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1.09.22 05:59

나는 누구인가? (1)

조회 수 3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나는 누구인가? (1)

 

전에는 내가 누구인지를 몰랐습니다.

지금도 나는 내가 누구인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어떤 분이신지를 조금씩 알게 되면서

내가 누구인지도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하느님을 소유하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내가 하느님의 소유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로써 신앙의 본질적인 질문이 하나씩 해결되었습니다.

내가 어떤 존재인가를 발견하면 할수록

다른 사람을 희생양으로 만들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아버지로부터 사랑받는 존재는 인간과 다른 피조물과의 차이가 없습니다.

나는 탐욕이라는 다양한 이름의 중독증을 앓고 있었고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갈증은 커지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나의 이름과 평판을 위한 속임수의 덫에 걸려

그냥 존재하는 것으로는 만족할 수 없었습니다.

자존심과 체면이라는 것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동안

나는 내가 얼마나 사랑받는 존재인가를 몰랐습니다.

무엇인가를 하느님께 해 드려야만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나를 사로잡고 있었기에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중노동에 가까운 기도와 희생을 바쳐야만 했습니다.

 

하느님께 사랑받는 존재는

상을 받거나 벌을 받지 않기 위해 애쓰지 않아도 되며

희생이라는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거저 주시는 사랑으로 깊은 만족을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습니다.

 

온갖 꽃이나 나무들, 온갖 새들과 짐승들,

창조된 자연 생태계의 무수한 살아있는 생명을 살리시는 분께서

나도 돌보신다는 그런 믿음이 없었습니다.

창조된 생명을 끝까지 돌보시는 아버지의 자비와 선하심을 믿지 못하였습니다.

그것은 내가 무지에서 그랬고, 교회의 사목자들이 가르쳐 주지도 않았습니다.

 

내가 처음부터 배웠던 하느님은 무서운 분이셨습니다.

잘못할 때마다 벌을 주시는 하느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나에겐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복을 받기 위해서는 무엇인가를 해야만 한다는 강박과 불안이 늘 따라다녔습니다.

미래에 받을 보상으로 하느님 나라의 행복을 가르치는 교회의 목자들은

지옥과 연옥이라는 틀로 나에게 겁을 주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지켜야 할 것들과 바쳐야 할 숙제들은 날로 커졌고 그 양도 늘어만 갔습니다.

인과 응보적이고 상벌제의 교리는 나를 거룩한 위선으로 끌고 갔습니다.

보이기 위한 동기들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나는 이중 충실성이라는 함정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기려는 이중 충실성은 실현 불가능한 현실이었습니다.

그것은 나에게 출구 없는 감옥이었습니다.

거룩함을 내세워 저지르는 천박한 경외심은 나를 어둠의 세계로 안내하였습니다.

기쁨도 없고, 자유도 없으며, 평화가 없는 출구 없는 감옥은

그렇게 몇십 년 동안 나를 그 속에 가두어 두었습니다.

종교심이라는 틀은 신앙이 아니었습니다.


*** 나는 누구인가? (2)로 이어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 관계성 안에서 태어나는 성탄의 신비 관계성 안에서 태어나는 성탄의 신비   용서 없는 삶은 하느님의 신비에 접근하기 어렵다. 신비에 접근하지 못하는 삶은 하느님을 잃고 방황하게 된다. 자... 이마르첼리노M 2019.12.03 610
271 관계 안에 불을 놓으시는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아름다움이신 성령 관계 안에 불을 놓으시는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아름다움이신 성령   마르틴 부버는 ‘모든 관계는 너와 나와의 관계이며 너와 나와의 관계가 아닌 관계는 나와 그... 이마르첼리노M 2023.08.14 366
270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은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열정을 가지고 따르... 이마르첼리노M 2023.01.13 395
269 관 상 관상 십자가는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주는 거울 거기서 친구를 위해 목숨을 내어 놓는 하느님을 본다. 모든 창조물은 하느님의 좋으심을 보여주는 거울 거기서 진... 1 이마르첼리노 2010.11.30 5088
268 과제 과제   선은 육화한 그리스도의 실재 거룩한 표양과 모범으로 그분을 낳는 일   완성을 향한 성숙의 의무 사랑이 되어가는 여정 닮아가는 여정 ... 이마르첼리노M 2017.07.24 771
267 과정의 진리 과정의 진리   인생의 후반기 삶에는 다 이상 영웅이 될 필요가 없고 참다운 자신이 될 필요만 있게 된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지배하려는 나의 독재성과... 이마르첼리노M 2019.11.12 571
266 과연 우리가 구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신앙인들은 예배가 끝나고 기도를 할 때 항상 주기도문으로 마친다. 항시 기도를 하지만 이 주기도문에는 많은 뜻이 들어 있다. 그중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 정성철 2012.04.08 6905
265 과연 누구에게 영광을? 평화를 빕니다. 모든 본당에서는 작은 성모의밤 부터 본당 전체 성모의밤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 좋은 성모님 달에 저는 마음이 편치 않답니다. 오늘 평화방송 매... 정마리아 2006.05.24 6231
264 과거의 그늘에서는 쉴 곳이 없다. 과거의 그늘에서는 쉴 곳이 없다.   그늘진 곳에서 날 붙잡고 있는 틀 사장님, 교수, 의사, 등등 과거의 타이틀에 묶여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는 틀 과거의... 이마르첼리노M 2019.09.05 536
263 공현의 신비는 사랑의 신비 공현의 신비는 사랑의 신비   “자기가 하느님 안에서 산다고 하는 사람은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처럼 살아야 합니다. (1요한 2,6)   하느님과 연결된 사람... 이마르첼리노M 2022.01.06 373
262 공포와 체념의 무덤을 열고 2 공포와 체념의 무덤을 열고 2   믿음은 확실한 사실들을 모아놓은 결합 상품이 아니다. 믿음은 신비다. 불확실한 미래를 향한 여정이다. 하느님과 인간, ... 이마르첼리노M 2020.04.26 440
261 공존은 자유를 주는 것 공존은 자유를 주는 것   가난한 사람들이 행복한 이유는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으면 가진 것으로 즐기고 만족할 수 있다. 우리... 이마르첼리노M 2021.09.23 386
260 공동체의 가치 공동체의 가치 같이의 가치 가치의 같이 혼자서 여럿이서 이마르첼리노 2010.12.04 5492
259 공동체 피정 공동체 피정 몸은 피곤한데 정신은 초롱하다 공감의 강에서 만난 형제들 가난한 자각으로 돌아본 시간들 위로부터 받은 선물들을 풀어보았다 자비가 크면 선은 ... 이마르첼리노M 2016.12.28 908
258 공간의 사고 채호준 2009.03.11 7741
Board Pagination ‹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