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난의 사랑이 무엇인가요?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기로 선택했을 때 견딤과 피 흘림을 동시에 경험합니다. 다만 사랑으로 하는 일에는 멍에가 가볍고 짐이 좀 편하고 수월하더라도 내면에서 겪는 고통은 견뎌내기가 쉬운 것은 아닙니다. 내어줌이 거부되기도 하고 분노를 일으키기도 하며, 도무지 협력할 기미도 없고 내어준 마음이 메아리처럼 다시 나에게 돌아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견뎌내는 사랑을 예수님으로부터 배우지 않고서는 견뎌낼 수 없습니다. 나에게는 그러한 에너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견디는 사랑은 오로지 주님의 영과 함께하는 일입니다. 예수께서는 자신이 사랑하는 이들과 더불어 머물러계셨고 그들에게 말을 건네고 음식을 나누셨습니다. 그분은 간음하다 현장에서 붙잡힌 여인의 실수를 눈감아주셨습니다. 그분은 견디고, 용서하고, 자신이 사랑하는 이들이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허락하셨습니다. 무상으로 내어주는 사랑과 보편적 사랑이 있는 곳에는 그러한 현실과 더불어 고통당하는 내면의 현장이 있습니다. 이것이 수난의 가장 깊은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랑에 따라오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겪어낸다는 의미에서 사용하는 견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프란치스코는 예수님의 그러한 사랑에 감탄하였습니다. 그리고 형제들을 위해 자신도 마음에 들지 않는 형제들을 견디면서 살았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부서진 모습을 견뎌내셔서 우리도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을 위해 그와 같은 삶을 살도록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재가 되셨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보면 서로를 죽이고, 서로에게 모욕을 주고, 권력과 특권을 남용하여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다른 존재들과 우리 자신 안에 있는 하느님과 닮은 모상성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완벽한 무능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닮은 인간을 잃어버렸습니다. 우리의 무너진 관계들 안에 있는 현실은 참담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이 나를 견뎌내 주심으로 나는 부서진 마음들을 견뎌낼 희망을 얻게 되었습니다. 견뎌내는 사랑이 있는 곳에 주님의 현존이 있습니다. 견딤의 끝에는 수난과 죽음이 있고 그다음에는 부활의 기쁨이 기다리고 있으리라는 희망입니다.

 

인류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열매를 따 먹은 이후 저지른 무수한 악의 실재 안에서 나도 아낌없이 그 열매를 따 먹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내 마음은 분류하는 것에 익숙해져서 심판하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누가 좋은 사람이고 누가 나쁜 사람이며 누구에게 존경을 보일지 생각해볼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생각하지 않아도 이미 너무나 정확한 인과응보의 잣대와 저울이 마음 안에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무상성과 보편성으로 인류를 돌보시는 하느님을 예수 그리스도와 성프란치스코를 통해 알게 되면서부터 하느님께서는 나에게서 누가 좋은 사람이고 누가 나쁜 사람인지를 고르는 힘을 조금씩 앗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내 안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느님의 무상성과 보편성에는 누구도 예외가 없습니다. 다만 주님의 영과 그 영의 활동을 지니지 못한 사람만이 선과 악의 열매를 계속해서 따 먹고 있는 것입니다.

 

피 흘리고 견뎌내는 마음을 지닌 채 선의 흐름으로 들어가는 모든 이들은 낙원 한가운데로부터 제공되는 생명의 에너지를 받아 나로부터 해방된 자유와 주체할 수 없는 기쁨으로 다시 견뎌내는 현장으로 달려갑니다. 일상의 관계로 이사 오신 그분을 거기서 만나기 때문입니다. 말로 해서도 안 되고 폭력을 쓸 수도 없는 관계 안에서는 견딜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견디는 힘은 견뎌내신 분으로부터 받아야 견딜 수 있습니다. 어떻게?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11,2)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신 아버지로부터 받은 사랑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생명을 돌려드린 예수님의 삶에는 견뎌내는 사랑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수난의 사랑이라고 부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7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일곱째 날: 세 겹의 부르심 당신이 세 겹의 부르심을 들을 때, 무엇이 당신 마음에 떠오르는가? 하느님을 깊이 사랑하라. 다른 이를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을... 김상욱요셉 2024.05.22 25
1496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마리아의 노래, ( 마니피캇)  -내어주는 사랑과 받아들인 사랑의 만남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이 땅에 사람이 되시어 우리 눈에 볼 수 있는 존재... 이마르첼리노M 2024.05.31 35
1495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과 나의 자기소개서   예수님의 자기소개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태 11,28) 나는 생명의 빵이다. (요한... 이마르첼리노M 2024.04.30 46
1494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첫째 날: 당신의 선물 발견하기 하느님께서 당신을 이 세상에 있게 함으로 이 세상에 주고 있는 모든 선물과 달란트에 대해 나열하시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나열... 김상욱요셉 2024.01.31 49
1493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갈망이 멈추는 곳에서 부르는 노래   내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존재하고 있고 어떤 희망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회상하는 삶은 회상을 통하여... 이마르첼리노M 2024.05.29 51
1492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요한의 첫째 편지의 요약   우리가 보고 들은 그것을 여러분에게 선포하는 목적은 우리가 아버지와 그리고 그분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와 사귀는 친교를 여러분도 ... 이마르첼리노M 2024.01.23 57
1491 생명의 노래 생명의 노래   준 것은 잊고  다만 받은 기쁨을 되새기며 노래하자,   이별은 잊고 언젠가 그 날의 만남, 청신한 환희를 돌아보며 노래하자,   가장 훌륭한 애정... 이마르첼리노M 2024.03.08 58
1490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여섯째 날: 당신 안에서 나오기 소설가 헨리 제임스(Henry James)는 다음과 같은 권고를 하였다. “너 안에서 나와, 너 밖에 머물러라.” 당신은 자기와 자기의 문... 김상욱요셉 2024.04.18 59
1489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넷째 날: 삶을 음미하기 당신이 삶의 일상적 선물들을 음미하는 작은 방법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당신이 이 질문을 숙고할 때, 가족, 친구, 동료들 그리고 삶의 ... 김상욱요셉 2024.02.16 65
1488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무엇을 신심이라고 하나요? (깨끗하고 흠 없는 신심)   수많은 이들이 복음의 말씀에 기초를 두고 예수님을 따르기보다 신심 위주의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을 쉽... 이마르첼리노M 2024.02.06 72
1487 2부 1. 첫번째 출입구: 이웃 사랑 로버트 제이 윅스는 2부에서 예수님의 사마리아인 비유에서 우리 개인의 영적 양성의 핵심적 출입구로 이웃 사랑, 자기 사랑, 하느님 사랑을 읽어내고 그 길로 우... 김상욱요셉 2024.01.06 73
1486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한 달 동안 할 수 있는 질문들과 공부들 이제 당신의 차례이다. 여유를 가지고 제공된 가르침들을 다시 생각하며 그것들이 당신의 고유한 상황에서 자기 방식으로... 김상욱요셉 2024.01.23 73
1485 세 번째 출입구: "너는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세 번째 출입구: “너는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저명한 영성 작가 헨리 나우엔은 트라피스트 수도승이고 원장이고 심리 치료사인 존 에우데스 뱀베르... 김상욱요셉 2024.01.20 74
1484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를 오셨습니다.   아이스크림 하나를 손에 들면 그 이상 바라 것이 없는 듯, 모든 복잡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완전히 잊... 이마르첼리노M 2024.05.26 76
1483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기도는 관계적 변화로 나아가는 삶의 태도   복잡한 세상에서 하느님을 찾는 프란치스칸들은 하느님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 세상과의 관계에서 영적인 길을... 이마르첼리노M 2024.05.17 8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