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마태 12,48)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할 때

우리는 그분의 정배들입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 실천할 때

우리는 그분의 형제들입니다. (마태 12,50)

우리가 사랑과 순수하고 진실한 양심을 지니고

우리의 마음과 몸에 그분을 모시고 다닐 때 (1코린 6,20)

우리는 그분의 어머니들입니다.

거룩한 모범과 행위로써 우리는 그분을 낳습니다.”(마태 5,16)

( 성프란치스코가 모든 신자들에게 보내신 편지 51-53)

 

정배요 형제이며 어머니가 되어 예수 그리스도를 낳는 삶에 대한

성프란치스코의 해석이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가 관계 안에서 흘러가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죽음을 받아들인 이들이 보여주는 부활의 표징들은

사도 바오로가 갈라디아 인들이게 보낸 편지에서 언급한 내용을

떠오르게 한다.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내 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갈라 2,20)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마태 12,48) 는 말씀에 대한

성프란치스코의 해석처럼 그리스도와 일치할 때, 아버지의 뜻을 실천할 때,

순수하고 진실한 양심을 지니고 몸과 마음에 그분을 모시고

거룩한 모범과 행위로 그분을 낳는 삶은

자아의 죽음을 넘어 부활의 현존을 체험한 이들의 삶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타인들을 치유할 수 있으며 화해시킬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으며 변화시킬 수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보여주는 부활의 표징들은 기쁨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며,

기쁨이 우리를 치유하기 때문이다.

 

믿음의 여정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하고 결단한 삶은

고난과 실패와 수치라는 죽음을 통과하지 않고서는

부활의 표징으로 드러난 기쁨을 관계 안에서 발생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로부터 거부당하고, 무시당하고,

배척당하는 키질을 당하고 난 후에

회복의 과정을 거쳐 깨달은 것을 신뢰함으로써

비로소 내적인 권위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권위는 누구로부터 공적 인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

섬기는 권위는 아래로부터 오는 권위이기 때문이다.

 

행복한 내리막길을 걸었던 이들이 보여주는 권위는 아름답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와 아름다움은 언제나

그렇게 죽고 부활하는 삶의 형태를 지닌 이들에 의해서

전염병처럼 옮아가기 때문이다.

 

도덕적 실패들이 실제로 약이 될 때가 많다.

몸에 쓴 것이 약이 되는 것처럼,

우리에게 실패와 좌절과 실망을 주는 것들이

성장의 동기가 되고 회복의 동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려갈 때 부서지고, 내려놓을 때 무너지는 자아의 감옥,

자신이 만든 틀과 자신이 만든 원칙과 법은

외부로부터 무너뜨릴 수 없는 철옹성이다.

하지만 자신의 한계를 느끼게 하는 무너지는 경험들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하느님을 거기에서 만난다.

좁은 문으로 남아있는 이 문은 그렇게 죽음의 문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리스도 예수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새로운 권위로 다스리신다.

가난하고 연약한 것처럼 보이고 참담하게 느껴지는 권위로

가난하고 연약하며 참담함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다가가기 때문이다.

고난과 굴욕의 역사를 지닌 우리가

고난과 굴욕의 처참한 형틀에 매달린 그분께 달려갈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고난 속에서 그분과 하나 되었다가 나온 사람들은

기쁨으로 표현되는 삶 안에서 그렇게 부활의 증인이 된다.

그들은 정배요 형제이며 어머니가 되어

그분을 지금 여기에서, 우리의 관계 속에 낳는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가 흐르는 유역에는 그들이 있다.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내 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갈라 2,20)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7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평선에 피는 꽃 하늘과 땅이 만나는 지평선에 피는 꽃   “아버지 집에는 있을 곳이 많다.” (요한 !4,2)   나를 찾아 떠난 여행길에서 나는 보지 못하고 나를 찾으시는... 2 이마르첼리노M 2019.09.02 546
1376 하늘 정원에 피는 꽃 하늘 정원에 피는 꽃 (신안 지도공소 고사마을의 다섯 자매의 삶을 보며 ) 1 어느 날 하늘 정원에 꽃들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꽃들을 보려고 거기에 갔습... 이마르첼리노M 2014.06.25 2934
1375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는 내가 가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분은 나의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8.08 586
1374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기쁨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기쁨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함께 나누어 너희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젊은 시절에... 이마르첼리노M 2022.01.14 367
1373 하느님의 집으로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빛을 주시어 당신의 집으로 향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 자신의 욕심에 눈이 어두워져 하느님의 빛을 소홀히 대... 김상욱요셉 2012.10.06 8946
1372 하느님의 정원에서... 하느님의 정원에서...   가난함과 기도에 피는 꽃 작음과 겸손함에 피는 꽃 사랑과 자비에 피는 꽃 정직과 단순함에 피는 꽃 고요함과 평화에 피는 꽃 자... 이마르첼리노M 2021.10.17 349
1371 하느님의 자비주일(4월 19일) 전대사 평화와 선 부활대축일 다음 주일에 오는 하느님 자비 주일에 전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은 일반 전대사 받는 조건(고해 영성체 교황님을 위한 기도)에 하느... 권용희 도민고 2009.04.13 7611
1370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사람에 대한 존중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있지 않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데 있다. 자신이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08.03 655
1369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 김찬선 신부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 김찬선 신부 1 마중물 2008.01.12 6340
1368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께서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드시고 코에 입김을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되어 숨을 쉬었다.” (창... 이마르첼리노M 2022.06.09 511
1367 하느님의 선택 + 평화와 선 그렇게 괴롭히던 더위도 한풀 꺾이고, 시원한 바람이 솔솔~ 불어와 행복을 주고 있습니다. 모든 님들께 주님과 사부님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 빕니다.... 정마리아 2006.08.20 5085
1366 하느님의 방식 하느님의 방식   진심으로 보고 들으려면 타인의 상황에 몰입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주는 것의 순수한 기쁨은 받는 사람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0.03.18 486
1365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quot;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여라.&quot; (마태 18,22) 일만 달란트나 되는 돈을 빚진 사람이 왕 앞에 끌려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3.03.15 246
1364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하느님의 모성적인 품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는 분명 남성이었지만 그리스도는 남성과 여성성을 초월하시는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은 부성과 모성을 지니... 이마르첼리노M 2021.01.14 456
1363 하느님의 가난 하느님의 가난   삼위일체 신비 안에서 사랑을 배운다. 하느님의 사랑 안에는 소유의 흔적이 없다 “상호 이타적이면서 완전한 자기 증여.”   사랑은... 이마르첼리노M 2017.12.09 1259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