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2.01.11 01:56

새 창조의 길

조회 수 3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새 창조의 길

 

복음은 행동이 수반된 언어입니다.

행동하는 자비가 없는 설교나 우리 자신이 기쁜 소식이 되지 않는다면,

기쁜 소식이라고 설교해도 듣는 이에게는 부질없는 말로 들릴 것입니다.

 

그리스도교는 나에게서 나를 해방하는 종교입니다.

내가 운전대를 잡고 걸어왔던 길에서 교통사고를 저질렀다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들을 위한 종교입니다. 내 안에 있는 깊은 상처와

자신의 죄가 낳은 관계의 균열에 대한 정직한 인식 없이는

숨겨둔 증오심과 자신의 범죄를 타인에게 전가하고 의심할 뿐입니다.

 

믿는다고 말하는 것은 실천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느님과 너를 대할 때, 깨끗한 마음, 정직한 마음 없이 출발할 수는 없습니다.

복음이 실천적 언어라면 창조적 행위가 되는 선은

삼위일체 하느님 사랑에 참여하는 기쁨으로 단절되었던 관계를 연결로 돌려놓습니다.

연결은 타인의 통제를 멈추고 관계의 균열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덮어두고 미루다가 세월만 낭비하기 쉽습니다.

무엇보다 내면의 진실을 대면하고 당사자와 대면해서 풀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잊히는 것이 아닙니다.

수많은 기도와 희생을 봉헌한다 해도 대면 없는 기도는 허구로 끝나고 맙니다.

 

하느님께 복종하는 것이, 사람에게 복종하는 것보다 먼저입니다.” (사도 5,29)

베드로 사도가 당시 종교지도자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세례자 요한, 예수님, 사도 바울로는 당시 종교 당국에 불복종했습니다.

나는 우리의 교사들과 사목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무시하거나 간과해 왔다는 생각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과거의 역사를 보면 교회가 정치 권력을 가지고 지배했을 땐,

종교적 권위에 불복종하는 사람들을 이단자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이단은 불복종하는 사람이라기보다 사랑이 없는 사람일 것입니다.

믿는 이들이 교회에 충성하느라 사랑을 잃어버린다면

이단이라고 말하는 사람들과 다를 바 없기 때문입니다.

집단 바깥의 존재들에 대한 이해와 사랑, 그들과 함께 아파하는 대신

집단에 대한 충성이 그리스도인들의 미덕이 되어가는 현상은 슬픈 일입니다.

자연 안에서 창조의 아름다움을 찾는 이들과

가장자리와 밑바닥 사람들의 견해와 양심의 자유를 존중하고,

그들과 관계를 넓히는 일은 각 개인이 맺고 있는 관계들을 넓히는 일과 같습니다.

우리 자신이 그런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사랑이 먼저입니다.

사랑은 상대방의 자유를 헤치지 않습니다.

통제를 멈추는 사랑, 용서 청하고 용서하는 사랑, 허용하고 놓아주는 사랑이 사람을 살립니다.

받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사랑, 보지 않고는 행할 수 없는 사랑입니다.

받아야 내려갈 수 있으며, 아버지의 품을 느껴야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칸 가난은 극복해야 할 유산이며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결단하는 자의 유산입니다.

강요된 가난은 힘이 없습니다. 강요된 사랑은 사랑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쁨에 찬 가난이야말로 우리의 보물입니다.

왜냐하면 그 기쁨 속에서 가난과 겸손으로 회심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니까요,

 

자비와 선으로 관계를 새롭게 하는 창조성은

싸우거나 도피하지 않고, 경쟁하거나 비교하지 않으며, 증명하거나 자랑하지 않아도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음악처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즉흥적인 기쁨이 있습니다.

자비와 선은 그렇게 아버지로부터 흘러나와 나를 통하여 너에게 흘러갑니다.

 

창조가 이루어지는 관계는 아름답습니다.

나를 창조의 도구로 선택하신 주님께서

나를 통하여 너에게 자비와 선을 행하시도록

내 자유를 내어드린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낙원을 발견하는 놀라운 기쁨을 거기에 두셨으니까요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 라베르나 관상기도모임 T. 평화와 선 나는 이렇게 그냥 완전하다. 문제는 그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나의 것으로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아씨시 프란치스코의 “가난”은 우리를 ... 이재성 보나벤두라 2006.06.08 6703
236 자유가 자유를 구원합니다. 자유가 자유를 구원합니다.   기도를 통해 우리가 듣는 것은 나를 사랑하신다는 그분의 음성입니다. 기도는 끊임없이 우리의 참 존재의 실상으로 돌아가 사... 이마르첼리노M 2013.02.21 6703
235 희망의 포구로 희망의 포구로 항해의 뱃머리를 돌리는 나의 지표는 동반과 부축이다. 험준한 절벽 같은 이를 성난 파도 같은 이를 측은해서 도저히 버려 둘 수 없는 이를 동반... 이마르첼리노 2011.11.05 6706
234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3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통해서 바라볼 수 있는 다른 하나는 바로 성령이신 하느님이시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   무를 통해서 성령이신 하느님을 ... 김기환베드로M. 2013.05.15 6710
233 [2006] 골롬반 상반기 강좌 †. 평화와 기쁨 안녕하세요. 따스한 햇살에 푸른 연필심 같은 새순이 돋아나는 계절입니다. 봄이 온다는 소식은 언제나 희망차고 기쁘지요. ^^ 저희 골롬반 선교... 골롬반선교센터 2006.02.25 6734
232 힘이 없는 곳에 힘이 있습니다. 힘이 없는 곳에 힘이 있습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사랑하는 마음 안에 육화하시는 주님의 영께서 향유를 들고 다가오십니다. 자신의 연약함과 무력함으로 우리를 ... 이마르첼리노 2011.04.02 6735
231 한국순교성인 축일을 축하하며 +평화 아씨시에서 인사합니다. 오늘 전세계에서 우리 한국순교성인들을 기념하는 미사를 봉헌하였습니다. 이곳에서도 특별히 아침에 우리 아시아 그룹 형제들이 ... 마중물 2006.09.20 6744
230 사진으로 보는 성지 성프란치스코 성인의 발자취를 따라서 성지순례를 하고 싶으신 분들은 갤러리로 오십시오 새롭게 방을 하나 마련하였습니다. 이 마르첼리노 형제 2006.03.02 6750
229 추수군대 샬롬!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에 대한 것이 아니요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에게 대함이라&quot;(엡6:12). 영적전쟁이란 하나... 이영애 2007.04.04 6765
228 2008년도 제 19차 성체조배기초교육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8년 첫 성체조배 기초교육을 개최합니다. 주님의 말씀 성찬에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감사합... 성체조배회 2008.02.18 6786
227 이스탄불 라마단 http://cafe.daum.net/dialogueunity/7SlH/118라마단 기간중 이스탄불 시실리 사원 이프타르(저녁식사)| http://cafe.daum.net/dialogueunity/7SlH/118 라마단 기... 대화일치 2009.09.10 6787
226 프란치스칸 종교간위원회-콘솔라따 강디에고신부님 임마꿀랏따 강연희입니다.(인천.연수.선학동) 대화위원회세미나 2013-06-13 감사합니다. summers 2013.06.15 6790
225 아랫글의 기자가 수정한 기사내용 바티칸 교황청 ‘비공개 구역’ 바오로 채플… 국내언론 처음 미켈란젤로 벽화 취재기사 (기사입력 2011-05-18 03:00:00 기사수정 2011-05-18 16:39:38) ‘교황의 밀... file 이종한 2011.05.22 6812
224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성탄의 의미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816
223 봄 밤에 쓰는 편지 봄밤에 쓰는 편지 잃어버린 아침을 애석히 여기는 저녁나절의 허적한 심정처럼 지나온 시간들을 바라보면 허전하고 씁쓸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남아있는... 1 이마르첼리노M 2013.04.15 6821
Board Pagination ‹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