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1.04.02 06:39

성금요일의 묵상

조회 수 57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성금요일의 묵상

 

십자가의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사랑

 

용서하는 사랑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루가 23, 34).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너는 오늘 나와 함께 낙원에 있을 것이다.” (루가 23, 43).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 가운데 가장 큰 법은

용서가 주는 자유로 사람을 살리는 법이다.

창조 때 받은 사랑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최상의 해방이 여기에 있다.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용서로 다시 시작하는 관계에서는

먼저 용서를 청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하느님 앞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다면

잘못을 저질렀던 사람에게 솔직하게 먼저 용서를 구해야 한다.

이것은 나를 내려놓는 죽음이다. 십자가의 예수님으로부터 배우는 죽음이다.

거저 받은 용서를 되돌려드리는 사랑의 구체적인 응답으로 용서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끼친 해로움을 용서할 때

우리가 집착했던 감옥으로부터 해방되는 자유를 얻게 된다.

 

무자비한 사람은 무자비한 심판을 받습니다.

그러나 자비는 심판을 이깁니다. (야고보 2,13)

 

원수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가 당하는 해로 말미암아 괴로워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영혼의 죄로 말미암아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가슴 태우는 사람입니다.” (성프란치스코 권고 9)

 

우리에게 부당하게 번민과 괴로움, 부끄러움과 모욕, 고통과 학대,

순교와 죽음을 당하게 하는 모든 이들이 우리의 벗들입니다.

그들이 우리에게 끼치는 그 해로움 때문에

우리들은 영원한 생명을 누릴 것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극진히 사랑해야 합니다.” (성프란치스코 1회칙 22, 3-4)

 

2. 견디는 사랑,

나의 하느님, 나의 하느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습니까?” (마르코 15, 34).

목마르다.” (요한 19, 28).

다 이루어졌다.” (요한 19, 30).

아버지, 제 영을 아버지 손에 맡깁니다.” (루가 23, 46)

힘 있는 분이 힘을 포기하는 사랑.

아버지로부터 받은 신적인 힘을 다른 사람은 살리는 데 사용했지만

자신을 위해서는 내려놓는 가난이었다.

이것은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 겪으신 가장 큰 유혹이었다.

예수께서는 당신의 자유로 이 죽음을 받아들이기로 선택하셨다.

내가 가진 힘을 사용하고 싶은 유혹이 있을 때 달려가야 할 곳이 여기에 있다.

 

3. 성모님을 우리의 어머니로 주신 사랑

여인이여, 보십시오.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이분이 네 어머니이시다.” (요한 19, 26-27).

 

우리가 쉽게 달려갈 수 있는 어머니의 품이 있다는 건 위로가 된다.

아버지의 넉넉한 품으로 상징되는 어머니의 품

부성과 모성으로 나타나는 인간적인 품이다.

 

십자가의 예수께서 보여주신 사랑

아버지의 이름과

아버지의 나라와

아버지의 뜻을 이루기 위해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선택과 결단이었다.

 

우리 믿음의 출발이자 마침이 되는 사랑

인간사의 모든 해답이 되는 사랑

묶여 있는 모든 것으로부터 해방되는 자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십자가의 학교에서 사랑을 배운다.

 

친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내어놓는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나는 이제 너희를 종이라고 부르지 않고 친구라고 부르겠다.”(요한 15,13)

 

인간이 무엇이길래 이토록 돌보시나이까? (시편 8,5)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2 기쁨의 샘 기쁨의 샘   공복의 기쁨 가난이 주는 기쁨 어느 것도 내 것으로 하지 않는 기쁨 돌려드리는 기쁨   보상을 바라지 않는 기쁨 선의 흔적을 지우는... 이마르첼리노M 2017.10.13 1234
731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신앙인들의 기도는 기적을 만든다.”   프란치스코 교종은 지난 1월 12일 숙소인 산타 마르타의 집 미사 강론을 통해 기도는 자비를 잊어버린 굳은 마음을 부... 이종한요한 2016.01.15 1241
730 흔적 없는 흔적 흔적 없는 흔적     실패와 결핍은 생명과 사랑의 안내자 부활의 증인되어 실수에 대한 자비로 서로를 채운다.   긍정하는 기쁨은 창조의 도구... 이마르첼리노M 2017.08.14 1246
729 그리움은 사랑을 낳고 (겨울밤의 회상노트) 그리움은 사랑을 낳고 (겨울밤의 회상노트)   1 새날을 알리는 안개 같은 여명 섣달그믐을 사흘 남겨둔 밤 자정을 넘긴 시간에 책상 위에 놓인 십자고... 이마르첼리노M 2016.02.05 1258
728 하느님의 가난 하느님의 가난   삼위일체 신비 안에서 사랑을 배운다. 하느님의 사랑 안에는 소유의 흔적이 없다 “상호 이타적이면서 완전한 자기 증여.”   사랑은... 이마르첼리노M 2017.12.09 1259
727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사랑이 머물다간 자리 새벽의 첫 시간 재단 위에 어둠을 밝히는 가장 외로운 촛불 하나 마지막까지 남아있을 빛으로 누구도 빼앗지 못할 진실로 불탑니다. 서로... 1 이마르첼리노M 2015.02.06 1261
726 ★ 2018 포르치운쿨라 행진을 시작하며 바치는 기도 ★ 포르치운쿨라 행진을 시작하며 바치는 기도 주님, 이집트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길을 나선 것처럼 일상생활의 습성에 노예처럼 길들여... file 김레오나르도 2018.07.26 1262
725 충족 충족   행복 채워서 얻으려다 얻지 못하는 것   공허 채울수록 커지는 것   풍요 비울수록 채워지는 것   희망 절망에서 출발해야 얻는... 이마르첼리노M 2016.01.13 1263
724 케익속의지혜 케익을 만들기 위해서는 배운기술을 반복 연습하는 단순함과 잘되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인내심과 케익을 열심이 배우고자 하는 항구함을 필요로 한다. 예수... 일어나는불꽃 2015.04.03 1265
723 역설의 대림절 역설의 대림절   대림절은 기다림의 시기 가톨릭교회는 첫 번째 오신 분의 성탄을 기념하고 두 번째 오실 분의 재림을 기다리는 시기라고 말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14.12.04 1275
722 2016년 포르치운쿨라 행진 (2016.7.31 일요일) 포른치운쿨라 행진 열번째 날 기록 사막의 오아시스라는 것이 아마 이런 것일 듯하다. 산청군에서의 폭염재난 방송을  들으며 숲속 콘크리트 길을 지나 오늘의 목... 김레오나르도 2016.08.01 1278
721 영광 교황님을 만나뵙고 악수하고 인사하고 대화를 나누는것도 영광스러운 일이나 그보다 더  영광스러운 것은 삶의 자리에서 하느님의뜻을  실천하였을때가 더 영광... 일어나는불꽃 2014.09.06 1279
720 겨울밤의 사유 겨울밤의 사유   한 자루의 촛불이 불탄다. 은수자의 마음처럼 맑고 투명하다. 촛불 앞에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합장하는 것 하나의 손이 다른 손을... 이마르첼리노M 2014.12.16 1283
719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사방에서 생명이 움트고 땅은 맥박이 뛰기 시작했다. 얼마나 춥고 손 시려운 상황들로부터 이렇듯 연연한 꽃과 새 잎들이 돋아나는지 ... 이마르첼리노M 2015.04.24 1287
718 ★ 2018 포르치운쿨라 도보순례 첫째 날★(2018.7.24) ★2018 포르치운쿨라 도보순례 첫째 날★(2018.7.24) 7월 24일 화요일 장소 : 다락골 성당          (다락골 줄무덤성지) 거리구간 : 25킬로 미사와... file 김레오나르도 2018.07.26 1289
Board Pagination ‹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