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네가 행복할 때 나도 행복하다. (구원의 보편적 의미)

 

누구나 슬픔과 고난의 짐을 홀로 질 수 없기에

내 몫의 작은 십자가를 지는 것은 누군가에게 어떻게든 도움이 된다.

십자가에 달리신 하느님은 나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우리들의 관계 속에서 우리와 함께 겪으시는 고난을 보여주는

극적인 상징이 되었기 때문이다.

 

사랑과 자비가 육화되는 현장에는 관계적 구원으로 서로에게 생명을 준다.

나 자신의 변화가 그리스도 예수께서 보여주신 길을 걸으면서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내가 육화의 도구로써 감당해야 하는 길이

결국 십자가에서 너를 위해 내놓게 되는 생명이기에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는 나를 통하여 너에게로, 흘러가는 선의 확산이며

선의 확산이야말로 가정과 공동체와 국가를 넘어

온 세상으로 퍼져나가는 씨앗이 된다.

 

인류의 보편적인 열망과 연대하는 씨앗,

혼자 짐을 지는 것은 누구나 힘든 일이지만

사랑하는 이를 위하여 목숨을 내놓는사랑이

보편적 현상으로서의 부활을 이해하도록 해주었다.

이로써 나는 나의 연민에 빠져 자신에게만 몰두하는

개인적 구원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복음을 개인적 보상과 처벌이라는 관점에서만 읽게 되면 관계를 잃어버린다.

나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너를 외면한 채 사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그 많은 기도와 재능과 재물의 봉헌이,

계명과 규율을 지키기 위해 노심초사했던 일이

나만의 구원을 위해 했다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구원은 개인적으로 완전하게 되어서가 아니라

몸의 한 부분이 됨으로써, 관계 안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복음을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읽을 때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들 가운데 하나는

성직자들이 상벌을 통해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벌의 틀에서는 관계적 사랑으로 드러나는 자비와 선이 아니라

권위에 대한 순종이 최고의 미덕으로 남는다.

 

아버지 모두가 하나가 되게 하여주십시오.”(요한 17,21)

서로에 대한 수평적 책임성, 관계적 책임성, 연대적 책임성을 가지라는 말씀이다.

 

나는 40여 년을 수도회에서 살아왔다.

2차 바티칸 공의회 전에 태어났던 나는 당시에

유일하게 칭찬받고 격려를 받던 것은 교회에 대한 순종과 충성이었다.

아무도 어떻게 사랑할 것인지를 가르쳐 준 사람이 없었다.

오직 천국에 가려면 지키고 바치는 일을 잘하는 것이 전부였다.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맞추라는 것이 전부였다.

 

성직자들이 성직에 임명된 것은,

학교 시험에 합격해서이지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이 아니었다.

내가 겪은 사제들은 하느님의 신비를 가르쳐주기보다는

믿는 신자들을 늘리는데 더 많은 정성을 기울였다.

신자들을 늘리는 것은, 마음과 실체적 변화를 주는 것은 아니다.

예수그리스도를 따르기보다 예배에 초점을 맞추라는 것이 대부분의 강론이었다.

계명을 잘 지키고 기도를 바치고, 재능을 바치고, 주일 헌금과 교무금을 잘 바치는 것이

죽음 이후에 보상을 받게 될 것이며 지옥의 처벌을 피하는 방법이었다.

 

아버지가 돌보시는 모든 생명체와 생태계가 겪는 고난의

공동체적 의미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개인의 안전과 건강을 추구하는 복을 주시라고 지키고 바치는 일에 전념할 것이다.

업적과 공로로 개인적 구원에 힘쓰는 사람들이 모인다고 해서 공동체가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적 구원에 매달리는 사람들은

경쟁하고, 차별하고, 비교하고, 무게를 달고 측정하며, 딱지를 붙이고 계산할 것이다.

 

우리는 서로에 대한 관계 안에서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게 되기까지

하느님과 더불어 살고 죽는 것을 배우는 사람들이며

우리의 결함과 나약함과 죄에도 불구하고 용서를 받았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우리를 자유롭게 만드는 복음은 하느님이 무엇보다 전체를 구원하신다는 것이다.

자발적인 선의 확산으로 인류를 구원하는 것, 이것이 복음이다.

자발적인 선의 확산은 사랑하는 이를 위하여 십자가를 받아들이는 일이다.

그리고 나는 전체에 참여하는 존재로 삼위일체 하느님이 베푸시는 잔치에서 복을 누린다.

이것이 내가 하느님의 함께하심 안에서 누리는 자유이며 하느님 나라의 내용이다.

 

네가 슬픔 중에 있는데 내가 기뻐할 수 있는가?

네가 고난받는데 내가 행복할 수 있는가?

네가 행복해야 내가 행복할 수 있고

네가 자유로워야 내가 자유로울 수 있다.

네가 기쁠 때 나도 기쁘다.

우리가 기쁠 때 하느님께서 기뻐하실 것이다.

주님의 기뻐하심은 우리의 힘이다.

우리는 생명의 에너지를 거기서 받는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7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페넬로페 롤란드스가 편집한 작품 ‘Paris Was Ours’에서, 기고자들은 외국에서 온 작가들이 프랑스에 살 때 만나는 ... 김상욱요셉 2023.10.23 223
1426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하느님 사랑의 거울 앞에 서면 계산기가 사라집니다.   피정하는 시간은 깊이 바라보는 시간입니다. 나는 가끔 나의 내면에서 벌어지는 드라마를 주관적으로 판... 이마르첼리노M 2024.01.24 223
1425 부활하신 주님의 영에 사로잡혀 아직 걸어가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 부활하신 주님의 영에 사로잡혀 아직 걸어가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   창조는 하느님 사랑의 표현이자 사랑의 대상이었습니다. 사랑으로 창조하신 피조물을 통... 이마르첼리노M 2024.04.02 223
1424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 이마르첼리노M 2023.09.19 226
1423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기대감을 포기하면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기대감은 자신이 했던 어떤 행위에 대한 보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크든 작든 ... 이마르첼리노M 2023.06.25 228
1422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는 주일과 대축일에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을 합니다. 신앙고백은 12가지의 믿... 이마르첼리노M 2024.02.11 231
1421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위대한 사랑은 인간의 자유가 사랑을 위해 쓰일 때 가장 위대합니다. 위대한 고통은 벗을 위해 ... 이마르첼리노M 2023.06.06 232
1420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 살겠다고 선언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2.28 232
1419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기 무엇이 진실로 좋은 것인지를 가려내는 영적식별은 때때로 꽤 쉽다. 상황은 옳은 것을 제시하고 당신은 즉각적으로 무엇을 해야하는... 김상욱요셉 2023.08.19 233
1418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겸손과 같이 일상에서 만나기 쉽지 않은 또 다른 덕은 감사함이다. 감사의 필요함은 신약의 나병환자 열 명 비유 말씀에 강하게 나타난... 김상욱요셉 2023.08.28 233
1417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은 성프란치스코를 완전히 사로잡은 하느님의 매력이었습니다. 겸손은 ... 이마르첼리노M 2024.02.26 233
1416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우리는 내적 양성의 중요한 목표를 때때로 간과하는데, 그것은 다른 이에게 더 풍요롭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열리는 것이다. 우리가 이것을... 김상욱요셉 2023.08.01 236
1415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삼위일체 하느님은 신적 생명에 참여하도록 우리를 매력으로 끌어들였다. 선과 자비라는 매력에 이끌린 사람은 관계 속에 선을 행... 이마르첼리노M 2022.12.09 239
1414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1413 얼굴 얼굴   풍랑이 이는 바다 감출 수 없는 진실   우상 앞에 놓인 제물 단절과 부재의 땅   허물어진 성전 회칠한 무덤 가짜들의 천국 진짜들의 지옥   청옥 빛 눈망... 이마르첼리노M 2023.09.18 24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