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2.01.15 21:34

정동 이야기 (8)

조회 수 42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정동 수도원 이야기 (8)  아름다운 기억



그동안 정동 수도원에 수많은 사람들이 거치면서 프란치스칸 영향력으로 많은 사람들이 세례를 받게 되었는데 그중에 예외적인 것이 영친왕의 세례로 이어진 조선 왕족들을 교회로 인도한 것이며 공교롭게도 이 역할의 중요 부분이 정동 수도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선 왕조는 순조 헌종에 이어 대원군으로 이어지면서 철저하게 교회를 박해했다. 물론 이것은 가톨릭교회를 정면으로 박해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의도가 있긴 했어도 모진 박해로  많은 신자들이 순교했으며 교회는 위축된 상태를 견뎌야 했다


그런데 대원군은 가톨릭을 박해해서 많은 순교자들을 양산했으나 그의 부인과 가족들은 서서이 세례를 받아 가톨릭 신자가 되었다. 흥선 대원군이 천주교를 박해한 반면 부인 여흥 부대부인 민씨(1818~1898)는 가톨릭 신자이었다. 그는 고종의 유모 박 마르타를 통해 천주교를 접한 뒤 국가 융성과 평화를 위해 여러 번 미사를 봉헌했다.


1896년 10월 뮈텔 주교에게서 세례를 받고 '민 마리아'로 다시 태어났다. 그의 세례는 어떤 정치적 의도가 없는 순수한 신앙적 결단이었다. 세례를 집전한 뮈텔 주교의 일기에는 "1896년 10월 11일 왕의 어머니가 세례를 청했다. 부인은 나에게 하느님 밖에 희망을 둘 곳이 없다고 말했다. 나는 우리의 유일한 의탁처는 오직 천주님뿐이라고 말했다"고 기록됐다. 참으로 장한 의거이고 놀라운 복음화의 변신이었다.


또한 흥선대원군의 아내뿐 아니라 손자와 손자며느리도 세례를 받아 천주교인이 되었다. 고종의 다섯째 아들로 의왕, 의친왕 또는 의화군이라 불린 이강(1877~1955)은 1955년 8월 9일 '비오'라는 세례명으로, 의왕비 김덕수(1881~1964)는 같은 달 14일 '마리아'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이런 조선 왕조의 왕족들이 가톨릭 신자로 변신하는 모습이 프란치스칸들에 의해 이어지게 되었다.


일본 동경에 우리 한국 회원인 석종관 바오로 신부가 있었는데, 그는 요즘 말로 첫 번째 제일 한국 교포들의 지도 신부로서 많은 역할을 했다.


그에 의해 고종의 아들로 을사늑약으로 나라가 없어진 나라의 왕자로 일본에 살면서 일본 귀족 이방자 여사와 결혼하고 살던 영친왕이 동경의 성 루카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요셉이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는 조선왕조가 망하면서 일본의 볼모로 끌려가 일본 육군 대장이 되어 본의 아니게 일본 제국주의에 일을 하면서도 조선인으로서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조선인들을 도우는 양극의 삶을 살면서 심한 정체성의 위기에 살다가 세례를 받게 되었다.


이 세례는 그의 비극적 삶에서 탈출하는 마지막 최고의 인생의 선택으로 여긴 결과인지 모른다.


그해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장군은 영친왕의 소식을 듣고 치료비와 생활비를 지원했지만 병세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1963년 11월 22일에 영친왕 이은은 드디어 고대하던 귀국길에 올랐다. 하지만 곧 혼수상태에 빠져 곧장 성모병원에 입원했다. 그 후 오랫동안 고독한 투병 생활을 하던 그는 1970년 5월 1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3세였다.


그의 별세 소식이 알려지면서 정동 수도원에 있던 주로 외국인 형제들 특히 이태리 출신의 루카 피로네 형제가 지혜롭게 관여 해서 영친왕의 장례식은 왕실 예법으로 진행했으나 연도 등 여러 가톨릭 장례 예식을 도입해서 가톨릭을 드토록 박해하던 조선왕조의 왕족들이 가톨릭으로 귀의하고 일생을 마무리 했다는 귀한 증거를 제시했다.


당시 정동 수도원에 학생으로 살던 본인은 연도를 위해 낙선재를 방문하면서 유교식 궁중 예법 속에 가톨릭 기도가 조화롭게 표현되는 것이 여간 대견해 보이지 않았다.


선배 신부님들의 사려깊은 배려는 유교적 예법에 조금도 어색하지 않으면서도 우리의 신앙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서 가톨릭 신앙의 포용성을 보이는 좋은 모델이 되었기에, 어색하고 긴장하기 쉬운 분위기를 기도의 안온함으로 승화시켰던 당시를 기억하게 된다.


100년 이상 가톨릭 신자라는 이유만으로 그토록 심하게 교회를 박해했던 조선 왕조의 왕족이  교회로 돌아오게 된 것은 우리가 도저히 알아듣기 어려운 하느님의 깊은 안배임과 동시 도심에 사는 프란치스칸으로서의 관여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맛세오 수사님 부활을 축하드립니다. 이메일 주소가 찾아보니 없어졌길래 이곳 자유게시판을 이용해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정성드려 주님께 성가를 드리고 돌아왔습니다. 해마다... 1 호데레사 2008.03.24 5857
241 자기인식을 통하여 내면의 힘을 키우는 참자아 찾기 훈련으로 초대합니다 http://www.jjscen.or.kr우리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것은 사랑이다. 그러나 사랑을 주고받는 삶이 어려운 것은, 치유를 필요로 하는 과거의 나, 즉 어린 시... 전.진.상 영성심리상담소 2008.03.12 4901
240 숭례문 사건이 이 시대에 던져주는 의미 신라시대에는 신라가 천만년 갈 것으로 철석같이 믿고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지고 없고 고려시대에는 역시 고려가 천만년 갈 것으로 믿고 있었지만 6백년 밖에 못... 영진 2008.03.03 5060
239 영화치료 (Emotion Picture Magic) 에로 초대합니다 http://www.jjscen.or.kr영화치료 (Emotion Picture Magic) 시네마 테라피는 정서적 심리적 건강과 성숙을 원하는 이들이 다양 한 심리정서에 관한 영화를 의식적... 전. 진. 상 영성심리상담소 2008.02.23 4327
238 2008년도 제 19차 성체조배기초교육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8년 첫 성체조배 기초교육을 개최합니다. 주님의 말씀 성찬에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감사합... 성체조배회 2008.02.18 6789
237 제 7기 프란치스칸 영성학교 졸업미사 프란치스코 성인의 영성을 더 잘 알고 따르는 길을 알리고자 시작한 프란치스칸 영성학교가 2월 12일 서울 정동 작은형제회 수도원 성당에서 제 7기 졸업미사를 ... 김요한 2008.02.13 6422
236 숭례문의 화재 소실을 보며 우리 나라 고유 명절인 설 연휴를 마칠 무렵, 국보 제 1호인 숭례문이 불타서 소실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잘못 듣지 않았는가하고 귀를 의심하기도 했습니... 김요한 2008.02.13 4292
235 08년도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봄철 프로그램 {FILE:1} file 프란치스코 회관 2008.02.10 6935
234 사해사본과 그리스도의 기원 전시회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6월 4일까지 사해사본과 그리스도의 기원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사해사본이란 쿰란의 동굴에서 우연히 발견된 성서 두루마리를 말하는 것이... 김요한 2008.02.05 4687
233 '사랑은 어떻게 생긴 것인 가?' '사랑은 어떻게 생긴 것인 가?' 관리자님 ! 허락없이 글을 올려 죄송합니다. 좋은 사 이트 구경 잘했구요. 진심으로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중... 신현주 2008.01.31 8194
232 제 8기 프란치스코 영성강좌 (대전) T. 평화와 선 대전 목동 작은 형제회 수도원에서 제 8기 프란치스코 영성강좌를 신청하실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시간이 사랑안에서 주님과 일치해 나아... file 작은형제회 목동 수도원 2008.01.23 8288
231 청년미사 아우름 2007년도에 시작한 아우름 청년미사가 해를 넘겨서 2008년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석자의 숫자가 늘지 않고 있습니다. 아마도 참여하는 사람은 열심이... 관리형제 2008.01.16 9363
230 사도바오로의 해를 맞이하여- 터키주교회의 권고서한 크리스챤 정체성을 지닌 증거자요 사도인 바오로 사도 형제자매 여러분 바오로 사도가 로마 교회의 신자들에게 했던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1 터키한인공동체 2008.01.14 20241
229 축하드립니다... 첫서약을 하신 4분의 수사님들께 축하인사드립니다...영육간의 건강과 주님의 뜻을 충실하게 따를 수 있는 자녀가 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또한, 21일날 성대서약... 1 터키한인공동체 2008.01.14 6261
228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819
Board Pagination ‹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