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1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스코투스는 성모님을 원죄없이 잉태되심과 관련된 사상적 체계를 세웠다. 그는 그의 하느님관과 다른 생각들과 관련시켜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주장하였다.

스코투스에게 하느님은 사랑이신 분, 선하신 분, 자유로우신 분이었다. 그는 프란치스코의 하느님관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하느님관을 발전시켰다. 스코투스는 말하길, 사랑이신 하느님께서는 세상만물과 사람을 창조하셨는데, 각각을 사랑하시며 창조하셨다. 즉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나인 요셉을 창조하셨다. 철학에서 말하는 본질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바로 구체적인 너 아닌 나, 저것이 아닌 이것을 창조하셨다.

스코투스에게, 사랑이신 하느님은 자유로우신 분이시다. 하느님의 사랑은 인간의 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코투스는 안셀름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속량이론에 영향을 받지만 그 사상에 머물지 않는다. 속량이론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피로 하느님께 인간의 죄값을 갚았다는 것이다. 속량이론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죄값을 요구하시는 사랑과는 거리가 있는 분이 된다. 또한 하느님은 인간의 죄에 영향을 받는 분이 된다. 스코투스는 인간의 죄 때문에 하느님이 성자를 육화시킨 것이 아니라, 당신 사랑 때문에 그렇게 하셨다고 주장한다. 또한 하느님의 육화에 대한 계획은 창조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본다.  사랑이신 하느님께서 당신 사랑 때문에 세상 만물을 창조하셨고, 이 피조물을 완성으로 이끌기 위해 당신의 아드님을 파견하셨다.

스코투스 당시 신학자들은 성모님의 죄에 물들지 않음과 관련하여 주장하는 이론들을 알고 있었다. 신학자들은 성자이신 예수님은 죄에 물들지 않았고, 예수님을 품은 성모의 태도 원죄에 물들지 않았다고 모두 주장하였다. 하지만, 성모님이 언제 원죄에서 해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신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였다. 어떤 학자는 예수님을 잉태하기 전에 하느님께서 성모를 원죄에서 정화했다고 주장하였고, 어떤 학자는 예수님의 잉태와 더불어 혹은 후에 성모가 원죄에서 정화되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여기에, 스코투스는 성모가 잉태될 때부터 원죄에 물들지 않은 가능성을 첨가하고, 이 중에서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의 속성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께서는 성모를 원죄없이 잉태되게 하신 것이다.

우리는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기억하고 경축하며 그 밑바탕에 깔린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 우리의 생각과 사상 너머에 계신 하느님을 알아차려야 할 것이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을 삶으로 알아차리기 위해서 우리는 어떠해야 하나? 성모님이 예수님의 잉태하실 때 보인 그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서 활동하도록 하며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에 육화하도록 할 때, 우리는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 순종이 우리를 속박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유의 세계로 이끔을 만나게 된다. 그 만남을 향해 우리 모두 나아가도록 합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6 왜 나는 감동적인 하느님 체험을 하지 못하는가? 왜 나는 감동적인 하느님 체험을 하지 못하는가? 기도 중에 눈물을 흘리거나 감정적인 표현을 잘하는 이들을 보면서, 많은 이들은 “나는 왜 저런 체험을 할 수 없... 1 김요셉 2006.12.10 4823
505 고독한 밤에 고독한 밤에 모두가 잠이 든 시간 홀로 있기위해 일어났다. 고독한 시간이야말로 만사를 있는 그대로 보는 시간이다. 고독이란 외로움이 아니다. 외로움은 혼자 ... 이마르첼리노M 2013.10.10 4825
504 추위 추위 추위 북극 빙하의 계곡에서 살림하던 네가 하얀 서리 수염으로 기르며 얼음 맷방석에 앉아 마른가지 주워 담배를 태우던 네가 오늘은 어인일로 날 찾아 왔... 이마르첼리노 2011.10.29 4835
503 장애인 전동 보장구 지원 안내문 전국 중증 장애인 전동보장구 자부담 구입비용 지원 사업 안내문 주 최 : 사단법인 한국사회복지협회 강남지회 내 용 : 전국 중증 건강보험가입 장애인 전동보장... 사)사회 복지협회 2007.06.21 4843
502 2007년도 봄 영성학교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7년도 봄 영성학교를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일 시 : 5월 8일 ~ 6... 지속적인 성체조배회 2007.04.20 4846
501 성심원 관련 연합뉴스 기사 성심원 노부부의 서울 나들이에 관한 연합뉴스 기사가 다음 사이트에 실렸습니다.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NK:1} 김요한 2007.01.06 4863
500 사랑의 질량 사랑의 질량 농도야 말로 질량의 초점이다. 농도가 큰 善 농도가 큰 진실 함부로 말하기조차 못할 성질의 진하고 진한 농도 불의와 거짓과 왜곡을 견딘 힘의 원... 이마르첼리노M 2014.02.04 4874
499 부활 찬송 부활찬송 용약하라 하늘나라 천사들 무리 환호하라 하늘나라 신비 하늘과 땅아 기뻐하라 찬란한 광채가 너를 비춘다. 기뻐하라 거룩한 백성의 우렁찬 찬미소리 ... 1 이마르첼리노 2011.04.23 4876
498 바람부는 날에 바람 너는 춤꾼 바람 너는 신의 손에든 악기 바람 너는 폭군 바람 너는 연인들의 속삭임 바람 너는 여인의 속살 바람 네가 남쪽나라 갔다 오면 사람들은 옷을 벗... 이마르첼리노 2011.10.31 4887
497 가난과일에 대한 묵상   +그리스도의 평화    가난과 일은 어떻게 본다면   전혀 다른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깊이 있게 생각해 본다면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2 김기환베드로M. 2013.07.12 4890
496 자기인식을 통하여 내면의 힘을 키우는 참자아 찾기 훈련으로 초대합니다 http://www.jjscen.or.kr우리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것은 사랑이다. 그러나 사랑을 주고받는 삶이 어려운 것은, 치유를 필요로 하는 과거의 나, 즉 어린 시... 전.진.상 영성심리상담소 2008.03.12 4898
495 저기... 찬미예수님!! 저는 카톨릭 신자 안드레이입니다. 제게는 소중한 한 친구가있습니다. 제 옆에서 많이 힘들고 어려울때 도와주었고 또 힘이 되어주었습니다. 근데 ... 안드레이 2007.02.02 4900
494 안식일의 주인은? 콜버그라는 심리학자는 사람들을 관찰하면서 도덕적으로 성숙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하였습니다. 그는 단순히 사람들이 얼마만큼 규칙과 법을 잘 지키... 김상욱요셉 2013.09.07 4903
493 굿바이 {FILE:1} 지난 11월 오래간만에 영화를 봤다. 시네마 정동이라는 극장이 바로 옆에 있어도 영화를 잘 보러 가지 않는다. 제목은 '굿바이' 영화 설명 전에 배경 ... file 김요한 2008.12.04 4915
492 애련한 마음이   애련한 마음이   새해도 한 주가 지났다. 오후의 시간을 혼자 보내면서 전에 없는 애련함을 느꼈다   측은하고 사랑스럽기 이를 데 없다. 연민... 1 이마르첼리노M 2014.01.06 4920
Board Pagination ‹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