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3.03.10 15:35

새소리와 새소리

조회 수 713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어느날 대전 목동 수련소에서 거름을 만들기 위해 분쇄기에다 나무를 넣고 거름을 만들고 있었다. 분쇄할 때의

 

소리가 꽤 크다. 처음 사용할 때에는 적응이 안되서 자연스럽지 못했지만 이제는 그렇게 힘겹지 않게 할 수 있다.

 

언젠가 나무를 파쇄시키다가 기계사이사이에 끼여 있는 찌꺼기를 없애기 위해 기계를 멈췄다. 그 순간 정체를 알

 

수 없는 예쁜 새 한마리가 기계 바로 앞에 앉아서 지저귀기 시작했다. 짝을 찾는 것인지 알 수는 없었지만 암튼 한

 

동안 지저궜다.

 

 

 

    그런데 그 새가 지저귀는 동안에는 다른새가 지저귀는 것과는 좀 다르게 더 귀에 들어오고, 그 예쁜 소리가 내 마

 

음에 들어온다는 것을 난 느낄 수 있었다. 다른날에도 여기저기서 수 없이 새소리를 들었지만 내 마음이 이와같지

 

않았는데, 오늘 따라 왜 그런것일까? 난 일하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생각해 본 결과 그 이유는 바로 그 새가 특

 

별한 새라서 특별하게 다른새들과는 달리 예쁘게 지저귀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전에 있었던 시끄러운 소음이 있었

 

던 작업 환경 때문이었다는 것을 난 알게 되었다.

 

 

 

    평범한날의 새소리와 시끄러운 소음뒤의 새소리,, 새소리와 새소리 그것은 같은 새소리였지만 그날은 분명 다른

 

 소리로 나에게 다가왔었다. 새소리와 새소리를 통해서 한번 되새겨 본다. 평화스러운 일상 속에서의 평화는 그 평

 

화의 좋음을 느끼고, 그 평화가 주는 행복과 고요함을 깨닫지가 못할 때가 있다. 그러나 전쟁과 시련과 수 없는 어

 

려움 뒤의 평화는 누구나 느끼는 바이지만 그 고요함과 평화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 몸으로 느낄 수가 있

 

는 것이다.

 

 

 

    새소리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평범한 날의 새소리는 그냥 새소리일 뿐이고, 새가 지저귀는 소리일 뿐이지만, 시

 

끄러운 소음뒤에 그 소음을 견디고 난 뒤의 찾아오는 새소리의 고요함은 단지 새소리일뿐만 아니라 나에게 찾아온

 

 그 어떤 하나의 행복으로 찾아오기 마련이다. 이것 역시 하나의 진리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아무 어려움 없이 이

 

집트에서 살다가 쉽게쉽게 편하게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살게 되었다면 그들은 너무나도 쉽게 하느님께에 대한 신

 

앙을 저버렸을 것이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소중함을 신앙의 소중함을 믿음의 소중함을 몰랐었을 수도 있었기 때문

 

이다.

 

 

 

   하지만 그들은 온갖 어려움 속에서 하느님을 찾았기에 하느님과 그분께에 대한 신앙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을

 

 것이다. 진리이신 예수님께서도 이를 삶으로 보여 주셨다. 예수님께서 그토록 힘겨운 공생활과 뼈를 깍는 듯한 수

 

난의 고통없이 부활 하셨다면 지금과 같이 부활이라는 신앙이 우리에게 큰 의미로 와 닿지 않았을 것이다. 부활이

 

라고 하는 찬란한 영광 뒤에는 처참한 수난과 죽음이 있었기에 부활이라는 그리스도의 영광 또한 그만큼 빛나는

 

것이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누구나 어려움이 있다.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도, 수도생활을 하는 사람도, 그리고 그

 

 어려움은 우리에게 진정 소중하고 가치있는 것을 하찮게 여기지 않도록, 소중한것을 소중하게 여기고, 가치있는

 

 것을 가치있게 여기게 하기 위해서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선물일 것이다. 성경에서는 말하고 있다. " 여

 

러분은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자녀로 대하시면서 내리시는 권고를 잊어 버렸습니다. '내 아들아, 주님의 훈육을 하

 

찮게 여기지 말고, 그분께 책망을 받더라도 낙심하지 마라. 주님께서는 자녀로 여기시는 이를 훈육하시고, 아들로

 

여기시는 모든이들을 채찍질 하신다'여러분의 시련을 훈육으로 여겨 견뎌 내십시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자녀

 

로 대하십니다".(히브리서 12,5-7) 

 

 

 

    일상안에서 들려온 평범한 날에 들렸던 새소리가 그냥 새소리로 들려왔었지만, 시끄러운 소음뒤의 새소리는 나

 

게 자그마한 행복과하느님의 지혜와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의 진리, 또한 내 삶의 가르침으로 다. 그러

 

나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시끄러운 삶을 애써 피하려고 하지 않는가?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세실리아 2013.03.11 10:39:25
    아름다운 글 감사 하네요
    새 소리 단지 새소리 아닌
    고요와 평화로움 주시는 하느님의 음성 행복 합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7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   비어있었기에 소란하던 나는 마침내 당신으로 인해 넘쳐나서 지금 이처럼 고요합니다   나의 빈자리에 당신이 머물고 나의... 1 이마르첼리노M 2015.09.01 1456
776 프란치스코와 그의글3 2. 프란치스코와 형제회 1) 복음에 영감을 얻은 삶: 1208년 프란치스코는 성 다미아노 성당을 보수하고 성 베드로 성당을 그리고 이어서 포르치운쿨라 성 마... 김상욱요셉 2015.09.02 1293
775 촛불 앞에서    촛불 앞에서 밤기도 텅빈 성당의 제대 위에 외로운 촛불하나 작은 태양되어 나를 비춘다   빛과 열 그건 생명이다   빛과의 만남 빛과... 이마르첼리노M 2015.09.03 1227
774 프란치스코와 그의글4 4) 클라라회의 창립: 1202년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이 함께 살며 설교하는 모습을 보았다.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의 삶의 모습을 보고 프란치스... 김상욱요셉 2015.09.06 1462
773 아! 여기 계셨군요 아 ! 여기 계셨군요   우리가 잊고 지내온 땅 더 깊이 들어가는 사유 바닥에 이르는 가난한 의지 원천의 그리움이 샘물처럼 흐르는 곳   마음이 공... 이마르첼리노M 2015.09.07 977
772 작은 물방울 T.그리스도의 평화 작고 보잘것 없는것일수록 우리들에게 더 많은것을  가르쳐줄수도 있는데 우리는 너무 드러나는것만 보지 않았나싶다. 작은 물방울도 맑고 투... 일어나는불꽃 2015.09.07 945
771 프란치스코와 그의글5 3. 프란치스코의 생애 마지막 1) 라베르나 체험 프란치스코가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인 1224년, 프란치스코는 오를란도 백작으로부터 희사받은 라베르나 산에 6... 김상욱요셉 2015.09.15 1298
770 프란치스코 오상축일에 세월호 희생자들을 기억하며   9월 17일 프란치스코 오상축일에 교황님께서 선포한 봉헌생활의 해를 맞아 수도원을 개방하여 신자분들과 함께 기도하고 미사를 하였습니다. 미사 시간에 세월... 김상욱요셉 2015.09.23 1336
769 시월에 어느 가을밤에 -시월에 어느가을밤에- 시월에  가을계절  다가온시간 계절의  변화무쌍  자연을보며 계절의  자연통해  알게된진리 마음속  깊이새겨  간직하리다 여름... 일어나는불꽃 2015.10.02 932
768 모기스승 1 청원자시절. 언젠가 십자가를 바라보면서 그리스도의 고통을 가늠하지못해 한참을 묵상하고 있었다. 그렇게 시간이 지난 뒤 모기 한 마리가 날아... 일어나는불꽃 2015.10.04 949
767 모기스승 2 유기서원자시절. 여느때와같이 나는 기도하기위해 성당에 갔었다. 성당에 가서 자리에 앉아 기도하려고 하는데 때마침 모기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 일어나는불꽃 2015.10.10 913
766 모기스승 3 유기서원자시절. 난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책 제목은 잘 기억은 나지않지만 책 내용은 이러한 내용이었다.  &quot;프란치스코가 굽비오의 늑대를  만난것은 사납... 일어나는불꽃 2015.10.17 1010
765 생태영성 세미나 발제 어제 정동에서 생태영성 세미나발제가 있었습니다. 제가 할 차례이어서 간단하게 준비하였습니다. 2015년 종교간의 대화 위원회 생태영성 세미나 발제   ... 일어나는불꽃 2015.10.22 1069
764 모기스승 4 유기서원자시절. 난 성당에서 기도하고 있었는데 모기가 와서 내 주위를 맴돌다가 내 왼쪽 팔뚝위에 앉았다. 난 피빨아 먹고 가라고 그냥 냅뒀는데 이 모기... 일어나는불꽃 2015.10.23 925
763 모기스승 5 유기서원자시절. 밤에 자는데 모기가 와서 왼쪽팔뚝을 물었다. 그래도 난 가만이 있었는데 이 모기가 또 더 위로 올라가더니 다른 한군데를 또 물었다. 이렇게 모... 일어나는불꽃 2015.10.28 977
Board Pagination ‹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