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순절에 꼭 해봐야 하는 질문 ( 1/2페이지)

 

예수께서는 왜?

십자가에서 처형되셨으며 그 죽음의 의미와 메시지는 무엇인가?

이 질문 앞에 있는 사람은 신앙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여기에 대한 답을 알게 되면 하느님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라지고

자신이 실천하며 따라야 할 모범으로 계시 된 그리스도 예수가

우리를 사랑하시기 위하여 자신을 내어놓는 사랑이

결국 십자가의 죽음이라는 결과였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사랑에 현장에는 고난이 자리를 잡고 있다. 고난이 없는 사랑은 없다.

나와 다른 사람을 받아들여야 하고

자기 생각과 반대되는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속죄양을 만드는 세상에서 속죄양으로 처형되신 예수라고 믿는 신앙은

하느님의 구원 역사를 왜곡하거나 축소 시킨다.

해마다 사순절이 되면 나는 예수께서 온갖 수난의 현장에서 느끼셨을 고난에 대해

깊은 생각에 머물며 내 믿음의 뿌리를 살펴보곤 한다.

 

그제는 재의 수요일이었다.

머리에 재를 받으며 현재의 내 인생에 예수님의 죽음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

내 인생의 모든 고비마다 남긴 흔적들을 돌아보며 그 이유를 발견하고 싶었다.

 

하느님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비전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고대 종교들로부터 철저하게 벗어난 것이었다.

신이 제단에 바쳐진 사람과 동물과 곡식을 먹는 대신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의 몸 자체를 우리가 먹도록 주신다는 것이었다.

너희는 받아먹고 마셔라, 이는 내 몸과 내 피다

이러한 사실은 대가를 계산하는 사고방식의 논리를 없애버렸다.

사랑은 어떤 대가로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느님은 우리가 바치는 어떤 것 때문에,

우리에게 복을 주시는 분이 아니시다.

아버지는 자녀들에게서 무엇을 받았다고 해서

그것을 준 사람에게만 무엇을 주시는 분이 아니시다.

그분은 선한 사람에게나 악한 사람에게 똑같이 햇빛과 비를 내려 주시는 분이시다.

(마태 5,45)

 

죗값의 대가로 하느님의 아들이 십자가에서 처형되셨다는 사고방식에서 나온 이론이

대속론이라고도 불리는 속죄론이다.

속죄론의 중심에는 하느님 아버지의 보복적 정의라는 개념이 숨어있다.

원죄로 말미암아 낙원에서 추방된 죄를 지은 인간은

죄의 대가를 치르지 않고서는 아버지의 분노를 잠재울 수 없다는 논리다.

그래서 신이시며 동시에 인간이 되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죗값을 치렀다는 이야기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가 자신의 희생을 선택하여 우리 죄인들을 대신하여 처벌을 받아

정의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하느님이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게 되었다는 이론이다.

인간의 죄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훼손된 하느님의 정의를

십자가에서 죽은 아들 예수의 피 흘리는 거래로 분노가 사라졌다는 것은

예수의 역할과 그리스도가 세상에 오신 목적에 대한 심각한 오해로 이끈다.

그리스도 예수의 죽음을 그렇게 이해하게 되면 예수께서 세상에 오셔서 하신 말씀과

실천들은 의미를 잃고 만다.

사랑 자체이시며 온갖 선의 근원이신 아버지께서 아들을 십자가에서 죽게 하셔야만

분이 풀리신다는 이야기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이론이다.

 

나는 11세기 켄터베리의 안셀무스로부터 만들어진 이 속죄론과

내가 소속된 수도회의 창설자 사부 성프란치스코와 프란치스칸 신학자 성보나벤투라와

그의 뒤를 이은 둔스 스코투스의 육화의 영성

예수님의 죽음은 하느님께서 자유롭게 선택하신 사랑의 계시라고 말했던

그의 신학 사이에서 나는 내가 믿고 살았던

신앙적인 삶 전체를 바꿔야 하는 심각한 고민을 해야 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가? 에 대한 답을 찾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복음의 본질적이고 핵심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인식이 없다면 내 믿음에 물을 대주는

수로가 끊겨 생명의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작은형제회 관구 홈페이지에 내가 쓴 여러 글 중에는 이러한 나의 고민이 담겨있다.

 

나는 가톨릭교회에서 예수님의 죽음을 죗값을 대신 치르신 분으로 이해하며

내 인생의 절반을 보냈다.

이런 논리와 이론에는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사법적 정의는 수많은 이들의 양심에 치명적인 흔적을 남겼다.

벌 받지 않기 위해서라면 어떤 명분으로라도 행동하는 동기를 바꿔야 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아 그분의 뒤를 따르거나

그분께서 실천하셨던 사랑과 자비보다는 율법과 계명 준수와 무엇인가를 바쳐야만 했다.

그로 인하여 도덕적 성취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죗값을 희생이라는 것으로 대신하려 했다.

자기의 죄로 인하여 하느님의 진노가 발생하였고 진노를 멈추게 하려면 희생을 바쳐야 했다.

그래서 잘 지키고 많이 바치면 다른 사람보다 더 거룩하고 의로운 사람이 되는 것처럼

철저하게 자신을 통제하려고 모든 정성을 쏟으려 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할수록 자아도취라는 그물에 걸려 자신이 만든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현재 가톨릭 신자들이 바치는 기도와 제물과 재능의 봉사,

교회 운영과 관련된 그러한 봉사가 희생이라는 이름으로 바쳐지고 있지 않은가?

또한 양심에 불안을 주는 죄책감이라는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내 탓이 아닌 네 탓이라는 책임 전가와 너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투사가

보편적인 일로 자리를 잡았다.

그로부터 속죄양을 만드는 일은 일상의 관계 안에서 보편적인 죄가 되었다.

    

2페이지에 계속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 껌할아버지 이야기 1 안드레아 2009.06.17 7120
342 깨죽에 떨어진 눈물 깨죽에 떨어진 눈물   구름모자 카페에서 깨죽 한 그릇씩 앞에 놓고 깨죽이 불러온 사연들 서로 다른 모성의 회상 회상의 거울 앞에선 비정의 어머니와 ... 이마르첼리노M 2019.12.23 394
341 깨어남과 깨어 있음 깨어남과 깨어 있음   언제든지 선을 행하려고 깨어있는 사람은 현재의 자유로 희망의 봉오리를 연다. 측은하고 가엾이 여기시는 하느님의 마음을 지니고 ... 이마르첼리노M 2020.10.30 414
340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우리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면서 나에게서 내가 해방되는 삶이 믿는 이들이 누리는 기쁨이며 하느님 나라 행... 이마르첼리노M 2023.12.04 140
339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은 성령의 선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 내용에 들어가 보면 단순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깨달음은 알... 이마르첼리노M 2019.09.17 472
338 깨달음 깨달음 스스로를 낮추다가 이르는 바닥 스스로를 높이다가 추락하여 이르는 바닥 욕정을 채우다가 타락하여 이르는 바닥 바닥을 알면 높이를 안다 높이를 알면 ... 이마르첼리노 2011.04.21 4069
337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음이 깨어남으로, 깨어남이 깨어있음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지 않으면 신앙이 근거를 두는 삶의 의미... 이마르첼리노M 2021.05.20 615
336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67
335 김찬선 신부님 평화방송 영성의향기 방송 시간 평화와 선 기쁜 성탄 보내세요 김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께서 평화방송 영성의향기에 출연하시어 강의를 하신 것은 이번주에 방송 됩니다. 월요일 밤 11시 수요... 정마리아 2007.12.24 6141
334 김찬선 신부님 영성의 향기 제2강이 방송되고 있습니다. 평화와 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주에 이어 2강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라는 주제로 방송 되고 있습니다. 방송 시간은 1강과 같고, 인터넷 업데이트는 ... 정마리아 2008.01.02 5262
333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의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창조적 고통은 아름다운 생명의 모습이며. 진실은 추위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이라는 믿음... 1 이마르첼리노M 2022.03.20 625
332 김인선젬마자매님의 막내딸 세레나입니다. 김인선 젬마 자매님의 막내딸 김수정 세레나입니다. 우선 저희 어머니를 위해 기도해주시고 저희 가족들과 함께 해주신 많은 신부님들과 수사님들께 감사의 말... 1 세레나 2013.01.22 7942
331 김경상 마태오 사진 전시회-형제들 초청 사진작가 김경상 마태오씨가 형제들을 사진전에 초대한답니다. 장소는 시청 프레스센터 1층 전시장입니다. 단 입장료 오천원, 교황 바오로2세 추모사진전 개막 [... 신성길 2006.04.07 5968
330 김 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 인터뷰 + 평화와 선 대구사이버대학교 웹진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아래 사이트 클릭 http://www.dcu.ac.kr/webzine/11th/menu05.html 정마리아 2007.03.08 5659
329 김 인선 젬마 자매님을 추모하며 김 인선 젬마 자매께서 돌아가신 지난 1월 16일 저는 여러분의 연락을 받았습니다. 자매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저에게 전하는 연락이었지요. 제가 이곳 대전... 김레오나르도 2013.01.20 7910
Board Pagination ‹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00 Next ›
/ 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