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가난은 여백을 만들어 너를 돌보게 한다.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자기를 버리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마르코 8:34)

 

예수님을 따르기 위하여 자신을 버린다는 것은

지금까지 형성된 나의 모든 가치 체계와 내가 만든 원칙들과

추구하고 있는 이상을 복음적 가치관으로 바꾸는 일이다.

 

새로운 삶은 기도하고 염원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옛것을 끝내야만 새로운 길이 열린다.

옛것을 고집하면서 새로운 삶을 살게 해달라고 기도한들 소용없는 일이다.

자신이 다스리는 왕국을 추구하려는 과거의 나를 유지한 채,

자신을 조금도 바꾸려고 시도조차 하지 않으면서

예수님을 따르겠다고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변화를 부정하고, 허용하지도 않고, 헐뜯으면서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것은,

죽음 없는 부활을 찾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께서 나에게 머무실 공간과 여백을 만들어야 하는데

나로 가득 차 있으면 그분은 이방인이 되기 때문이다.

 

하느님 나라를 찾는 이들의 기본 조건은

나로 가득 찬 나, 내 안에 있는 수많은 나를 밀어내고

오로지 하느님만을 사랑하려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일을 그만두는 것이다.

그것이 가난이다.

가난은 하느님 나라의 행복에 대한 첫 번째 말씀이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행복하다.” (마태 5,3)

이 가난은 현재진행형 가난이며 하느님 나라의 행복을 여는 열쇠다.

눈에 보이는 세계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다.

가난으로 시작된 육화는 예수님으로부터 시작되어 나에게 다가왔다.

 

온전하고 참된 것은,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의 통합에서 나온다.

어느 한쪽만을 고집하면 하느님의 자비는 나를 통하여 너에게로 흘러갈 수가 없다.

우리는 물질적인 것들과 더불어 살면서 물질적인 것들은 하찮은 것이며,

영적인 것은 훌륭하다는 가치를 부여해 왔다.

사람은 영과 육으로 된 생명체다. 영혼 없는 육신도 사람이 아니며

육신 없는 영혼도 사람이 아니다. 그러나 육은 언제나 물리쳐야 할 원수로 여겨왔다.

편한 것과 안전과 즐거움을 찾는 것은 육에서 나오지만

감사와 감동과 감격 또한 육의 감각에서 나온다.

하느님의 말씀이 예수님의 몸 안에서 인격화된 것을 육화라고 하는 것처럼

외적인 것과 내적인 의미가 통합을 이루는 영성의 기초가 거기에 있다.

 

물질과 몸은 영이 숨어있는 장소다.

깊은 만족과 환희, 아름다움의 극치를 느낄 때의 전율은 오감으로 느끼는 것들이다.

감미로움을 몸으로 느낄 때 나도 모르게 노래가 나오고 몸짓으로 뭔가를 표현한다.

그래서 춤을 춘다. 춤은 영과 육의 조화로움과 감미로움에서 나오는 표현이다.

지금 여기서 관계의 깊이 속에 초월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하는 신비의 표현이다.

 

40여년 동안 성프란치스코의 신비적인 관계를 배우고 익히면서 살아온 나는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 사이에서 통합된 경험으로

지금 여기서 땅을 밟고 누리는 하느님 나라의 실재 행복을 손으로 만지고 있다.

 

성프란치스코가 그의 삶에서 맺은 관계들은

복음의 그리스도를 따르는 데서 발견한 새로움이었다.

그는 발견한 것을 중심으로 불합리한 것을 버리기 시작하였다.

그것이 그가 자신을 버리는 가난의 시작이었다.

하느님만을 소유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선하심과 사랑으로, 자신을 채웠던 것들을 버리기 시작하였다.

하느님과 연결되기 위하여 자신이 좋아하고 사랑했던 것들을 포기했던

성프란치스코의 가난은 나에게 있어 그의 생애 전체를 이해하는 열쇠였다.

성프란치스코는 작은 것으로 만족하는 법을 배우고, 불필요한 것에 대해 죽는 것이

하느님의 선하심의 깊이를 아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필수과목이었다.

그는 가난을 통해 자유를 얻었으며, 자유롭기 위하여 끊임없이 가난을 선택했다.

 

우리는 개별적으로 특수하고 비교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이 사랑받고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믿음에 성장하기 어렵다.

가난은 하느님의 사랑을 이해하고 발견하고, 깨달음에 이르도록 우리를 돕는다.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과 선택되었음을 느낄 때 몸과 마음이 해방되는 자유를 누린다.

그것이 구원이 아니겠는가?

 

성프란치스코는 옛것을 내려놓음으로써 새로움을 받아들일 여백을 만든 모범으로

나에게 각인된 분이다.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하여, 성프란치스코를 통해서 보여주신 가난의 길

그 길에서 를 빼놓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가난은 사랑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가난은 여백을 만들고 여백은 하느님의 선하심을 받아들여 너를 돌보는 것이다.

내 의지를 내 것으로 소유하는 악에서 나를 해방하는 가난은 나에게 자유를 가르쳐주었다.

내가 사라진 들녘에서 낙원의 꽃들이 만발하는 모습을 보는 기쁨은

나에게 자유와 행복을 가져다주었다.

나는 그 행복을 지금 여기서 누린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8 화분 그리스도론을 아시나요? +그리스도의 평화 이글은 황종렬 박사님께서&lt;공동선&gt; 2009년 5,6월호에 기재하신 글입니다. “화분 그리스도론”을 아시나요? 그... 김기환베드로M. 2013.03.16 7782
1347 종교문화간 대화 최근 동영상 사진-독일편 종교문화간 대화 최근 동영상 사진-독일편 -무슬림 크리스챤 대화 모임 독일 본 Evangelical Academy -수도원 사원 문화 기행 가톨릭 작은형제회 수도회 복자 둔... 대화일치영성센터 2009.06.09 7772
1346 공간의 사고 채호준 2009.03.11 7738
1345 모욕에 관한 성 프란치스코의 말씀과 인터넷 문화에 대해 성 프란치스코께서 말씀하셨습니다. &quot;모욕은 모욕을 주는 사람의 잘못이지 당하는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quot; (Et sciant, quod verecundia non... 12 고 바오로 2009.06.07 7638
1344 소인은 이기는 것을 좋아하니 ... 남을 의식해서 사는 노예가 되지 말고 꾸밈없이 있는 그대로 사는 마음을 배워야 마음에 자유가 있고 생각에 자유가 있으며 언행에 자유가 있는 생활을 하게 되... 1 인이 2006.09.06 7631
1343 "거룩하신 아버지" 성 다미아노 라는 작은 성당에서 프란치스코는 이런 하느님의 말씀을 듣습니다. &quot;가서 허물어져가는 나의 집을 고치라.&quot; 이 말씀을 듣고 프란치스코는 아버지 가... 1 김상욱요셉 2013.03.24 7622
1342 축복 받은 수도회 + 평화와 선 작년에도 사제/부제품을 많이 받으셨는데 이번에도 역시 많은 형제들께서 서품 받으시는군요. 사부님께서 그만큼 지상에서나 하늘에서나 항상 작은형... 정마리아 2006.06.12 7620
1341 하느님의 자비주일(4월 19일) 전대사 평화와 선 부활대축일 다음 주일에 오는 하느님 자비 주일에 전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은 일반 전대사 받는 조건(고해 영성체 교황님을 위한 기도)에 하느... 권용희 도민고 2009.04.13 7611
1340 수도원 뒷뜰의 봄 http://cafe.daum.net/angellee5030 벚꽃이 눈이 부시다.. 4/10 후원회 미사 후~ 모처럼 미사에 나온 보나와 함께 수도원 뒷뜰로 가 보았다. 보나는 이번에 실베... 안젤라 2006.04.12 7607
1339 볼만한 볼거리 소개 나는 간혹 내 자신이 너무 고상하게(?) 살려다 괴상하게 (?)된 인간이란 생각을 할 때가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영화에 대한 태도이다. 보통 남성이라면 가볍게 ... 이종한 2006.09.20 7585
1338 초대 부산 교구장 최재선 주교님 선종 천주교 부산교구 초대교구장 최재선(요한)주교님께서 2008년 6월 3일(화) 오후 4시 46분경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 선종 하셨습니다. 주교님께서 하느님 품에서 ... 관리형제 2008.06.04 7583
1337 사순절에 피는 꽃   사순절에 피는 꽃 표현할 수 없는 심연의 충일 말로는 못하는 그리움의 충일 슬프도록 아름답고 슬프도록 감미로운 영혼의 충일 존재의 내부에 깊은 골짜기에... 이마르첼리노M 2013.03.08 7577
1336 3월 월피정 안내 3월8일 수요 월피정 공지입니다 ---------------------------- 주 제 : 행복하여라 (시편1편) 장 소 :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준비물 : 간편한 복장, 회비15,... file 김보성 2006.03.06 7575
1335 신부님의 고뇌 ~♬ 5 장 프란치스꼬 2006.07.02 7550
1334 희망의 기도를..... ! 희망의 기도를..... ! 본 문안은 국민들의 행복한 생활을 위하여 귀(개인, 단체, 관공서) 개시판 성격에 관련없이 올림을 양해 바랍니다. 전국의 하나님의 실존하... 무명인 2008.10.31 7531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