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사이에 관계성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립니다. 자만심이 무성한 땅에는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속에서 자아도취와 우월감만 자랄 뿐입니다.


하느님의 에너지는 인간의 노력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염되는 것입니다. 자신의 표현과 에너지가 죽어 있으면 가르침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선이 흐르는 곳에서 기쁨이 발생하고 기쁨이 있는 곳에 자유가 있으며 기쁨에 찬 가난은 자유 안에서 가장 강렬하게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선은 그렇게 자발적이며 확산하는 신비로 드러납니다.

 

믿음과 신앙의 영적 여정에는 계산하는 법이 없습니다. 계산을 하는 것은 아직 자기중심적 울타리에 갇혀 있는 것입니다. 계산을 멈추는 것은 하느님 사랑에 연결되어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받은 사랑에 응답하는 사람 또한 계산하지 않습니다. 은총의 질서에는 계산하지 않는 하느님이 계십니다. 그분께서는 오직 주시기만 하십니다. 무상으로 내어 주시는 자비 안에서 생명을 얻고 살아가는 이들은 정말로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내가 누구인가에 마음을 집중하면서 기쁨으로 자신을 내어 줍니다. 다시 말해 도구적 존재로 살아가는 이에게는 주님의 영과 그영의 활동이 나를 통해서 관계 안에 흐르게 하는 일이 전부라는 말입니다.

 

우리가 객관적으로 하느님의 자녀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이미 고향에 돌아온 것이며 우리가 받을 상속은 이미 시간에 앞서서 주어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꼭대기를 차지하려는 마음과 입증하고 방어하는 대신에 삶을 향유 할 수 있습니다.

 

진리는 믿음 안에 자리 잡습니다. 하느님을 아는 명료함 안에서 개별성의 관점에서 보면 더 이상 하찮은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모든 것이 은총이라는 사실에 직면합니다. 천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통해 보물을 발견하는 믿음만이 중요합니다. 하느님의 창조가 태초부터 만물을 성스러운 것과 속된 것의 구분이 없는 은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입니다.

 

사랑만이 사랑을 알아봅니다. 선의 흐름에 자신을 내어놓는 믿음은 신앙에 대해 말하기 전에 신앙을 관계 안에 정착시킵니다. 관계는 신앙이 태어나고 자라고 열매를 맺는 땅이며 하느님의 현존을 거기서 발견합니다. 그러므로 관계가 단절되면 고립되어 외롭고, 사람에 대한 존중과 자유를 허용하지 않으며 오로지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폭력으로 억압하면서도 그것이 하느님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무지하고 무능하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인간의 탐욕과 자만심이 만든 왕국, 그 안에서 모든 관계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려는 야심만이 남아 하느님의 창조 질서를 어지럽힐 뿐입니다.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에서 해방과 자유를 얻는 길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배웁니다. 꼭대기가 바닥이 되고 바닥이 구원을 얻게 해 주는 역설의 하느님 나라가 육화의 도구로 살아가는 이들을 통해 실현되는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9 박근혜 게이트 앞에서 - 박근혜 게이트 앞에서 -              1   보수주의 욕망의 극치 부패의 극치 비리의 극치로구나   부정의 기와 거짓의 기와 ... 1 고파울로 2016.11.08 1219
738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26 화요일) &lt;2016 포르치운쿨라 행진 이야기 5&gt; 행진참여자: 29명 행진구간: 순창 동계~ 남원 상귀마을 오늘도 5시 출발. 움직이기 적당한 시간 같다. 강을 따라 자전거 도로... 1 김레오나르도 2016.07.27 1221
737 ★ 2018 포르치운쿨라 도보순례 전날 ★ ★2018 포르치운쿨라 도보순례 전날★ 여러분! 많이 기다리셨지요? 등록작업 사정이 좋지 않아 이제사 순례소식을 보내드려 많이 죄송합니다ㆍ 오히려 40도의 불... file 김레오나르도 2018.07.26 1223
736 땅이 하늘을 품고 있다. 땅이 하늘을 품고 있다.   불을 끈다 칠흑의 어둠 속에 줄줄이 솟아나는 말들을 기도로 불살라서 주님께 바친다.   말은 침묵 속에 잦아들고 묵언 ... 이마르첼리노M 2014.12.28 1224
735 먼 데서 오는 새벽 - 송년의 시간에 먼 데서 오는 새벽 - 송년의 시간에   한 해의 끝자락에 서 있다. 밤의 끄트머리에서 순결한 새해가 팔을 벌리고 있다.   어둠이 내려앉은 세상 격... 이마르첼리노M 2014.12.31 1232
734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 되다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 되다   하느님 나라 더불어 누리는 참된 행복   빛이 되는 길 소금이 되는 길 복음 선포의 길   깨끗한 마음으로 기초... 이마르첼리노M 2015.01.05 1234
733 촛불 앞에서    촛불 앞에서 밤기도 텅빈 성당의 제대 위에 외로운 촛불하나 작은 태양되어 나를 비춘다   빛과 열 그건 생명이다   빛과의 만남 빛과... 이마르첼리노M 2015.09.03 1236
732 기쁨의 샘 기쁨의 샘   공복의 기쁨 가난이 주는 기쁨 어느 것도 내 것으로 하지 않는 기쁨 돌려드리는 기쁨   보상을 바라지 않는 기쁨 선의 흔적을 지우는... 이마르첼리노M 2017.10.13 1238
731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프란치스코 교종은 지난 1월 12일 숙소인 산타 마르타의 집 미사 강론을 통해 기도는 자비를 잊어버린 굳은 마음을 부... 이종한요한 2016.01.15 1243
730 흔적 없는 흔적 흔적 없는 흔적     실패와 결핍은 생명과 사랑의 안내자 부활의 증인되어 실수에 대한 자비로 서로를 채운다.   긍정하는 기쁨은 창조의 도구... 이마르첼리노M 2017.08.14 1257
729 그리움은 사랑을 낳고 (겨울밤의 회상노트) 그리움은 사랑을 낳고 (겨울밤의 회상노트)   1 새날을 알리는 안개 같은 여명 섣달그믐을 사흘 남겨둔 밤 자정을 넘긴 시간에 책상 위에 놓인 십자고... 이마르첼리노M 2016.02.05 1261
728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사랑이 머물다간 자리 새벽의 첫 시간 재단 위에 어둠을 밝히는 가장 외로운 촛불 하나 마지막까지 남아있을 빛으로 누구도 빼앗지 못할 진실로 불탑니다. 서로... 1 이마르첼리노M 2015.02.06 1265
727 ★ 2018 포르치운쿨라 행진을 시작하며 바치는 기도 ★ 포르치운쿨라 행진을 시작하며 바치는 기도 주님, 이집트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길을 나선 것처럼 일상생활의 습성에 노예처럼 길들여... file 김레오나르도 2018.07.26 1268
726 충족 충족   행복 채워서 얻으려다 얻지 못하는 것   공허 채울수록 커지는 것   풍요 비울수록 채워지는 것   희망 절망에서 출발해야 얻는... 이마르첼리노M 2016.01.13 1278
725 역설의 대림절 역설의 대림절   대림절은 기다림의 시기 가톨릭교회는 첫 번째 오신 분의 성탄을 기념하고 두 번째 오실 분의 재림을 기다리는 시기라고 말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14.12.04 1278
Board Pagination ‹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