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마태12,48)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할 때

우리는 그분의 정배들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천할 때

우리는 그분의 형제들입니다. (마태12,50)

우리가 사랑과 순수하고 진실한 양심을 지니고

우리의 마음과 몸에 그분을 모시고 다닐 때(1코린6,20)

우리는 그분의 어머니들입니다.

거룩한 모범과 행위로써 우리는 그분을 낳습니다.”(마태5,16)

(성프란치스코가 모든 신자들에게 보내신 편지51-53)

 

가난과 겸손은 프란치스칸 삶의 열쇠다.

아버지의 자비와 선하심과 아름다움을 공유하는 선은

정배가 되고, 형제가 되고, 어머니가 되기 위한 내적 가난과 겸손이

하느님과 관계성 안에서 너와 나의 관계성을 통해 모든 창조물과 공유하는

선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성프란치스코는 유언에서

하느님께서 자신을 회개 생활을 시작하도록 해 주셨다.”고 말하면서

하느님을 받아들인 자신의 변화가 역겨워했던 나환자를 받아들이는

관계적 변화로 이끌어 주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피조물의 찬가인 태양의 노래를 불렀다.

여기서 우리는 세 가지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하느님 나라는 이 세 가지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나라다.

하느님과 나, 너와 나, 그리고 창조물과 나와의 관계 속에서 구체화 된다.

 

관계적 선을 실현하기 위하여

통제와 지배를 위한 힘, 즉 자기중심적 힘을 포기하는 구체적 삶으로 표현된다.

가난과 겸손은 내려가고, 내려놓고, 허용하고, 놓아주는 일이며

힘을 포기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만이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다.

하느님의 선하심을 공유하는 선이 행동하는 자비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너를 받아들이고 사랑하기 전에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일이 먼저 할 일이다.

우리는 타인을 사랑하라고만 배웠지,

타인이 나를 사랑하기 쉽게 만드는 데는 노력하지 않았다.

관계를 회복하게 하는 건 나의 변화다.

내가 변하면 관계가 변하고 관계가 변하면 복음이 발생한다.

복음적 자유,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야말로 하느님 나라의 실상이다.

 

다음페이지 (2)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 하느님의 방식 하느님의 방식   진심으로 보고 들으려면 타인의 상황에 몰입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주는 것의 순수한 기쁨은 받는 사람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0.03.18 486
131 하느님의 선택 + 평화와 선 그렇게 괴롭히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시원한 바람이 솔솔~ 불어와 행복을 주고 있습니다. 모든 님들께 주님과 사부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 빕니다.... 정마리아 2006.08.20 5085
130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께서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드시고 코에 입김을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되어 숨을 쉬었다.” (창... 이마르첼리노M 2022.06.09 511
129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 김찬선 신부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340
128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사람에 대한 존중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있지 않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데 있다. 자신이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08.03 655
127 하느님의 자비주일(4월 19일) 전대사 평화와 선 부활대축일 다음 주일에 오는 하느님 자비 주일에 전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은 일반 전대사 받는 조건(고해 영성체 교황님을 위한 기도)에 하느... 권용희 도민고 2009.04.13 7611
126 하느님의 정원에서... 하느님의 정원에서...   가난함과 기도에 피는 꽃 작음과 겸손함에 피는 꽃 사랑과 자비에 피는 꽃 정직과 단순함에 피는 꽃 고요함과 평화에 피는 꽃 자... 이마르첼리노M 2021.10.17 349
125 하느님의 집으로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빛을 주시어 당신의 집으로 향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 자신의 욕심에 눈이 어두워져 하느님의 빛을 소홀히 대... 김상욱요셉 2012.10.06 8946
124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기쁨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기쁨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함께 나누어 너희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젊은 시절에... 이마르첼리노M 2022.01.14 367
123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내가 가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분은 나의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8.08 586
122 하늘 정원에 피는 꽃 하늘 정원에 피는 꽃 (신안 지도공소 고사마을의 다섯 자매의 삶을 보며 ) 1 어느 날 하늘 정원에 꽃들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꽃들을 보려고 거기에 갔습... 이마르첼리노M 2014.06.25 2934
121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평선에 피는 꽃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평선에 피는 꽃   “아버지 집에는 있을 곳이 많다.” (요한 !4,2)   나를 찾아 떠난 여행길에서 나는 보지 못하고 나를 찾으시는... 2 이마르첼리노M 2019.09.02 546
120 하늘나라의비유 복음에대한상상(하늘나라의비유) 오늘 작업을 하면서 잘려진 나무에서 새로자라나는 싹을 보았다. 그래서 난 복음말씀에 대한 상상을 한번 해보았다. . . . 어느... 일어나는불꽃 2014.08.01 2199
119 하늘은 네 안에 있다. 하늘은 네 안에 있다.   아프리카 원주민들 가운데는 갓난아이가 첫웃음을 짓는 날 모두 모여 잔치를 벌인다고 한다. 기쁨으로 빛나는 얼굴과 눈빛 아이... 이마르첼리노M 2020.08.21 522
118 하늘을 품는 땅에 평화가 있다. 하늘을 품는 땅에 평화가 있다.   삶을 이리저리 끌고 가려는 나의 의지 때문에 아버지께서 나에게 주시는 선물을 잃어버린다. 은총은 내가 한 일이 전혀 ... 이마르첼리노M 2020.10.07 449
Board Pagination ‹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