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68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그리스도의 평화

 

 

 

143E9A334CFEC8B33F4701

 

 

   내가 2009년도 여름.. 우리 유기서원소에서는 1년차 여름 방학 프로그램때 유급체험이라고 밖에 나가서 돈 벌고

 

오는 체험이 있는데, 난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녀회에서 하는 안동 아네트의 집에 있었다. 난 사실 돈벌로 간것

 

이 아니라, 봉사하러 간것이다. 그곳은 수 많은 장애우들이 있는 곳이다. 거기에서 난 식사 보조라던가 빵도 만들

 

고 산책도 시켜주고 등등 여러가지 일에 있어서 사회복지사 선생님들과 함께 일하고 도와주는 것이었다. 어느날

 

난 식당에서 밥먹고 있었는데, 창 밖에 훤히 보이는 곳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다. 그리고 내 앞에는 나무 한 그루가

 

내 눈에 들어왔고, 그 나무는 바람에 흔들려서 내 눈앞에 아련거렸다.

 

 

 

   난 그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한 동안 바라 보았다. 나무가 흔들리는 모습을 난 본 순간 난 넋을 잃고 말았다. 왜

 

냐하면 그 흔들리는 모습이 너무나도 아름다웠고, 그러한 자연의 진리를 보여주는 모습이 바로 곧 하느님의 모습

 

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았고, 보았기에,, 바로 내가 본것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모습을 본것이었다. 난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통해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모습을 보고서 아름다움을 느꼈고, 감동을 받았던 것이다. 삼위

 

일체이신 하느님의 모습은 바로 이러한 모습이었다. 사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모습이 있기까지는 나무 혼자

 

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나무가 흔들리기까지는 그 나무를 지탱시켜 주는 생명의 근원인 땅이 있어야 하는 것이고,

 

그 땅에서 자란 나무가 설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나무는 바람에 의해서 흔들리는 것이다.

 

 

 

   이렇게 땅과 나무와 바람은 서로서로 성분이 다르고, 성격도 다르고, 모든것이 다 다르나,, 그리고 그 역활도 다

 

르고, 모양도 다르고, 모든것이 다 다르지만,, 그 다른 모든것이 하나로 일치가 되었을 때,,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모습이 존재하는 것이다. 땅은 나무에게 땅이 되어주고, 땅의 역활을 해주고, 나무는 땅에게 나무가 되어주고, 나

 

무의 역활을 해주고, 바람은 나무에게 바람이 되어주고, 바람의 역활을 하고,, 이렇게 서로서로가 되어주고, 역활

 

을 해 줌으로 인해서 한 그루의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지 못한다면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모습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자연

 

의 모습은 삼위일체인신 하느님의 모습과 유사하다. 하느님은 한분이시지만,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라는 세 위격

 

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위격의 고유성과 역활은 있고, 다 다르지만, 삼위가 서로가 서로에게 되어주고, 역활을 해

 

줌으로 인해서 삼위가 일치를 이루어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성부께서는 성자에게 성부가 되어주시고, 성

 

자께서는 성부에게 성자가 되어 주시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 성령이 되어주시고, 이렇게 서로서로 하나되어

 

일치를 이루면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이 되는 것이다. 바로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모습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우

 

리는 자연이 보여주는 진리의 모습이 하느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자연에게 감사해야 한다.

 

 

 

   우리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혼자 힘으로 혼자의 능력으로 재능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혼자 있어도 우리는 수 많은 상호작용이 있어야 하고 필요로 한다. 내가 지금 발을 딛고 있는 건물,, 바닥, 천장 그

 

리고 내가 지금 입고 있는 옷들 신발 음식,,,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것들,, 나 역시 ,, 우리도 마찬가지로 서로가 서로

 

에게 되어주어야 하는 존재가 되어야 할것이다. 나무가 땅의 도움도 필요치 아니하고, 바람의 도움에 필요치 아니

 

한다면 나무는 땅속깊이 뿌리 내릴 수 없고, 바람에 씨앗들을 널리 퍼뜨릴 수 없을 것이다. 우리도 한 그루의 나무

 

라는 것을,,,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2 상승과 하강의 역사 상승과 하강의 역사   바깥으로 향하던 통제를 안으로 바꾸는 결단이 후반기 인생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밖으로 휘두르던 칼을 안으로 향하게 하... 이마르첼리노M 2019.10.07 441
541 가을 스케치 가을 스케치   사람과 과일을 빨갛게 익혀내던 불덩이의 열기는 식고 청동화로 속의 마지막 불씨마저 가물거린다.   격정의 계절을 보내고 땀 밴 몸... 이마르첼리노M 2019.10.09 478
540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들판이 빛난다. 막 잠을 깬 창공, 폭포처럼 쏟아내는 빛줄기, 구름 사이로 세수한 얼굴 내밀며 황금빛 잔칫상... 이마르첼리노M 2019.10.10 407
539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계곡의 깊이를 앎으로써 산의 높이를 알 수 있듯이 혼자서 감당하는 좌절과 실의를 앎으로써 여러 사람의 추위를 헤아리게 된... 이마르첼리노M 2019.10.12 386
538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진심은 그 지향이 무엇이건 아름답다. 진심을 키우는 이들, 이를 지키고 어려움 중에도 옹호하는 이들, 충실하며 속이 실한 단합... 이마르첼리노M 2019.10.14 405
537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용서는 미래를 위한 결단   기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율법은 자비로운 용서가 없기 때문이다. 용서는 과거로 돌아가 상처받기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19.10.19 413
536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 1 이마르첼리노M 2019.10.25 410
535 복된 죄인들 복된 죄인들   우리는 죄인들이다. 절망과 어둠으로 향하는 죄인들이 아니라 죄에서 구원되리라는 희망을 지닌 죄인들이다. 하느님의 자비 아래에 있는... 이마르첼리노M 2019.10.28 447
534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이기는 방법은 악이 아니라 선이다. 일상의 여러 관계 안에서 단순히 더 나은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악을 악으로 공격하면 둘... 1 이마르첼리노M 2019.10.31 465
533 가을 밤 가을 밤   아프고 싶고 슬프고 싶고 고독하고 싶다.   고통에서 발견하는 眞 고독에서 발견하는 善 슬픔에서 발견하는 美 이마르첼리노M 2019.11.02 477
532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사랑과 안정의 토대를 주는 가족 그 안정을 넘어설 때 하느님과의 연결을 찾는다. 그러나 안정을 주지도 않고 하느님과의 연결도 ... 이마르첼리노M 2019.11.04 447
531 밤의 끄트머리에서 밤의 끄트머리에서   하느님의 지혜는 무뎌진 양심 무뎌진 정신 무뎌진 감수성을 날카롭게 한다.   고통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잠자는 지혜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9.11.05 466
530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내 존재의 땅 내가 서 있을 수 있는 존재의 토대는 예수께서 아버지의 삶에 참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참여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11.06 435
529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개별 정체성이 허용되는 시대에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느끼는가? 특별한 존재 열등한 존재 우월한 ... 이마르첼리노M 2019.11.07 529
528 과정의 진리 과정의 진리   인생의 후반기 삶에는 다 이상 영웅이 될 필요가 없고 참다운 자신이 될 필요만 있게 된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지배하려는 나의 독재성과... 이마르첼리노M 2019.11.12 571
Board Pagination ‹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