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1.12.28 23:40

정동 이야기 (7)

조회 수 35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정동 수도원 이야기(7) -  언어학원 명도원


정동에 수도원 건축을 결정했을 때 건축 계획안에는 언어학원 설립 계획이 포함되어 있었고 로마의 승인도 마친 상태였다. 언어 학원과 성서 연구소는 프란치스칸 선교 활동의 기본이라 여겨 성서 연구소는 중국과 일본에 설립되었고 그러기에 중국과 일본에서 성경 번역은 바로 프란치스칸이 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에는 이태리 출신의 가브리엘 알레그라 신부님이 중국인 제자들을 양성해서 성서를 번역하셨는데, 이 제자들의 삶 자체가 성서처럼 경건했고 또 이 번역은 오늘도 수많은 중국 성서번역본들 중에서 탁월한 위치를 인정받고 있다.


사부님의 하느님 말씀에 대한 중요성과 공경성의 증거로 성서 연구소를 만들고 선교사들에게 현지어를 가르침으로 선교 활동에 필요한 밑거름을 제공한다는 선교에 대한 깊은 이해심에서 나온 계획이 이처럼 중국 일본에서 이미 시작되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었다.


당시 선교지인 아시아에서 구라파와 미국에서 모여드는 선교사들의 언어 교육기관의 설치는 너무도 긴박한 만큼 프란치스칸이 가장 유능하다는 평판을 받고 있던 처지였다.


한국에도 선교사들이 계속 도착하는 처지에서 여러 수도회에서 언어 교육에 노하우가 있는 프란치스칸들이 선교사들을 위한 언어 학원을 운영해 주었으면 하는 요청을 하게 되었다.


아뽈리나리스 신부님은 그분의 철두철미한 계획성이 이 준비 과정에서도 드러났다. 언어학원이라는 것은 특히 우리나라에만 사용되는 생소한 언어 교육을 위해선 지성적인 두뇌를 가진 인력이 필요하기 마련인데, 신부님은 동경 수도원의 원장으로 있으면서 동경 언어학원 운영을 보아온 압디아스 반 상태 신부를 점찍어 언어학원 설립 준비를 시켰다.


이 형제는 이것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재능 뿐 아니라 대단한 친화력을 지닌 형제이기에 여러 나라 여러 수도회에서 모인 선교사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인물이었다.


능력과 함께 철저성도 있기에 돌다리도 두드리면 지나가는 사람처럼 차근차근 준비해서 알차게 시작했다.


먼저 정동 수도원이 건축 중에 있을 때 이미 언어학원 소문을 들은 선교사들은 미리 신청을 하면서 언어 학원의 개강을 학수고대하고 있었다.


이런 기미를 확인한 압디아스 신부는 언어학원이 완공되기 전 정동 인근에 임시 교사를 하나 구했다. 그분은 판단력이 정확하면서도 대인 관계에서는 여유로움을 보이셨기에 외국인으로서 한국 사람을 친구처럼 쉽게 대할 수 있었고 이런 성격에 의해 한 학기 개교를 앞당길 계기를 만들었다.


우연히 산보하다가 신문로에 있던 평양 교구 신우회 사무실을 발견하고 들어가서 혹시나 하고 자리를 보니 수업을 할 수 있는 자리가 있어 책임자를 통해 이 건물 책임자였던 노기남 주교님의 허락으로 1964년 10월 2일 6개국에서 온 9개 수도회 25명을 모아 첫 수업을 시작했다.


한마디로 계획 보다 한 학기를 앞당겨 학원을 개원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에는 연세대학 부설 한국어 학당이 1959년에 설립되었고 순수한 선교사들을 위한 한국어 학당은 명도원이 처음이었다. 그 후 수도원이 완공되자 1965년 9월 8일 성모성탄 축일에 수도원을 축성하고 9월 9일 명도원이 정식 교사에서 새 출발을 했다.


학교명 역시 압디아스 형제의 혜안으로 시작되었다. 이 형제는 전통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경에 대단했기에 학교 이름 역시 루이스 장발 형제의 조언을 받아 박해시대 신자들이 모여 진리를 깨치기 위해 교리를 배우던 명도원의 이름을 따서 명도원으로 교명을 정함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이미 교명을 통해서도 선교사 학생들이 이해하기 만들었다.

 

선교지 문화에 대해 무지했던 선교사들의 처신이 교회에 대한 거부 현상으로 드러나는 아프고 쓰라린 실패의 경험을 확인한 처지에 이 땅에 프란치스칸들은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로 이런 실수를 하지 않는 혜안을 지녔다는 것이 얼마나 자랑스러운 지 다시 생각하게 된다.


압디아스 원장의 능력은 참으로 대단해서 누구나 불편 없이 만날 수 있는 편안한 인상의 분위기를 창출했으며 원채 재치가 있는 분이라 지금 정동 수도원 성당에 모셔진 검은 성모상을 구해다가 성당의 분위기를 창출했다.


이 학교는 작지만 시작 당시부터 알찬 시설을 갖춘 언어학원 이였다. 당시 아뽈리나리스 관구장과 압디아스 원장의 인격에 매혹된 장발 (루이스) 선생은 명도원이 단순히 한글을 공부하는 학당이 아닌 한국의 자랑스러운 전통과 정신문화를 배울 수 있는 선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자리로 매김시키기 위해 고심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2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기쁨은 관계를 비추는 빛입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빛나게 해드리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일들을 멈춰야 합니다. 내 이름을 빛나게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4.04.25 231
1181 기쁨은 그리스도의 신비 기쁨은 그리스도의 신비   기쁨은 슬픔과 고통의 땅을 뚫고 나온 싹이다. 가난을 통해 얻은 해방과 겸손을 통해 얻은 연결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기... 이마르첼리노M 2021.08.17 377
1180 기쁨을 깨우는 소리 기쁨을 깨우는 소리   뭉게구름이 피어나고 쓰르라미가 노래하는 아침 밤새도록 합창하던 귀뚜라미도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산새들의 합창이 시작되었다. ... 이마르첼리노M 2020.09.15 503
1179 기쁨을 발생시키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기쁨을 발생시키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하느님으로부터 출발하는가? 나로부터 출발하는가? 하느님께 의존하려고 하는가? 내가 해결하려고 하는가? 자... 이마르첼리노M 2020.03.06 436
1178 기쁨의 꽃 기쁨의 꽃 기쁨은 꽃이다. 삭풍과 눈보라 모진 비바람과 긴긴 밤을 홀로 견디면서 피는 꽃이다. 염원과 갈망이 생명의 아픔들과 함께 황량한 겨울 벌판을 지나 ... 3 이마르첼리노 2010.12.05 5106
1177 기쁨의 샘 기쁨의 샘   공복의 기쁨 가난이 주는 기쁨 어느 것도 내 것으로 하지 않는 기쁨 돌려드리는 기쁨   보상을 바라지 않는 기쁨 선의 흔적을 지우는... 이마르첼리노M 2017.10.13 1234
1176 기을의묵상3-낙엽노래-   가을의 묵상글을 적으니   어느덧 겨울이 되었습니다.   너무 늦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글도 시기에 맞춰서 올려야 하는건데   가을의 묵상 마지막... 일어나는불꽃 2014.11.17 1844
1175 기징 행복한 미소 가장 행복한 미소 주님을 만나러 성당으로 갔다 그분은 나를 만나러 사람들 사이로 오셨다 길에서 만나 마주보았다 그리고 둘 다 웃었다. 이마르첼리노M 2019.07.07 562
1174 기차 며칠전 기차타고 내려가면서 딴짓 하다가 그만 종착역을 놓쳐 버렸다. 그러나 내가 본것은 마음이 혼란스러워도 기차는 떠나고 혼란스럽지 않아도 기차는 떠나... 일어나는불꽃 2013.11.23 3993
1173 길고양이 세상에  사람들이  모여서살고 세상에  살아있는  수많은생명 도시엔  길고양이  모여서살며 그들도  생명으로  사는것일뿐 어둔밤  길거리에  지나다니는 고양이... 일어나는불꽃 2016.05.17 876
1172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 되다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 되다   하느님 나라 더불어 누리는 참된 행복   빛이 되는 길 소금이 되는 길 복음 선포의 길   깨끗한 마음으로 기초... 이마르첼리노M 2015.01.05 1227
1171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되다. 길에서 길을 만나 길이 되다   마침내 도착할 곳은 그곳에 도달 하려는 과정과 방식에 달려있다   내적 가난과 의식의 성숙이 길을 찾게 만들고 ... 이마르첼리노M 2019.01.09 1038
1170 김 요셉(상욱) 형제의 글에 대한 소견 (이요한 종한) 김 요셉(상욱) 형제가 빅터 프랭클 박사의 의미요법과 프란치스코가 말하는 순종의 세 형태를 비긴데 대한 소견이다. 빅터 프랭클 박사(1905- 1984)는 유대... 이종한요한 2013.07.11 5736
1169 김 인선 젬마 자매님을 추모하며 김 인선 젬마 자매께서 돌아가신 지난 1월 16일 저는 여러분의 연락을 받았습니다. 자매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저에게 전하는 연락이었지요. 제가 이곳 대전... 김레오나르도 2013.01.20 7910
1168 김 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 인터뷰 + 평화와 선 대구사이버대학교 웹진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아래 사이트 클릭 http://www.dcu.ac.kr/webzine/11th/menu05.html 정마리아 2007.03.08 5659
Board Pagination ‹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