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2.12.12 15:59

하느님의 어릿광대

조회 수 34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 선

 

프란치스코 성인을 눈여겨 보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당시 유행했던 <음유시인>들의 노래를 즐겨 흥얼거렸다는 것.

두 나뭇가지를 집어들고 바이얼린 켜는 흉내를 내면서 말입니다.

 

시적 감수성이 뛰어난 성인의 마지막 작품인 <태양의 노래>를 음미해 보면,

눈의 계속적인 통증과 함께 소경이 된 상태였고 신비스런 오상(五傷)으로 손,발,옆구리에서 흘러내린 피하며

극심한 소화불량으로 거의 음식을 들지 못하는...어찌 보면 산 채로 겪는 극심한 육체적 순교가 따로 없었습니다.

그런가운데 지은 것이 바로 <태양의 노래>였으니, 그야말로 고통 중에 하느님께 모든 피조물에 대한

찬미와 감사를 드린 기쁨의 극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천진난만한 어린아이나 어릿광대와 같은 넘치는 영감의 끼를 감추지 못,

<태양의 노래>를 불렀다는 것은 인간적인 아이러니를 초월한 모습이었습니다.

그 전반적인 내용을 보면, 하느님 사랑에로의 <우주적인 화합>이요 통합이었으니,

평소 형제들과 함께 대중을 상대로 복음을 설교할 때나 노래를 부를 때마다,

        "여러분, 이에 대한 보수를 주십시오.  여러분이 회개하는 보수를 말입니다." 

 

그때까지만 하여도 성인하면, 십자가의 성 요한과 같이 자연이나 세상 일체에 대한 관심을 떨쳐버리고

신적 체험에 이르는 것이 통례였습니다만,

프란치스코 성인은 자연을 통해, 자연 속에서 하느님을 노래하였으니 그에게-

 

        태양이 형제였고 달은 누님이었으며

        사나운 늑대가 형제였고 귀뚜라미는 친근한 누님이었습니다.

        하늘 까마득히 떠 있는 종달새가 형제였고 지렁이며 궁뱅이,...들조차도 모두가

        한 가족 안의 형제 자매들이었으니까요.

 

하느님과 자연을 그렇듯 구분하지 않고 한 가족의 형제 자매로 여겼다는 것은,

어찌보면 범신론같지만, 모든 피조물이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의미에서

만물을 근본적인 하나의 하느님 사랑 안에서 하나라는 깨달음의 인식에서였으니,

 있는 그대로의 실재성을 하느님 안에 단순한 사랑으로 통합시켜버린

놀라운 신비가였음에 틀림이 없습니다.

 

어느날 있었던 <맛세오와의 일화>도 같은 맥락이지요.

두 갈래 길이 나와 어느 길로 들어서야 할 지 갈피를 못잡을 때,

그가 택한 것은 바로 하느님의 뜻에 의지하는 것이었죠.

그래서 맛세오 형제로하여금 유치한 어린애들처럼 뺑뺑이를 돌려 마지막 멈추게 된 방향으로,

 

         "형제여, 바로 이쪽이니, 어여 갑시다."

 

과연 하느님의 어릿광대다운 소이가 아니겠습니까.

 

또  아씨시의 '구이도' 주교와 행정 장관과의 불화 소식을 들은 성인은,

<태양의 노래>에 이런 소절을 덧붙혀 당사자들에게 노래를 불러 주었지요.

 

         "당신 사랑 까닭에 서로 용서하며

          온갖 비굴함과 고통을 견디는 이들을 통해

          주여, 찬미받으소서!

          끝까지 인내하는 이들이여, 복되다 할 것이니

          지극히 높으신 주님께로부터

          영원한 면류관을 받으리로소이다."

 

서로가 미움으로 옹골져있던 두 사람은, 이 노래를 듣는 순간 용서와 평화의 일치를 비는 성인의 간절함을

족히 헤아렸고, 급기야는 회심의 눈물을 흘리며 서로 포옹을 했다지요.

 

하느님의 음유시인이요 어릿광대에 의한 <태양의 노래>는

과연 "중세 이래로 가장 아름다운 종교시!"라는 격찬을 받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하느님의 어릿광대>란,

하느님을 위해서라면 어떤 수치스럽거나 유치한 노릇이라도 기쁘게 기꺼이 실천한 광대가 아니겠습니까.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7 <공지> 생활단상 게시판 사용 이곳은 생활 단상 게시판입니다. 이름은 거창하나, 특별한 목적을 지닌 게시판은 아닙니다.^^ 생활 속에서 나누고픈 이야기들을 이곳에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 ... 관리형제 2006.01.19 4544
486 <서로 사랑하여라> &lt;서로 사랑하여라&gt;&quot;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quot;(요한 15,12). 탓 없이 억울하게 십자가에서 처형 당하신 그리스도! 죄가 없으면서도 한... 고파울로 2024.05.05 37
485 <재의 수요일> &lt;재의 수요일&gt;&quot;옷이 아니라 너희 마음을 찢어라&quot;(2,13).          1이마에 재를 받으며마음에도 받는다.부드럽고 고운 재를 얹으며말씀의 재로내 마음의 바리사이... 고파울로 2024.02.14 75
484 T 평화와 선 「평화와 선'에 관하여...」  엄격한 규율에 맞추어 십자가를 따르는 기존의 오래 된 엄격한 수도회의 수도자들에 비해, 형제애를 바탕으로 십자가의 삶을 살았던... 김맛세오 2020.10.04 976
483 [re] 깊어가는 가을 산 http://blog.daum.net/god-nim맛세오 수사님, 저는 수사님께서 제가 정동회관에서 결혼할 때 사회를 봐 주셨던 사람입니다. 벌써 28 년이란 세월이 흘렀군요. 그 ... 아녜스 2009.10.24 1673
482 가슴 저미게 하는 이 가을!!! T 평화/선 샛노란 국화가 성거산의 가을을 알리는 신호탄인 양, 선배님들 묘지엔 구절초와 용담이 내일이면 꽃망울을 터뜨릴 새라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하는 시간... 3 2009.09.16 2267
481 가슴으로 키우는 '보나' T 평화가 함께...   보통 평범하다고 하는 만남이나 이야기들이 저에겐 늘 범상치 않은 내용으로 다가 오니, 아마도 그만큼 매사 민감하기 때문인가 봅니다.... 1 김맛세오 2013.08.27 2430
480 가을 야생화- 용담(龍膽) T 평화가 하늘처럼. 며칠 전까지 선배님들 무덤가에 구절초가 물결처럼 피어나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구절초도 여러 종류려니- 예 피어난 구절초를 내 나름대로 '... 2007.10.12 2393
479 가을 하늘과 구름 T 온 누리에 평화 조석으로 선선하니 완연한 가을입니다. 간밤에 쏟아진 비로 덕수궁 돌담길에 떨어진 무수한 은행들을 보니 어김없는 결실의 계절임을.... 김맛세오 2012.10.24 3001
478 가을...! T 온 누리에 평화 휘영청 달이 무척 밝은 걸 보니 '한가위' 명절이 지난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나 보다. 저렇듯 온 누리에 형광등처럼 달 빛이 밝은 날 밤에는, 한... 3 2010.10.23 2569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