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2.09.07 15:45

참여하는 신비

조회 수 33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참여하는 신비

 

하느님은 사랑이시다.”(1요한 4,16)

사랑은 혼자서 할 수 없으며 대상이 필요하다.

사랑은 사랑에 의해서만 알 수 있는 신비다.

사랑에 참여함으로써 알게 되는 지혜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행하는 선은

자신을 남김없이 내어주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사랑에서 나오고

참여하는 사랑으로 알게 되는 앎이다.

우리를 매력으로 이끌어주시는 선하신 아버지의 자비와 사랑에 이끌려

관계성 안에서 구체적인 사랑에 참여함으로써 앎이 시작된다는 말이다.

객관화된 사물을 아는 것과는 너무나 다른 이러한 앎은

사랑으로 선택하는 영의 활동 안에서 구체화 된다.

 

사랑을 시작하신 분은 아버지의 영이시다.

아들 예수에게 당신의 전부를 남김없이 내어주시는 아버지의 사랑이

사람이 되신 예수를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다.

예수께서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사랑에 대한 응답으로 당신의 생명을 내어드렸다.

사랑에 대한 응답은 언제나 사랑으로 이루어진다.

 

끊임없이 내어주시는 아버지의 영과

하느님 나라를 이 땅에 선포하시고 관계성 안에서 발견하도록 하신 예수님,

고난을 받아들이시고 죽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이

하나로 만드시고 일치를 이루시는 성령이시며

우리는 그분을 삼위일체의 하느님이라고 고백하는 것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관계의 모델이며 거울이 되어 인간의 삶을 비춘다.

우리는 그 거울에 자신을 비추어봄으로써 영감을 얻어

관계성 안에서 자신을 내어주는 선으로 하느님 사랑에 참여한다.

참여하는 선이야말로 하느님 나라를 관계성 안에서 경험하도록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자신을 거울에 비추어봄으로써 알게 되는 앎이기에 신비적이다.

그러므로 거울에 비친 우리의 관계성을 바라보고

관계성 안에서 자신을 내어주면서 발견한 하느님을 피조물과 함께 공유하면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을 공유하는 관계로 만들어가는 앎이야말로

지금 여기서 하느님 나라의 기쁨과 행복을 누리도록 돕는다.

 

사랑은 참여로서만 아는 지혜다.

받은 사랑, 받는 사랑, 받게 될 사랑에서 믿음과 희망과 사랑이 싹트고

행동하는 자비로 자신을 내어주면서 관계를 시작하는 땅,

그 땅에서 우리는 숨 쉬고 살아간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가온 2022.09.07 21:47:39
    이타적 행동 생각 입술로만 저는 동조하지만 실천은 자기애 되어버리니
    저는 속물 중 속물입니다. 비워버리고 새로운 생각을 갖도록 다짐합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7 계명을 지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계명을 지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과응보와 상선벌악의 신앙구조는 율법준수에 따른 사후 처벌과 보상이라는 틀에 하느님을 가두고 인간을 가둡니다. 그... 이마르첼리노M 2022.12.04 627
1256 계시의 말씀 설명 http://www.sky000.com나는 내마음 대로 이편지를 보내 드리는 것이 아니고 예수님께서 명령하신 대로 이말씀을 보내 드리니 읽어 보시고 연락 주십시요. ○계시의... 이 열기 2010.11.20 12252
1255 고 바오로 선생의 글에 대한 답변서 귀하는 본인에게 4가지의 요구사항을 전달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본인은 이 4가지 요구는 토론의 전제사항이 아닌 토론을 정식으로 수용한 이후에 해결된 ... 3 요한 2009.06.06 5335
1254 고난의 꽃으로 고난의 꽃으로   “죽음의 그늘 밑 어둠 속에 사는 우리에게 빛을 비추어 주시고 우리의 발걸음을 평화의 길로 이끌어 주시리라” 루가1.79   길이... 이마르첼리노M 2017.08.11 857
1253 고난의 땅에 피는 흑장미 고난의 땅에 피는 흑장미   머리로 아는 것은 깊이가 없다. 진실의 바닥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고난의 흔적이 없기 때문이다.   참기 어려운 현실 속에... 이마르첼리노M 2020.09.03 533
1252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막달라 마리아의 고독이 예수님의 사랑을 만나 변화의 길로 들어선 것처럼 우리의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부활하신 ... 1 이마르첼리노M 2022.04.17 340
1251 고독한 나그네 고독한 나그네   사람의 진실이 얼마나 고독한가!   결단하는 자는 고독하다 그러나 결단해야 한다.   책임지는 자는 고독하다 그러나 책임을 회피... 이마르첼리노M 2014.08.22 1826
1250 고독한 밤에 고독한 밤에 모두가 잠이 든 시간 홀로 있기위해 일어났다. 고독한 시간이야말로 만사를 있는 그대로 보는 시간이다. 고독이란 외로움이 아니다. 외로움은 혼자 ... 이마르첼리노M 2013.10.10 4825
1249 고독한 순례자 고독한 순례자   하느님은 나중에 일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바로 지금 이 땅에서 모든 관계 속에서 일하시는 분이시다.   낙원에서 행복의 깊이에 들... 이마르첼리노M 2021.09.10 432
1248 고별사 박 프란치스코 형제 장례 미사 고별사 프란치스코 형제님, 6년 전 이맘때도 저는 저의 본명 축일에 제가 사랑하고 존경하는 안젤로 수사님을 주님께 보내드렸는데... 7 김 찬선 2008.11.28 7401
1247 고요한 평화 고요한 평화   나는 나를 높이기 위해 너를 이용하지 않는다.   너와 사랑으로 깊숙이 연결되어있지만 나로 남아 있으며,   도움이 필요할 때 ... 이마르첼리노M 2020.03.05 451
1246 고통 앞에서 고통 앞에서 인류가 직면한 고통들 재난과 질병과 사고 신체적 정신적 물리적 고통 외로움과 고독과 영적 고통   죄를 뒤집어씌울 희생양을 찾는 사람들... 이마르첼리노M 2021.01.24 432
1245 고통은 곧 사랑이며 희망이다. + 평화와 선 어느덧 사순시기도 다 지나는 것 같네요.. 형제 자매님들께서는 어떻게 지내시고 계신지.. 저 역시 반성하면서, 아주 작은 고통을 경험했는데 써볼까... 1 정마리아 2006.03.28 5637
1244 고통의 찬미가 +그리스도의 평화       인간에게 있어서 고통이라고 하는것은   피할래야 피할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이 인간의 고통에 대해서... 일어나는불꽃 2013.07.23 5036
1243 고통이 하는 일 고통이 하는 일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주어진다. 피하고 싶은 강한 충동을 일으킨다. 보복과 앙갚음의 원인이다. 탓을 남에게 돌리게 하지만 헛수고... 이마르첼리노M 2020.03.19 428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