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1.09.26 06:21

찬양의 두 얼굴

조회 수 3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찬양의 두 얼굴

 

믿음의 신비는 역설적인 과정에서 발견된다.

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

믿음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고난을 거처 부활에 이르는 과정이다.

 

두려움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십자가로 인하여

몸이 괴롭힘을 당할까 봐 생기는 것이다.

우리는 마음과 정신과 의지로 몸을 다스릴 수 있다.

마음과 정신과 의지는 내 힘이 아니다.

그것은 위로부터 받은 영의 활동이다.

그러므로 위로부터 힘을 받아 육신을 다스릴 수 있는 자유가 있다.

의지를 항복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그 자유다.

자유로운 선택과 선택에 따른 결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믿음은 결단하는 자의 축복이다.

원천의 에너지요 생명의 에너지인 하느님과 연결된 자가 누리는 축복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고통을 두려워한다.

가능한 한 빨리 그 순간을 벗어나고 싶어 한다.

고통스럽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거나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십자가와 죽음이 없는 부활을 원하지만,

부활의 신비를 깨닫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단순히 고통 없는 영광만을 추구하는 것이다.

부활에 대한 믿음 없이 십자가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도 위험하다.

부활에 대한 믿음 없이 십자가만을 강조하면 에너지 고갈 상태에 이른다.

희망 없는 에너지는 빛이 없는 어둠으로 몰고 가기 때문이다.

찬양을 숨돌릴 핑계로 만드는 사람도 이와 같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땅, 경험하지 못한 자유,

하느님을 믿음의 대상이 아닌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숨을 곳을 찾다가

자아도취적 거룩함과 거짓 의로움을 찬양이라는 포장 속에 숨기기 때문이다.

근본주의자들이 과대 찬양과 지나친 경건, 천박한 경외심을 앞세워

외형적인 전통과 전례에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피조물의 세계가 아름답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찬양으로 그칠 뿐, 창조주의 숨결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찬양은 내면의 샘솟는 기쁨의 표현이지 포장하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이다.

찬양으로 두려움을 숨기는 기술자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신앙만을 위해 일한다.

자신의 두려움이 드러날까 봐 전전긍긍하면서 아닌척하는 것이다.

 

찬양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사랑에 넘치는 감사와 기쁨을 표현하는 최상의 응답이다.

즉 하느님과 나, 너와 나, 그리고 피조물과의 삼각관계 안에서

삼위일체의 하느님 사랑에 참여하는 행복이기 때문이다.

복음이 전해지는 순간들은 하느님께서 자신을 통하여 보여주시는

확산하는 선으로써 하느님의 통치를 드러낸다.

 

우리는 나약한 인간성을 지니고 산다.

하느님의 자비가 구원으로 나타나는 것은,

그분께서 우리의 결핍을 채워주시기 때문이다.

예수께서 오신 목적은 심판이 아닌 구원이라고 하셨다.

 

예수님의 인간성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사람의 인성 안에 깃든 하느님의 신성을 육화라고 고백하는 우리들의 정체성도

그분을 따르려는 우리가 하느님의 선을 공유하는 선으로 표현될 때

우리 안에 깃든 하느님의 신성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주었다.

神話神化로 바꾸는 위대한 전환이 찬양하는 사람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

우리 정체성의 변화는 이 세상을 낙원으로 보게 한다.

 

미래에 있다는 생명은 현실적이지 않다.

지금 여기서 누리는 생명만이 진실하다.

행복한 사람들, 자유를 아는 사람들, 자기 확신이 있는 사람들은

네가 이 땅에 있어서 내가 얼마나 기쁜지 모른다.”라는 말을

누군가와의 관계 속에서 들은 사람들이다.

어린 시절 나는 어머니로부터 그 말을 들었다.

자기중심적인 말로 들릴지 모르지만 나도 나 자신이 좋다.

하느님께서는 누구나 그렇게 되기를 원하신다고 생각한다.

비난하고, 무시하고, 하찮게 여기는 악한 이들 때문에

근심에 차서 일생을 보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당신의 자비와 선하심을 우리가 보고 깨달을 때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우리를 보고 행복해하실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행복해하심을 느낄 때 우리는 살아갈 수 있다.

하느님의 기뻐하심은 우리의 힘이기 때문이다.

내가 하느님을 바라보고, 하느님께서 나를 바라보시는

서로의 눈길 속에 축복이 있다.

 

피조물 속에 깃든 신의 속성 안에서 자기 몫의 삶을 살면서

내적 초월을 향한 힘의 원천으로

관계 안에서 발생하는 고난을 이겨낼 수 있기 때문이며,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을 지고 십자가를 질 때

부활은 이미 자유를 누리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 육화의 신비가 그리스도의 부활을 비춘다. 육화의 신비가 그리스도의 부활을 비춘다.   그리스도 없는 예수, 예수 없는 그리스도 물질 없는 하느님의 영, 영이 없는 물질 십자가 없는 예수, 예수 없는 십...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1 483
191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하느님이 보이지 않는 삶은 유혹에 빠진 삶이다. 인간을 소중히 생각하지 않으면서 하느님을 믿는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자신이...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2 404
190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2,5) 우리는 누구든...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4 413
189 봄비 내리는 아침에 봄비 내리는 아침에   연초록 바다에 드리워진 잔뜩 흐린 하늘 목이 타는 땅의 서러움을 아는지 촉촉이 적시는 가슴에 처연한 슬픔이 강이 되어 흐른다.   가슴 ...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9 315
188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장애아를 가진 어떤 어머니의 기도   주님! 이 아이를 제가 지은 어떤 죄의 결과라고, 저의 탓이라고 생각지 말게 하시고 당신께서 주신 은총의 선물로 생각해서... 2 이마르첼리노M 2022.04.29 409
187 생명의 빵 생명의 빵   하느님과 사람, 사람과 사람, 사람과 피조물과의 관계 안에서 발견되는 하느님의 함께 계심은 하느님 나라의 구체적 진실이다. 하느님 나라는 우리... 2 이마르첼리노M 2022.05.06 390
186 밤비 속에서 2013,10,19 밤비 속에서   빗줄기가 세차다. 홀로 일어나 하염없는 빗속에 나를 놓아둔다.   언제나 차고 넘치는 고뇌 열 손가락으로 감아쥐고도 남는 모순 내 남은 고뇌를 ... 2 이마르첼리노M 2022.05.07 367
185 피조물 안에서 빛나시는 하느님의 얼굴 피조물 안에서 빛나시는 하느님의 얼굴   우주 만물의 모든 피조물 안에서 빛나시는 하느님의 얼굴 오감으로 만나는 신비한 얼굴 생명 있는 모든 존재와 더불어 ... 1 이마르첼리노M 2022.05.13 484
184 아침 단상 아침 단상   1 생명을 내건 올바른 믿음 믿음에 뿌리 박은 확고한 희망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완전한 사랑   2 사람은 사랑을 먹고 산다. 음식으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5.18 361
183 “너희는 언제나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요한 15,9) “너희는 언제나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요한 15,9)   사랑은 몸과 피를 주고받는 인격의 상호성 안에서 사랑이 된다. 내어주는 자와 받아들이는 자의 연... 이마르첼리노M 2022.05.19 480
182 자비의 땅에서 피는 기쁨의 꽃 자비의 땅에서 피는 기쁨의 꽃   자비를 체험하기 위한 유일한 조건은 자신이 자비가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죄인이 아닌 것에 대해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2.05.25 429
181 선물 선물   삼위일체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으로부터 발산되는 선으로부터 창조된 실재는 우리 눈에 보이는 세상이다. 존재하는 모든 만물의 기원이 거기에 있다. 자... 1 이마르첼리노M 2022.05.30 363
180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가만히 있을 수가 없어 함박웃음을 가슴에 품고 ... 2 이마르첼리노M 2022.05.31 488
179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사랑은 매력의 향기로 끌어들여 흠뻑 취하게 한다.   매력은 좋은 본보기로 우리를 끌어당긴다. 하느님을 전달하는 가장 구체적이고 섬세한 사랑의  매력이야말... 1 이마르첼리노M 2022.06.02 388
178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께서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드시고 코에 입김을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되어 숨을 쉬었다.” (창... 이마르첼리노M 2022.06.09 511
Board Pagination ‹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