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세상 종말에 대한 말씀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살라는 말씀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때가 되면 우리가 미사 때 듣는 복음은

세상 종말에 대한 말씀을 듣는다.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미래의 그림 속에서 바라보도록

묵시문학을 통해 말씀하시는 것이다.

 

십자가의 역설을 받아들이면

무질서 속의 질서, 비극을 통한 구원, 죽음을 통한 부활,

인간성을 통한 신성을 이해할 수 있다.

십자가의 역설적인 계시를 믿음 안에서 받아들일 때

비로소 영적인 눈이 열린다는 말이다.

 

의미의 깊은 차원은 무의미성을 은총으로 받아들이는 믿음에서 발견되고

무의미한 것들처럼 보이는 공간을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으로 채우고 있다는 신뢰와 더불어

부정적인 것들과 불합리한 것들을 통합할 능력이 십자가의 계시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역설을 말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십자가의 신비는 삶의 당혹스러운 문제를 푸는 열쇠다.

성전을 정화하는 과정에는 항상 십자가가 놓여있다.

허물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자신이 만든 성전을 허물 때 가능한 일이다.

하느님의 성전을 복구하기 위해 자신의 성전을 허물어야 한다는 말이다.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한 성전을 허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종교심을 믿음으로 착각하고 살아온 이들이 변화를 싫어하는 이유는

변화가 죽음을 암시하고 십자가의 고난을 받아들이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신의 변화는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요구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관계의 변화는 그분과의 관계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무거운 짐과 고생은 십자가를 지는 현장이다.

할 수 없이 지는 짐과 사랑으로 지는 짐에는 무게의 차이가 있다.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은

온유하고 겸손한 사랑을 보여주신 예수님을 따르는 이들에게서 나온다.

십자가는 사랑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다.

십자가의 어리석음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지닌 믿음은

관계를 회복하여 생명과 자유의 길이 되지만

보복적 정의를 내세우는 똑똑하고 총명하다는 이들에게는 감추어진 신비다.

십자가는 비합리적이고 황당하며 죄 많은 것들을 통합시켜

선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십자가의 신비는 사랑의 신비다.

죽는지 모르게 죽는 사랑의 과정이다.

 

오래 견디고, 신뢰하고, 함께 아파하는 마음을 지니고 걷는 여정이다.

치유하는 사랑만이 영적 해방의 길을 열어준다.

 

사랑은 어떤 인과응보의 신학보다 위대하다.

하느님은 생명을 사랑하신다.

자신이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는 사람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생명 있는 것을 사랑하고 보호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분께서는 가장 보잘것없는 그 한 사람을 위해서도

당신의 목숨을 내놓으셨기 때문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의 사랑 안에 참여하는 사랑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느님 안에서

성령과 더불어 아버지의 자비와 선하심에 참여하는 행복이 여기에 있다.

하느님과 나, 너와 나, 그리고 피조물과 나 사이에

생명과 자유를 누리는 관계의 회복,

 

성전을 허물고 성전을 다시 세우는 관계의 혁명이 시작되었다.

종말을 눈앞에 둔 이들이라면 변화의 길로 안내하시는

주님의 영을 따라 하느님의 통치에 내 의지를 맡겨드려야 하지 않을까,

 

세상 종말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살라는 말씀이다.

십자가는 사랑의 계시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9 빗방울 하늘에서 비가 내리고 그 비가 생명이되어 세상과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게 된다. 빗방울이 하늘 위에서 머물러만 있으면 세상과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지 못하지만... 일어나는불꽃 2018.02.20 1100
838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 실수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습니다.. 얼마전에 올라온 게시물 중에, 삭제된 게시물이 있습니다. beatta님께서 올려주신 게시물인데요.. 관리자의 관리 미숙으로 게시물이 삭제되었음에 사과드립니다. ... 1 관리형제 2006.02.27 6282
837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사도 바오로의 회심 축일에   나는 모난 돌이었으나 부딪고 깨어지고 깎이다 보니 반짝이는 조약돌처럼 되어 가고 있다.   나는 내가 살고 싶어 하는... 이마르첼리노M 2022.01.25 447
836 사도바오로의 해를 맞이하여- 터키주교회의 권고서한 크리스챤 정체성을 지닌 증거자요 사도인 바오로 사도 형제자매 여러분 바오로 사도가 로마 교회의 신자들에게 했던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1 터키한인공동체 2008.01.14 20236
835 사람 좀 찾습니다.^&^; 김 성인 미카엘 형제 성대서약하고 어디 머물고 계시나? 연락 좀 주시게...! 대전 누이 1 개미 2006.02.14 5880
834 사람은 사랑의 대상 사람은 사랑의 대상   태초에 하느님은 이렇게 창조 하셨다. 사람은 사랑하고 물건은 사용하라고 재물이 사랑받고 사람이 사용되는 사회 사람을 물건처럼... 이마르첼리노M 2017.02.08 1030
833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   “우리의 모습을 닮은 사람을 만들자” 창세 1,26   나는 나에게 있는 하느님과 닮은 속성을 존중한다. 이것이 다른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0.03.07 586
832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을 믿는 교회에서 하느님이 되어가는 사람으로   믿지 못할 세상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 하나 믿을 수 있는 단 한 사람 그분이 말구유... 이마르첼리노M 2019.12.06 572
831 사람이냐, 시장이냐? 시장이냐? 사람이냐?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느냐?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있느냐?) 언젠가, 어떤 곳에서 소련은 ‘하느님의 나라’의 적이니, 소련의 붕괴를 위해... 김상욱 2007.04.21 4053
830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16
829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사랑 안에 머무는 기쁨   “내가 아버지의 사랑 안에 머물러 있듯이 너희도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게 될 것이다.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 이마르첼리노M 2021.07.18 380
828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사랑과 자비와 은총의 형벌   우리는 죄를 지으면 당연히 벌을 받아야 한다는 징벌하는 정의라는 논리 속에서 살고 있다. 죄인은 이 세상에서 아니면 내세... 이마르첼리노M 2020.06.08 468
827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만드는 변화들   1. 멈춤 통제와 조종 의존하게 만들던 거짓 사랑, 자신을 의롭게 하려고 스스로 부과한 희생   2. 대면 ... 이마르첼리노M 2020.04.03 428
826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이 우리를 살린다.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게 하고 지각과 인식을 방해하는 자기중심성과 이기심, 자기... 이마르첼리노M 2013.03.02 8236
825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매력은 좋은 본보기로 우리를 끌어당긴다. 하느님을 전달하는 가장 구체적이고 섬세한 사랑의  매력이야말... 1 이마르첼리노M 2022.06.02 390
Board Pagination ‹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