 생명의

 

 근원인 땅에서게서 깊이 뿌리를 박아야 하는 것이고, 그렇게 깊이 땅에 뿌리를 박고 굳건히 서 있을 때 바람은 나

 

무를 흔들어 준다. 근데 그 나무가 땅에 깊이 뿌리를 박지 않고 서 있다면?? 바로 바람에 넘어지고 말 것이다. 하느

 

님께에 대한 깊은 믿음과 희망과 사랑.. 우리의 의지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무조건 성령

 

께서 이끌어 주시지는 않는다. 우리의 협조가 필요하다.

 

 

 

  하느님께서 성령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의지와 노력으로 하느님께 일치를 위한 협조가 필요로 하는 것이다.

 

약 인간의 협조 없이 모두다 성령을 받고, 감화되어 살아간다면 이 세상에 가톨릭에서 세례받은 모든이는 나쁜사

 

람도 없고, 악한사람도 없고, 죄 지은 사람도 없을 것이다. 2000년 역사상 말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협조

 

가 필요하다. 우리의 지성과 이성으로 마음으로 의지와 노력으로 하느님과의 약속이 필요하고, 협조가 필요한 것

 

이다. 마치 나무가 땅에 깊이 뿌리를 박고, 서 있어서 바람에 흔들리는 것처럼 말이다.

 

 

 

   사도행전에서 사도들과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있을 때에 "하늘에서 거센 바람이 부는 듯한 소리가 나더니 온

 

집안을 가득 채웠다".(사도 2장1-2) 하늘에서 성령의 바람이 불어왔고 사도들과 한자리에 모여있던 이들에게 성령

 

의 바람이 불어왔었지만 이들이 성령을 받았던 이유는 하느님께에 대한 깊은 믿음과 신앙의 뿌리가 하느님께 내

 

렸기 때문이었다. 만약 신앙과 믿음에 대한 깊은 뿌리가 내리지 않았더라면 성령을 받지 못했을 수도 있었다. 예수

 

님께서도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나를 사랑하면 내 말을 지킬 것이다. 그러면 내 아버지께서 그를 사랑하시고, 우

 

리가 그에게 가서 그와 함께 살 것이다" 

 

 

 

   바람은 언제나 항상 불어오고 있다. 그리고 그 바람에 수많은 나무들은 흔들리고 있다. 바람이 불어오고 그 나무

 

가 흔들리는 것은 나무의 의지가 아니다. 자연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자연의 섭리가 그렇게 하고 더 나아가서 하

 

느님께서 흔들리게 하는 것이다. 더 많은 씨앗들을 퍼뜨리고 움직여 줌으로써 해서 더 건강하고 더 잘자라가게 해

 

주기 위함이다. 정작 그 나무에게서 필요한것은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는 것이다. 자신의 키워주고 자라게 해준 땅

 

에게서 깊이 뿌리를 내리는 것이다. 세상에 수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하느님을 믿고 있다고 하면서 역경이나 환난

 

이 닥칠 때 삶에 힘겨움이 드리울 때 너무나도 쉽게 쓰러지고 만다. 이성으로 머리로써 믿음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것과 마음으로 믿으서 삶을 살아가는것과는 다르다. 우리는 우리의 믿음의 뿌리가 어디까지 어떻게 뿌리내리고

 

있는지 살펴 보아야 할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7 만추의 하늘 아래 만추의 하늘 아래   가을은 사과처럼 빨갛다. 노란 은행잎 주홍의 벚나무와 느티나무 메타쉐콰이어 가로수 길 먼 산의 낙엽송 산골에 피어오르는 파르... 이마르첼리노M 2019.11.16 534
976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아름다운 말에는 꽃이 핍니다. 부드럽고 다정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순수하고 단순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가시 돋친... 이마르첼리노M 2019.11.14 646
975 과정의 진리 과정의 진리   인생의 후반기 삶에는 다 이상 영웅이 될 필요가 없고 참다운 자신이 될 필요만 있게 된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지배하려는 나의 독재성과... 이마르첼리노M 2019.11.12 571
974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개별 정체성이 허용되는 시대에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느끼는가? 특별한 존재 열등한 존재 우월한 ... 이마르첼리노M 2019.11.07 529
973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내 존재의 땅 내가 서 있을 수 있는 존재의 토대는 예수께서 아버지의 삶에 참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참여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11.06 435
972 밤의 끄트머리에서 밤의 끄트머리에서   하느님의 지혜는 무뎌진 양심 무뎌진 정신 무뎌진 감수성을 날카롭게 한다.   고통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잠자는 지혜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9.11.05 466
971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사랑과 안정의 토대를 주는 가족 그 안정을 넘어설 때 하느님과의 연결을 찾는다. 그러나 안정을 주지도 않고 하느님과의 연결도 ... 이마르첼리노M 2019.11.04 447
970 가을 밤 가을 밤   아프고 싶고 슬프고 싶고 고독하고 싶다.   고통에서 발견하는 眞 고독에서 발견하는 善 슬픔에서 발견하는 美 이마르첼리노M 2019.11.02 477
969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이기는 방법은 악이 아니라 선이다. 일상의 여러 관계 안에서 단순히 더 나은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악을 악으로 공격하면 둘... 1 이마르첼리노M 2019.10.31 465
968 복된 죄인들 복된 죄인들   우리는 죄인들이다. 절망과 어둠으로 향하는 죄인들이 아니라 죄에서 구원되리라는 희망을 지닌 죄인들이다. 하느님의 자비 아래에 있는... 이마르첼리노M 2019.10.28 447
967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 1 이마르첼리노M 2019.10.25 410
966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기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율법은 자비로운 용서가 없기 때문이다. 용서는 과거로 돌아가 상처받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19.10.19 413
965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진심은 그 지향이 무엇이건 아름답다. 진심을 키우는 이들, 이를 지키고 어려움 중에도 옹호하는 이들, 충실하며 속이 실한 단합... 이마르첼리노M 2019.10.14 405
964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계곡의 깊이를 앎으로써 산의 높이를 알 수 있듯이 혼자서 감당하는 좌절과 실의를 앎으로써 여러 사람의 추위를 헤아리게 된... 이마르첼리노M 2019.10.12 386
963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들판이 빛난다. 막 잠을 깬 창공, 폭포처럼 쏟아내는 빛줄기, 구름 사이로 세수한 얼굴 내밀며 황금빛 잔칫상... 이마르첼리노M 2019.10.10 407
Board Pagination ‹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