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1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스코투스는 성모님을 원죄없이 잉태되심과 관련된 사상적 체계를 세웠다. 그는 그의 하느님관과 다른 생각들과 관련시켜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주장하였다.

스코투스에게 하느님은 사랑이신 분, 선하신 분, 자유로우신 분이었다. 그는 프란치스코의 하느님관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하느님관을 발전시켰다. 스코투스는 말하길, 사랑이신 하느님께서는 세상만물과 사람을 창조하셨는데, 각각을 사랑하시며 창조하셨다. 즉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나인 요셉을 창조하셨다. 철학에서 말하는 본질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바로 구체적인 너 아닌 나, 저것이 아닌 이것을 창조하셨다.

스코투스에게, 사랑이신 하느님은 자유로우신 분이시다. 하느님의 사랑은 인간의 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코투스는 안셀름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속량이론에 영향을 받지만 그 사상에 머물지 않는다. 속량이론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피로 하느님께 인간의 죄값을 갚았다는 것이다. 속량이론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죄값을 요구하시는 사랑과는 거리가 있는 분이 된다. 또한 하느님은 인간의 죄에 영향을 받는 분이 된다. 스코투스는 인간의 죄 때문에 하느님이 성자를 육화시킨 것이 아니라, 당신 사랑 때문에 그렇게 하셨다고 주장한다. 또한 하느님의 육화에 대한 계획은 창조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본다.  사랑이신 하느님께서 당신 사랑 때문에 세상 만물을 창조하셨고, 이 피조물을 완성으로 이끌기 위해 당신의 아드님을 파견하셨다.

스코투스 당시 신학자들은 성모님의 죄에 물들지 않음과 관련하여 주장하는 이론들을 알고 있었다. 신학자들은 성자이신 예수님은 죄에 물들지 않았고, 예수님을 품은 성모의 태도 원죄에 물들지 않았다고 모두 주장하였다. 하지만, 성모님이 언제 원죄에서 해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신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였다. 어떤 학자는 예수님을 잉태하기 전에 하느님께서 성모를 원죄에서 정화했다고 주장하였고, 어떤 학자는 예수님의 잉태와 더불어 혹은 후에 성모가 원죄에서 정화되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여기에, 스코투스는 성모가 잉태될 때부터 원죄에 물들지 않은 가능성을 첨가하고, 이 중에서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의 속성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께서는 성모를 원죄없이 잉태되게 하신 것이다.

우리는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기억하고 경축하며 그 밑바탕에 깔린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 우리의 생각과 사상 너머에 계신 하느님을 알아차려야 할 것이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을 삶으로 알아차리기 위해서 우리는 어떠해야 하나? 성모님이 예수님의 잉태하실 때 보인 그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서 활동하도록 하며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에 육화하도록 할 때, 우리는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 순종이 우리를 속박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유의 세계로 이끔을 만나게 된다. 그 만남을 향해 우리 모두 나아가도록 합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9 복음의 기쁨 -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 복음의 기쁨   사랑받는 기쁨 환대하는 기쁨   가난하고 작아지는 기쁨 견디는 기쁨   공감하는 기쁨 하느님의 함께 계심 안에서 누리는 자유 ... 이마르첼리노M 2014.08.13 1968
648 가을 스케치 1 가을 스케치 말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얼마만큼의 침묵이며 빼어난 그림은 알맞게 자리 잡은 여백이 있다 침묵과 여백은 창조주의 언어요 아버지의 넉넉한 품 ... 1 이마르첼리노M 2014.08.05 2251
647 프란치스코 교종과 프란치스칸 교황 예수 회원인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 (Jorge Mario Bergoglio) 추기경이 교종으로 선출되었다. 선출 직후 어떤 추기경으로부터 “가난한 사람들을 잊지 말... 이종한요한 2014.08.02 3545
646 하늘나라의비유 복음에대한상상(하늘나라의비유) 오늘 작업을 하면서 잘려진 나무에서 새로자라나는 싹을 보았다. 그래서 난 복음말씀에 대한 상상을 한번 해보았다. . . . 어느... 일어나는불꽃 2014.08.01 2221
645 팔월의 크리스마스 팔월의 크리스마스   사월은 슬펐다 오월은 억울하여 유월은 통곡하고 칠월엔 말라버린 눈물이 소금이 되었다.   인간의 탐욕이 저지른 참사 무능... 이마르첼리노M 2014.08.01 2791
644 아침해가 떠오를 때 아침해가 떠오를 때 아침해가 이글거리는 빛 수레를 몰고 와 중천 한 가운데서 빛을 내려 쏟는다. 햇빛이 미끄럼을 타고 내려와 듬뿍듬뿍 쏟아지면 뒤따라오는 ... 이마르첼리노M 2014.07.30 2116
643 나는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 동국대 김익중 교수의 탈핵 강의 - 꼭 들어보시길 .. &lt;embed width=&quot;560&quot; height=&quot;315&quot; src=&quot;//www.youtube.com/v/wctPJzslzh0?hl=ko_KR&amp;version=3&quot; type=&quot;application/x-shockwave-flash&quot; allowscriptaccess=... 이마르첼리노M 2014.07.26 2605
642 안개가 걷힌 세상을 보자 집착이 없는 세상 썩은 나무는 안일하나 생명이 충전하는 나무들은 아프고 위험하며 불타는 목마름을 피할 길 없다. 생명에겐 정체보다 더한 형벌이 없다.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14.07.21 1774
641 비가 내리네 비가 내리네 비가 내리네 초록의 잎새 위에 비가 내리네 연인들의 가슴에 비가 내리네 가난한 이의 어깨에 하염없이 쏟아지는 비 내 작은 가슴을 적시네 너의 ... 이마르첼리노M 2014.07.10 2520
640 비오는 아침에 쓰는 편지 비오는 아침에 쓰는 편지 오늘은 아침부터 비가 내립니다. 신기루처럼 연한 물보라가 서리는 이런 날씨를 두 손에 바쳐 공손히 올리고 싶습니다. 알맞게 적셔지... 1 이마르첼리노M 2014.07.06 3762
639 눈물의 추억 T.그리스도의 평화           초등학교 4학년 시절 당시 내가 살던 곳은   대구 상인동 월촌이라는 동네였다.   그리고 마을 풍경은 말그대로 ... 일어나는불꽃 2014.06.28 2436
638 하늘 정원에 피는 꽃 하늘 정원에 피는 꽃 (신안 지도공소 고사마을의 다섯 자매의 삶을 보며 ) 1 어느 날 하늘 정원에 꽃들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꽃들을 보려고 거기에 갔습... 이마르첼리노M 2014.06.25 2948
637 오감으로 만나는 하느님 오감으로 만나는 하느님 – 2011년 정동수도원 공동체 피정 중에   비가 그치고 활짝 개인 날, 성바오로 피정의 집에서 드높은 메타쉐콰이어의 그늘아래 ... 이마르첼리노M 2014.06.21 2729
636 기쁨 기쁨 새벽에 잠깨면 벌써 술렁이는 마음 연한 슬픔이 연초록 끝에 이슬처럼 달려있다. 아디서 온 것일까 누구에게 온 것일까 밤낮 속으로만 자라더니 이제는 어... 이마르첼리노M 2014.06.16 2399
635 언젠가는 조선시대때에 저 옜날 삼국으로  갈라졌던때를  바라보며  지금은 그렇지가 않으니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던 시절. 지금의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 저 옜날 일제 식... 일어나는불꽃 2014.06.14 2353
Board Pagination ‹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