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8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성탄과 죽음과 부활의 신비는 하나의 신비다.

 

성프란치스코의 영적인 출발은 육화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수난의 사랑이었다.

수난의 사랑에서 출발하여 육화의 겸손에 이르는 사랑의 길이었다.

악과 죄는 실제적이고 현실적이지만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궁극적인 것도 아니다.

하느님의 창조에는 자비와 선하심과 아름다움이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수님을 통해 부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신 것은,

우리에게 꺼지지 않는 희망을 주시려는 하느님의 뜻이었다.

십자가는 선으로 악과 죄에 저항하는 관계에서 발생하지만, 부활을 예비하는 것이다.

믿음의 현장에서는 십자가와 고난을 믿는 것보다 부활을 믿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

부활을 믿는 신앙은 더 큰 믿음이 요구되며

우리가 당면한 문제는 언제나 십자가와 고난이 따르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부활은 고난의 언덕 너머에 있기에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부활을 내다보는 믿음은 고난과 십자가 안에서 성장한다.

우리의 인생은 고난을 통해 자기에게서 해방되는 여정이다.

부활은 해방을 통해 자유와 기쁨과 즐거움을 우리에게 준다.

 

나는 내 믿음 안에서 예수님께서 나에게 이렇게 말씀하신다고 생각해 왔다.

나는 네가 지금 겪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안다.

그것을 외면하지 말고 배움의 기회로 삼아라,

내가 그랬듯이 잠시 견디고 있어라, 그것이 네게 뭔가를 가르쳐 줄 것이다.

생명을 잃는 것처럼 보여도 그것이 끝이 아니다.

부활은 언제나 죽음 뒤에 있다.

너는 생명을 얻게 될 것이다.”

 

고난은 나를 위해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웠다.

누군가를 사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겪게 되는 과정이다.

나의 고난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예수님으로부터 배웠다.

사랑은 고통과 고난과 십자가를 동반하지만 기쁨에 차 있다.

부활을 내다보기 때문이다.

 

부활에 대한 희망이 없다면 고난을 겪어낼 힘이 없다.

그리스도의 고난을 내 믿음으로 받아들이면 관계의 회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멀어져 버린 사람들, 단절된 사람들, 내가 금 밖으로 밀어냈던 이들과

나를 억압하고 방해하고 무시하던 이들에게 따스한 온기를 불어넣는다.

이것은 결코 작은 일이 아니다.

 

말씀이 사람이 되심을 경축하는 성탄의 신비는 죽음과 부활의 신비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이 믿음의 핵심을 이룬다.

 

성프란치스코의 영적 여정이 수난의 사랑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은

내 믿음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관계 속에서 태어나는 성탄의 신비가

나의 고난과 십자가와 죽음을 거처 너를 받아들이는 데서 새로 태어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회심은 자아에 대한 새로운 각성이다.

고난을 통해 우리는 세상에 생명과 힘을 전해 줄 기회가 생긴다.

회심과 회개는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나에게서 내가 죽는 것이지만 나에게 생명을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그러므로 부활을 내다보는 신앙은 아름답고 위대하다.

 

내 인생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우리의 고난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연결되어 있고

그리스도의 고난은 우리의 고난과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살이고 자녀들이다.

그리스도의 생명이 내 안에서 너를 향하여 있을 때

죽는지 모르게 죽는 사랑의 구체적 진실이 드러난다.

성탄과 죽음과 부활의 신비는 하나의 신비다.

이 신비를 받아들이는 것이 신앙의 신비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과 아름다움이 너와 나 사이에서,

모든 피조물 안에서 새로운 창조를 이루어 내신다.

관계의 혁명을 마련하시는 새 창조의 역사에 나를 육화의 도구로 쓰신다.

 

악하고 비뚤어진 세상에 사랑이신 분께서 사람으로 오셨다.

인간의 존엄성에 제한을 두지 않는 사랑이 하늘로부터 우리에게 오셨다.

우리의 눈높이와 동등해지기 위해서 자신을 낮추시어

우리의 발아래서 우리를 올려다보시며 발을 씻으신다.

빵과 포도주로 우리를 먹이시며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로 우리 안에서 샘이 마르지 않도록 하신다.

 

사랑이 강물처럼 흘러가는 유역에 너와 내가 살고 있다.

사랑은 사랑하는 자에게 자기 자신을 내어준다.

사랑은 사랑받는 사람을 깨운다.

 

너도 가서 그렇게 하여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2 하루의 끝시간에 하루의 끝 시간에 존재의 밑바닥까지 아픈 금을 입히는 손길 천만가닥의 파문을 일구어 버린 은빛의 작은 돌 하나 상처를 입고 움츠러들기를 잘하는 영혼 상처와 ... 이마르첼리노M 2014.11.25 1645
821 또다른 자유를 향하여 또 다른 자유를 향하여 정직하게 말하는 것처럼 어려운 화술은 없다. 참말일수록 겉으로 드러내기까지 거부반응이 가로막는 일은 어인 까닭일까, 살고 있으면서... 이마르첼리노M 2014.09.01 1620
820 새로운 교황 1176화 | 2014년 08월 13일 방송 | 지식채널e Thomo 2014.08.24 1617
819 슬픔으로 쓰는 시 슬픔으로 쓰는 시 슬픔으로 쓰는 시를 쓰고 싶다. 눈가에 맺힌 이슬로 보이지 않는 종이에 보이지 않는 글씨로,,, 슬픔은 가난이다. 소유 없는 충족 구름 한 ... 이마르첼리노M 2014.10.30 1606
818 죽 배달 죽 배달   우렁각시가 가져온 맛조개 한 자루 정갈하게 살을 발라 냄비에 담고 찹쌀 한 줌 불려서 죽을 끓인다.   양파 하나 마늘은 몇 쪽 요리저... 이마르첼리노M 2017.08.11 1595
817 '젊은이 성체조배의 밤'에 여러분을 초대하고자 합니다. +찬미예수님!! 가톨릭 서울대교구 인준단체 '사랑이 피는 기도모임'에서 알려드립니다. 가톨릭 교회의 핵심인 성체성사, 즉 예수님과 만남을 통하여 그리... file 테오파노 2014.12.29 1592
816 종교간의대화 T.그리스도의평화 전 이번 가정방문(휴가)때 비슬산 자락에 있는 법왕사라고하는곳에 다녀왔습니다. 왜냐하면 그곳에서 백고좌대설법회가 있어서 였습니다. 약100... 일어나는불꽃 2014.09.29 1561
815 관구창설 80주년 감회 - 이요한(종한)   제목이 어떤 이들에게는 좀 생경스럽지만 이것이 작은형제회라 불리길 몹시 바라는 프란치스코 수도회 한국 관구 홈페이지이니, 프란치스칸 영성과 삶에 사랑과... 2 이종한요한 2017.10.25 1558
814 가을의묵상2-낙엽소리- T.그리스도의 평화 낙엽에서 소리가 들린다. 낙엽에서 소리가 들리길래 무슨소린가 싶어 난 조용이 귀를 기울여 들어보았다. . . . . . &quot;넓은 마당을 보며 낙엽을... 일어나는불꽃 2014.11.15 1550
813 그림그리기 - 내 인생의 오후에 그림 그리기 – 내 인생의 오후에 - 내 인생의 오후를 그려본다. 내 삶과 기억 속에는 노인들과 살아온 경험이 많다. 서울 시립병원의 결핵 환자들 산청 성심원의... 이마르첼리노M 2014.12.22 1541
812 물방울의 행복 마음이 겸손하고  깨끗한 이들은 행복하다. 하느님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작은물방울과도  같기때문이다. 겉으로보기에는  아무것도 아닐지라... 일어나는불꽃 2014.08.17 1539
811 여름과 가을 사이 여름과 가을 사이 사람의 삶은 존재의 어둠을 헤쳐 가는 긴 여로이다. 한 여름 불볕태양이 주는 건 아픔이다. 과육에 단맛이 되는 건   그 아픔이 있기 때문이... 이마르첼리노M 2014.10.22 1528
810 좋은 사제는 사람들을 사랑합니다 ※이 글은 미국 뉴욕에 살고 있는 본인의 친구 장 스테파노 형제님이 본인에게 보낸 것인데, 서로 나눌 가치가 있다는 생각으로 이 형제의 허락을 받아 올린 것입... 1 이종한요한 2015.12.03 1523
809 동식물 축복식에 초대합니다. 평화와 선   피조물을 너무도 사랑한 프란치스코. 피조물을 사다리 삼아 하느님께로 올라간 프란치스코. 하느님 안에서 하느님의 모든 작품들을 형제로 ... 김레오나르도 2014.09.23 1507
808 생명을 주는 믿음 생명을 주는 믿음 사랑에는 무게로 인한 부담이 없다. 자유의 깃털은 무게를 느끼지 않는다. 우리가 십자가에서 일어난 예수님의 자기 헌신에 주목하면 할수록 ... 이마르첼리노M 2014.09.19 1499
Board Pagination ‹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