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회개 (속죄양을 만들기를 멈추는 것)

 

떠넘기려는 마음이 만든 속죄양

인간의 역사는 속죄양을 만드는 역사였다.

자신의 죄를 다른 누군가에게 전가해서

부당하게 만들려고 하는 욕구는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것이 폭력이다.

이러한 폭력은 폭력을 낳고 그 폭력의 역사가 인간의 역사가 되었다.

눈은 눈으로, 앙갚음의 반복, 그것도 갑절로 갚으려고 싸우는 역사였다.

거기에 더하여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은 이 땅에 평화를 전쟁의 역사로 만들었다.

 

악을 악으로, 힘을 힘으로, 폭력을 폭력으로 갚으려는 정의는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다.

인류에게 재앙이 된 것은 하느님이 하신 일이 아니다.

 

하느님의 어린양이 되신 예수께서는 이러한 폭력 앞에

연약하고 무력하게 십자가에서 당신의 생명을 내놓으셨다.

힘이 없어 마지못해 내놓은 생명이 아니다.

폭력을 종식 시키는 현장에는 희생양이 되어 자신을 내어놓는 생명이 있다.

폭력을 비폭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난을 전가할 필요성은 우리에게 정직하지 못하도록 한다.

우리의 관계들을 들여다보면 얼마나 많은 진실이 왜곡되거나

거짓말과 합리화, 탓을 상대방에게 돌리고 있는지 놀랍도록 경험한다.

자기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자기중심적 망상이야말로

흔히 타인들을 십자가에 못 박는다.

속죄양을 만드는 사람은 타인을 십자가에 못 박고 있으면서도 그 사실을 자신만 모른다.

자신의 명분을 내세우거나 자신은 언제나 진실하고,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모르고 있습니다. (루가23,34)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한다. 이런 면에서는 천부적이고 천재적이다.

이런 면에서 모두가 죄인이라고 말하는 바오로 사도의 말에 공감하고 동의한다.

 

예수께서는 너희를 죽이는 사람들이 그런 짓을 하고도 오히려

하느님을 섬기는 일이라고 할 것이다.”

회개를 한다는 것은 이러한 속죄양을 만드는 일을 멈추는 일이다.

정직하게 실수를 인정하고 깨끗한 양심으로 진실을 말해야 한다.

기도와 자선과 단식을 하기에 앞서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왜냐하면, 피 흘리는 관계를 지속하면서 자신만 의롭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슬프게도 하느님을 믿는다고 하는 이들이 신앙이라고 하는 틀 속에 은폐하는 것이

속죄양을 만들면서도 아닌 척하는 것이다.

그것이 죄라고 부르는 것이 아닌가?


예수께서는 우리의 거짓을 드러냄으로써 모두가 볼 수 있게 하셨다.

그분은 십자가에 달리셔서 그 모든 비극 속에 들어있는 거짓을 볼 수 있게 하셨다.

이것이 예수께서 십자가에 드러내신 감춰진 인간의 죄다.

예수께서는 십자가에서 인간의 이 죄를 패배시켰다.

우리는 속죄양을 만들며 사람을 죽이는 일에 동참하면서도

세상을 파괴하는 이러한 죄들은 덮어두고 개인의 육체적 죄에 매달린다.

 

그분이 오시면 죄와 정의의 심판에 관한

세상의 그릇된 생각을 꾸짖어 바로잡아 주실 것이다.” (요한 16,8)

우리가 하는 기도가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생각을 바꾸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마음을 바꾸기 위해서 하라고 바로잡아 주실 것이다.

그분께서는 우리 자신에 관한 우리의 생각,

선과 악이 정말로 어디에 있는지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기 위해 오셨다.

우리의 회개는 여기에 초점을 맞춰야 하지 않을까?

 

십자가를 바라보면서

사람을 죽이는 피 흘리는 관계 속에서 희생양을 찾는 나의 죄를 바라보게 하시고

당신의 수난이 결국 나의 죄로 말미암은 것이라는 인식에 도달하도록

내 마음을 비춰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해야 하지 않을까?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 1,15)


회개하는 것이 복음이다.

복음이 발생하는 곳에 하느님 나라가 있다.

그 나라에 머무는 사람은

생명의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관계를 회복하고

하느님의 자비하심과 선하심이 드러나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거기에서는

누군가를 탓할 필요도 없고

원망할 필요도 없고

비교할 필요도 없고

스스로 높일 필요도 없으며

증명할 필요도 없고

경쟁할 필요도 없고

포장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여기에 너무나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지 않은가?

 



 


2021, 2,21

사순절 제1주일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깨죽에 떨어진 눈물 깨죽에 떨어진 눈물   구름모자 카페에서 깨죽 한 그릇씩 앞에 놓고 깨죽이 불러온 사연들 서로 다른 모성의 회상 회상의 거울 앞에선 비정의 어머니와 ... 이마르첼리노M 2019.12.23 394
341 깨어남과 깨어 있음 깨어남과 깨어 있음   언제든지 선을 행하려고 깨어있는 사람은 현재의 자유로 희망의 봉오리를 연다. 측은하고 가엾이 여기시는 하느님의 마음을 지니고 ... 이마르첼리노M 2020.10.30 414
340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우리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면서 나에게서 내가 해방되는 삶이 믿는 이들이 누리는 기쁨이며 하느님 나라 행... 이마르첼리노M 2023.12.04 140
339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은 성령의 선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 내용에 들어가 보면 단순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깨달음은 알... 이마르첼리노M 2019.09.17 472
338 깨달음 깨달음 스스로를 낮추다가 이르는 바닥 스스로를 높이다가 추락하여 이르는 바닥 욕정을 채우다가 타락하여 이르는 바닥 바닥을 알면 높이를 안다 높이를 알면 ... 이마르첼리노 2011.04.21 4069
337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음이 깨어남으로, 깨어남이 깨어있음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지 않으면 신앙이 근거를 두는 삶의 의미... 이마르첼리노M 2021.05.20 615
336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67
335 김찬선 신부님 평화방송 영성의향기 방송 시간 평화와 선 기쁜 성탄 보내세요 김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께서 평화방송 영성의향기에 출연하시어 강의를 하신 것은 이번주에 방송 됩니다. 월요일 밤 11시 수요... 정마리아 2007.12.24 6141
334 김찬선 신부님 영성의 향기 제2강이 방송되고 있습니다. 평화와 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주에 이어 2강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라는 주제로 방송 되고 있습니다. 방송 시간은 1강과 같고, 인터넷 업데이트는 ... 정마리아 2008.01.02 5262
333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의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창조적 고통은 아름다운 생명의 모습이며. 진실은 추위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이라는 믿음... 1 이마르첼리노M 2022.03.20 625
332 김인선젬마자매님의 막내딸 세레나입니다. 김인선 젬마 자매님의 막내딸 김수정 세레나입니다. 우선 저희 어머니를 위해 기도해주시고 저희 가족들과 함께 해주신 많은 신부님들과 수사님들께 감사의 말... 1 세레나 2013.01.22 7942
331 김경상 마태오 사진 전시회-형제들 초청 사진작가 김경상 마태오씨가 형제들을 사진전에 초대한답니다. 장소는 시청 프레스센터 1층 전시장입니다. 단 입장료 오천원, 교황 바오로2세 추모사진전 개막 [... 신성길 2006.04.07 5968
330 김 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 인터뷰 + 평화와 선 대구사이버대학교 웹진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아래 사이트 클릭 http://www.dcu.ac.kr/webzine/11th/menu05.html 정마리아 2007.03.08 5659
329 김 인선 젬마 자매님을 추모하며 김 인선 젬마 자매께서 돌아가신 지난 1월 16일 저는 여러분의 연락을 받았습니다. 자매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저에게 전하는 연락이었지요. 제가 이곳 대전... 김레오나르도 2013.01.20 7910
328 김 요셉(상욱) 형제의 글에 대한 소견 (이요한 종한) 김 요셉(상욱) 형제가 빅터 프랭클 박사의 의미요법과 프란치스코가 말하는 순종의 세 형태를 비긴데 대한 소견이다. 빅터 프랭클 박사(1905- 1984)는 유대... 이종한요한 2013.07.11 5736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