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8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따르기 위하여 버리는 나

 

나를 따르려면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루가9,22)

 

예수께서는 내려가는 길을 가르쳐 주셨다.

그러나 우리는 올라가는 종교로 만들고 있다.

꼭대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도덕적 완전함이나 천국 가는 표를 얻기 위해

우리 자신보다 타인을 개종시키고

건강이나 재물, 그리고 성공을 얻기 위해 애쓰는 종교로 둔갑시키고 있다.

업적과 공로로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천국은 이미 지옥의 상태지만

여전히 개인이나 집단, 나라를 식민지로 만드는 지배자와 통치자로 군림하려 한다.

이것은 온통 올라가는 일뿐이며 내려가는 일이 거의 없다.

온통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것이 이것이다.

 

자기를 버리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나를 중심으로 만든 모든 가치체계를 버린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사람들의 평가와 인정을 기초로 삼았던 것을 버린다는 것은

매일 너를 받아들이는 십자가를 져야 하기 때문이고,

알고 있다고 여기는 것을 지워야 하며,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기 위해서

자기를 버리는데 따라오는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사랑하려면 내려가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삶이다.

매일의 고난과 스스로 선택하는 필요한 고난은 자기를 위한 깨달음과

타자들을 위한 자비심의 대가이다.

 

변화된 죽음은 언제나 나를 버리는 죽음과 연결되어 있다.

내려가는 죽음과, 내어놓는 죽음과 허용하고 놓아주는 죽음을 동반하기 때문이며,

꼭대기에서 내려와, 동등함을 넘어 너의 발을 씻으려고 몸을 굽히는 거기에

죽기 전에 죽기, 실천적 죽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지배하고 통치하던 통치를 하느님의 통치에 맡기고 죽기를 각오하고 죽을 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생명이며 부활로 경험한다.

끝없이 올라가려던 내가 예수께서 내려가셨던 길을 배우고,

너와 나의 관계 속에서 하느님 나라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마지못해 죽는 죽음이 아니라 선택하는 죽음으로 바꾸기 시작한다.

그리고 선택하는 과정에 이미 부활하신 분께서 선택할 때마다 함께 하심을 경험한다.

사랑으로 죽는 죽음은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이지

결코 무겁고 부담스러운 짐이 아님을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무도 죽기를 각오하지 않는다.

하느님께 희망을 두지 않고, 가보지 않던 곳을 가야 하는 두려움과 불안 속에서

그렇게 죽으면 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고

결국 내가 통치하던 나라를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게 아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행동하려고 하는 대신 언제나 편한 쪽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타락은 편한 일이다. 몸이 요구하는 것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고 지금 편하면 된다.

나만 좋으면 그만이고, 너는 나의 관심 밖에 있다.

눈앞에 이익과 즐거움이 있다면 하느님까지도 밀려나 있음을 경험으로 안다.

 

여전히 믿음과 희망과 사랑으로 표현되는 행동하는 자비는 한 발도 내딛지 못한 채

방황하고 표류하는 일상으로 다시 돌아간다.

거짓과 포장과 척, 합리화와 위선의 극치 가운데 경쟁하고 높이고 자랑하기에 바쁘고

잘 보이기 위해 증명하려고 애쓴다.

교회로 돌아가 기도와 봉사라는 명목으로 남들이 다 아는 가짜로 행세하려 한다.

 

관계 안에서 발견되는 하느님 나라는

하느님께 무엇을 많이 바쳐서도 아니고 계명을 잘 지켜서도 아니다.

그리스도 예수를 따라 변화된 죽음을 거쳐 부활에 이르는 길

너를 받아들일 공간을 만드는 십자가의 길을 선택할 때 발견되는 나라다.

 

따르는 길이 목적이지 지키고 바쳐서 복을 받는 길이 아니다.

사랑이 목적이지 기도가 목적이 아니다.

그 많은 기도가 관계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 그러한 기도는

자신을 의롭게 만들어 꼭대기에 올려놓을 뿐, 아무것도 아니다.

 

하느님께 항복하는 믿음은 너를 통제할 필요성을 포기하며 마침내 관계가 꽃피도록 돕는다.

그것은 매번 선택하는 일이며 그 선택은 일종의 죽음이다.

내가 죽는다고 내가 잃을 것은 하나도 없다.

변하고 성장하는 것은 현재 상태에 대해 죽는 것을 통해서이다.

위험을 감수하는 상실과 갱신이라는 끝없는 자신과의 싸움이다.

살아 있다는 것은, 이처럼 불가피한 흐름을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너는 언제나 고분고분한 네가 아니고 차이와 다름으로 나를 괴롭게 하는 너이다.

예수께서 보여주신 그 변화의 길을 따르기 위하여

작은 것들을 내려놓을 때 큰 것들이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하느님의 허용을 배워 누구나 자기 몫의 삶을 자유롭게 살아가도록 허용해야 한다.

이것은 매우 가시적이고 실재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죽음 뒤에는 반드시 생명을 다시 찾는 부활이 있다.

 

나를 따르려면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루가9,22)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굿뉴스 2021.05.02 06:13:32
    영보님 건강하시죠?
    지구사무실 이전문제로 일파만파 분열조짐이 있습니다.
    해당봉사자와 평의원들이 꼭 이글을 읽고 회개하지 않으면 힘들시간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 틀을 바꾸는 기쁨의 예언자들 틀을 바꾸는 기쁨의 예언자들   자기만족을 얻기 위해 하느님을 끌어들여 하느님과 거래를 하는 사람들, 사후의 처벌과 보상에만 눈이 멀어 지금을 잊고 사는 사... 1 이마르첼리노M 2022.07.04 407
312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가을볕 한 아름 들판이 빛난다. 막 잠을 깬 창공, 폭포처럼 쏟아내는 빛줄기, 구름 사이로 세수한 얼굴 내밀며 황금빛 잔칫상... 이마르첼리노M 2019.10.10 407
311 멈추는 일과 쉼 속에서 만나는 하느님 멈추는 일과 쉼 속에서 만나는 하느님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   휴가 1 바라봄 초원의 하루가 시작되었습니다. 가을 전령사들이 연주하던 교향곡도 마... 이마르첼리노M 2023.09.14 406
310 기도와 단식과 자선의이해 기도와 단식과 자선의 이해   오늘 교회는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종교적 신심을 전해준다. 사순절을 시작하는 오늘 들은 복음은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관한 이야...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2 406
309 답을 찾는 세상에서 찾은 답을 지우고 답 없이 살아가는 믿음 답을 찾는 세상에서 찾은 답을 지우고 답 없이 살아가는 믿음   복음적 자유는 고착된 답을 버리는 자유다. 그날그날의 만남과 관계 속에서 필요성에 의해 ... 이마르첼리노M 2021.07.29 406
308 응시 응시   체험하고도 표현하지 못하는 사실들을 신뢰할 수 없다면 표현된 언어도 신뢰하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표현하지 못한 채 숨겨진 진실이 더 많기 ... 이마르첼리노M 2021.02.10 406
307 의식으로 통제하는 무의식 의식으로 통제하는 무의식 자신을 중심으로 사는 사람은 몸의 요구에 따라 사는 사람이다.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더불어 안전에 대한 욕구... 이마르첼리노M 2020.02.09 406
306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진 복음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진 복음   교회가 처음 생겨났을 때, 교회는 가난한 자들의 교회였다. 복음은 당시 어부들을 중심으로 하류 계층에 먼저 전파되었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9.03 405
305 당신이 그 사람이다. 당신이 그 사람이다.   사랑받지 못하면 사랑할 수 없다. 자기 아들과 딸을 사랑하지 못한 부모는 그 자녀들이 남을 사랑할 수 없다는 현실을 보게 된다. ... 이마르첼리노M 2019.09.25 405
304 아버지께서는 아버지의 일을 하시고 아버지께서는 아버지의 일을 하시고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의 선하심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선하신 하느님께서는 창조를 통해 당신의 선하심과 아름다움을 ... 1 이마르첼리노M 2021.08.09 404
303 바람이 되어 바람이 되어.   탱자나무 가지에도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고 싶다.   불고 싶은 데로 불고 가고 싶은 데로 가며 어디든지 어루만진다.   어... 이마르첼리노M 2020.11.21 404
302 마음의 자리를 누가 차지하게 할 것인가? 마음의 자리를 누가 차지하게 할 것인가?   우리는 보고 있는 것에 익숙한 나머지 보지 못하던 것을 볼 때 놀라움을 경험하는데 하느님을 체험하는 것은 ... 이마르첼리노M 2020.02.29 404
301 보험 보험   불확실한 현실이 주는 두려움에 직면하면 보험을 든다. 확실해 보이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험이 하느님 나라의 대체 수단이 되... 이마르첼리노M 2020.01.13 404
300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웃음꽃이 핀 곳에 부활이 있다.   하느님이 보이지 않는 삶은 유혹에 빠진 삶이다. 인간을 소중히 생각하지 않으면서 하느님을 믿는다고 말할 수는 없다. 자신이... 1 이마르첼리노M 2022.04.22 404
299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어머니가 그리운 밤에   진심은 그 지향이 무엇이건 아름답다. 진심을 키우는 이들, 이를 지키고 어려움 중에도 옹호하는 이들, 충실하며 속이 실한 단합... 이마르첼리노M 2019.10.14 402
Board Pagination ‹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